• 제목/요약/키워드: Preform

검색결과 465건 처리시간 0.024초

대기오염 노출이 첫 출산아 저체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지역 1999년~2003년 출생코호트를 중심으로- (Air Pollution Exposure and Low Birth Weight of Firstborn Fetus -A Birth Cohort Study in Seoul, 1999-2003-)

  • 조용성;손지영;이종태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27-234
    • /
    • 2007
  • Recent epidemiologic studies show that gestational exposure to air pollution adversely affects pregnancy outcomes including low birth weight in preform birth.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 of air pollutants on LBW (low birth weight) on firstborn fetus throughout the gestational period using the birth cohort between 1999 and 2003 in Seoul. Using birth cohort data from the National Statistics Office of Korea we identified 288,346 firstborn births (excluded missing data on lack of information for birth weight and discordance between residential and certificated address from a total of 316,451) during 1999 to 2003 with complete covariate (gender, parity, date of birth, gestational age, parental age and educational level, maternal occupation etc.) and maternal residential history data. Our subjects were defined as more than 37 weeks and less than 44 weeks of completed gestation and we identified 5,457 persons (1.89%) by low birth weight (<2.5 kg) in this study. Using logistic regression, we estimated the risk of mean (entire pregnancy and trimester period) air pollution concentrations for CO, $O_3,\;PM_{10},\;NO_2\;and\;SO_2$. In terms of trimester-specific exposure, we found that some air pollutants exposure in each trimester would increase the risk for LBW.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effect size of air pollutants exposure during the first and third trimester is higher than during the second trimester. In all trimester, the estimated risk of LBW was 1.831 (95% CI=1.573-2.132) with unit increase for CO, 1.139 (95% CI=1.107-1.172) for 50, and 1.009 (95% CI=1.001-1.017) for $O_3$. Our results suggest that exposure during the gestation period to relatively low levels of some air pollutants may be associated with a reduction in birth weight on first-born fetus. These findings implicate the effective risk management strategies should be applied to minimize the public health impacts for pregnant women.

탄소섬유/Si/SiC 및 탄소섬유/탄소/SiC 복합재의 기계적 물성 (Mechanical Properties of Carbon Fiber/Si/SiC and Carbon Fiber/C/SiC Composites)

  • 신동우;박삼식;김경도;오세민
    • Composites Research
    • /
    • 제12권3호
    • /
    • pp.8-16
    • /
    • 1999
  • 탄소직포/탄소/SiC 복합재는 탄소직포/탄소 프로폼을 SiC의 유기전구체인 polycarbosilane에 다중함침 열처리하여 제조하였다. 더불어 탄소 섬유의 분율과 배열 형태가 다른 두 가지 종류의 저밀도 탄소/탄소 복합재 즉, 탄소직포($\thickapprox$55 vol%)/탄소 복합재와 chopped 탄소섬유($\thickapprox$40 vol%)/탄소 복합재를 $1700^{\circ}C$ 진공 분위기에서 용융 실리콘과 반응결합하여 고밀도의 탄소섬유/Si/SiC 복합재도 제조하였다. 이 반응 결합 공정 이전 각 밀도가 1.6g/$cm^3$인 탄소직포/탄소 복합재와 1.15g/$cm^3$인 chopped 탄소섬유/탄소 복합재는 반응결합 후 그 밀도가 각각 2.1g/$cm^3$로 증가하였다. 제조한 복합재는 전형적인 섬유강화 복합재의 파괴거동을 보였으며 반응결합 후 밀도와 stiffness 그리고 탄성 한계 강도 등은 모두 현저히 증가하였다. 3점 곡강도와 인장 시험으로 기계적 물성을 비교평가하였다. 탄소직포/탄소 복합재와 chopped 탄소섬유/탄소 복합재의 곡강도에 대한 인장 강도의 비는 약 1/3이었다. 탄소직포/Si/SiC 복합재의 밀도는 2.06g/$cm^3$, 최대 곡강도는 ~120 MPa, 탄성한계 응력은 ~80 MPa를 나타내었다.

  • PDF

커피전문점 방문동기에 따른 커피전문점 및 커피 선택속성 연구(서울·경기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ttributes of Selecting Coffee Shop and Type of Coffee in Relation to the Reason for the Visit: Focused on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 김준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409-419
    • /
    • 2016
  • 본 연구는 커피전문점 방문 동기에 따른 커피전문점의 선택속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커피 전문점에서 구매하는 커피의 종류에 차이가 발생하는 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서울 경기지역 대학에 재학중인 대학생 중 커피전문점을 이용한 209명을 모집단으로 분석을 위해서 spss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커피전문점을 방문하는 동기는 편리성, 사회적 만남, 심리적 요인, 경제적 요인, 정신적 요인 및 습관적 방문 등 크게 6가지로 도출하였다. 6가지 커피전문점 방문동기에 따라 응답자를 집단화하면 경제적 동기나 습관적 동기로 커피 전문점을 방문하는 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해 '커피의 다양성'을 더 중요하게 고려하였고, 편리적 동기 및 습관적 동기로 방문하는 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해 '종업원의 친절도'를 더 중요하게 생각했으며, 사회적 동기로 방문하는 집단은 '저렴한 커피 값'을 월등히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커피전문점 방문동기나 선택속성이 최종 선택한 커피의 종류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은 특정 종류의 커피(아메리카노, 라떼)를 압도적으로 많이 선택하는 결과이기 때문이며, 이는 커피의 다양성 측면에서 전문점들이 소비자인 대학생들의 선택의 폭을 넓히는 데 충분한 노력이나 차별성을 보여주고 있지 못하는 것에도 원인이 있다 할 것이다.

용융침투법으로 제조한 유리-알루미나 복합체: Ⅰ. 알루미나 입도 효과 (Glass-alumina Composites Prepared by Melt-infiltration: Ⅰ. Effect of Alumina Particle Size)

  • 이득용;장주웅;김대준;박일석;이준강;이명현;김배연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8권9호
    • /
    • pp.799-805
    • /
    • 2001
  • 상용 알루미나 분말(0.5${\mu}$m, 3${\mu}$m)을 die-press법을 이용하여 1120$^{\circ}$C에서 2시간 1차 소결하여 다공성 전성형체를 제조하고 1100$^{\circ}$C에서 4시간 $La_2O_3-Al_2O_3-SiO_2$계 유리를 용융 침투시켜 치밀한 유리-알루미나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알루미나 입도가 유리-알루미나 복합체의 충진율, 미세조직, 젖음성, 기공률 및 크기,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입도 범위가 0.1∼48${\mu}$m로 넓고 bimodal size 입도 분포를 가지면서 random orientation을 가진 3${\mu}$m 알루미나가 분산된 복합체가 최적의 기계적 특성 및 충진률이 관찰되었으며 강도와 인성값은 각각 519MPa, $4.5MPa{\cdot}m^{1/2}$이었다.

  • PDF

체온측정방법의 정확도와 간호시간 및 발열감별 타당도 비교 (Accuracy of Temperature Measurements, Nursing Time for Measuring Temperature and the Validity of Fever Detection)

  • 송경애;강성실;황진순;김명자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3-45
    • /
    • 1998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at is the most accurate and quick temperature measurement among rectal, auxiliary and tympanic routes. The body temperatures of 86 preform infants in incubators, a controlled environment, were measured at three different sites. The measurements were taken to examine the accuracy of the temperatures, proper nursing time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s and the validity of fever detec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mean temperatur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auxiliary site($36.71^{\circ}C$) and higher in the tympanic site($37.27^{\circ}C$) than in the rectal site($37.03^{\circ}C$). 2. The mean nursing time for measuring body temperature was significantly longer in the auxiliary site(171.65 seconds) and shorter in the tympanic site(17.70 seconds) than in the rectal site(83.33 seconds). 3. The nursing time for measuring body temperature included the time needed for preparation, measuring, as well as the post-measuring time. It was found that the time required to prepare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rectal site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for other sites. In addition, the time needed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auxiliary site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in the other sites. Finally, the nursing time needed for measuring the auxiliary temperature(171.65 seconds) was the longest among the three sites whereas the nursing time for the tympanic site was the shortest(17.70 seconds). 4. Rectal temperatur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the tympanic(r=0.67) and auxiliary temperatures(r=0.69). Tympanic temperature was also significantly correlated to the auxiliary temperature(r=0.74). 5.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of tympanic temperatures for detecting fever were 1.00, 0.80, 0.24, and 1.00, respectively. Those for the auxiliary temperatures were 0.00, 0.99, 0.00, and 0.94, respectively. Thus the level of fever detection was lower in the auxiliary temperatures than in tympanic temperatures. The above findings indicate that the tympanic method of temperature measurement offers a useful alternative to conventional methods.

  • PDF

성형미세구조가 반응소결 탄화규소체의 소결미세구조 및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een Microstructure on Sintered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Reaction-Bonded Silicon Carbide)

  • 박현철;김재원;백운규;최성철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97-105
    • /
    • 1999
  • 탄화규소와 카본의 이성분계에서 pH, 계면활성제 및 출발원료의 입도 분포를 이용하여 성형체의 기공크기 및 기공을 제어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성형체는 각각 다른 분산조건을 가지는 슬러리를 이장성형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였으며, 입자간의 응\ulcorner제어에 따른 상이한 성형미세구조를 가지도록 하였다. 제조된 성형체에 대하여 반응소결 공정은 1$600^{\circ}C$, 진공분위기에서 20분간 응용 실리콘 침윤 공정을 행하였다. 초기 성형 미세구조가 반응소결체의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광학 현미경 및 SEM 분석을 통하여 제조된 소결체의 미세구조를 분석하였으며, 그리고 이에 따른 반응 소결체의 기계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각각의 분산조건에 따라 성형미세구조는 다르게 나타났으며, 미세한 탄화규소를 입자를 사용하였을 경우에 기공크기가 현저하게 작아짐을 확인하였다. 제조된 반응소결체의 미세구조 분석결과 일반적인 반응소결 탄화수소에서 발견되는 bimodal 미세구조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이는 초기 탄화규소의 카본의 비가 중요항 변수인 것으로 분석하였다. 반응소결 탄화규소의 3-점 곡강도 값은 입자간의 분산이 잘 이루어진 성형체를 사용하였을 경우 310$\pm$40 MPa으로서 응집이 일어난 성형체를 사용한 반응소결체의 260$\pm$50MPa 보다 높았다.

  • PDF

소형 풍력 터빈 블레이드 재료로서 블래더 가압 방식 몰드 성형 프리프레그의 타당성 (Feasibility of Bladder Compression Molded Prepreg as Small Wind Turbine Blade Material)

  • 이보건;서성원;송명호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33권2호
    • /
    • pp.95-101
    • /
    • 2020
  • 풍력터빈 블레이드는 바람의 운동에너지를 축일로 변환하는 장치로서 상대적으로 고속 회전하면서 양력과 항력의 다양한 하중 조합과 진동에 견딜 수 있도록 내구 강도가 큰 경량의 재료를 선택하여 강성을 증가시키는 구조를 갖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CFRP 프리프레그를 사용하여 소형 풍력 블레이드를 제작하는 경우 공정 시간을 단축하는 기술을 개발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QBlade 수치해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블레이드의 형상을 결정하였다. 주어진 풍속에서 바람에 의해 부가되는 양력과 항력을 계산하는 유체역학 수치해석을 수행하고, 대표적인 블레이드 구조에 대해 블레이드 외피 재료에 가해지는 폰미세스 응력을 예측하는 재료역학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인장 강도 시험의 불확실도를 개선하기 위해 ASTM D638 규정을 수정하여 새로운 시편의 형상을 제안하였고, 기존 형상의 인장 강도와 유사한 평균값을 얻되 파단 위치의 재현성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일련의 실험을 통해 소형 풍력블레이드의 제작에 블래더 가압 방식을 적용하면 충분한 내구 강도를 확보하면서 공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응액상성형에서 ε-카프로락탐의 음이온 중합에 따른 점도 거동 평가 (Measurement of Viscosity Behavior in In-situ Anionic Polymerization of ε-caprolactam for Thermoplastic Reactive Resin Transfer Molding)

  • 이재효;강승인;김상우;이진우;성동기
    • Composites Research
    • /
    • 제33권2호
    • /
    • pp.39-43
    • /
    • 2020
  • 최근 내화학성,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이 뛰어나면서 재활용이 가능한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기반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다. 특히, 열가소성 고분자는 높은 점도로 용융 상태에서의 가공이 힘들기 때문에 저점도 단량체 상태로 금형 내부로 주입하면서 동시에 중합을 시키는 반응액상성형 공정이 큰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단량체인 ε-카프로락탐은 중합속도가 매우 빠르고 외부 환경에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수지 함침과 중합 반응을 동시에 제어하면서 최적 공정조건을 확보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ε-카프로락탐의 음이온 중합과정에서 주요한 공정 변수인 점도 변화 거동을 관찰하였고 ε-카프로락탐의 빠른 중합, 낮은 점도, 수분 민감성에 따른 측정상의 문제 원인을 분석하여 개선책을 제시하였다. 개선된 점도 측정 방법에 대한 재현성과 신뢰성은 여러 상대습도에 대한 점도 측정 그리고 외부 환경(수분, 산소)과 차단된 상황에서의 중합과 개선된 점도 측정 결과와의 비교를 바탕으로 검증하였으며, 이는 복합재료 반응액상성형 공정의 제어 인자로 활용함으로써 공정 최적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임신 말 모체와 제대혈의 Retinol, $\beta-Carotene,\;\alpha$-Tocopherol의 농도 및 임신결과와의 상관성 ($\beta-Carotene,\;\alpha$-Tocopherol Concentrations in Maternal-Umbilical Cord Plasma and Their Relationships to Pregnancy Outcome)

  • 이금주;이민숙;안홍석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51-160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take of antioxidant vitamins and plasma concentrations of those in 60 maternal-infant pairs (30 in normal term delivery group, NT; 30 in preform delivery group, PT). We also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vitamin levels of maternal-umbilical cord plasma and pregnancy outcome. Mean energy intakes of NT and PT pregnant women were 93.2% and 85.4%, and their protein intakes were 113.3% and 110.9% of the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 (RDA), respectively. While vitamin A intakes were only 51.2% and 39.6% of the RDA in NT and PT pregnant women. The vitamin E intake was about 50% of the RDA (NT 6.27 mg, PT 7.78 mg). The levels of retinol in maternal plasma of NT and PT were $1.51\mumol/\ell\;and\;1.43\mumol/\ell$, respectively. The retinol levels in umbilical cord plasma in NT and PT were $0.72\mumol/\ell\;and\;0.61\mumol/\ell$, respectively. The level of $\beta-carotene$in maternal plasma of NT was 0.49 $\mu$mol/$\ell$, significantly (p < 0.01) higher than that of PT ($0.31\mumol/\ell$).The $\beta-carotene$ of umbilical cord plasma of NT and PT were $0.702\mumol/\ell\;and\;0.01\mumol/\ell$, respectively. The plasma $\alpha$-tocopherol of maternal of NT and PT were $0.72\mumol/\ell\;and\;0.01\mumol/\ell\;29.51 /mumol/\ell\; and 27.17\mumol/\ell,\;respectively.\; The $\alpha$-tocopherol of umbilical cord plasma of NT and PT were $4.16\mumol/\ell\;and\;3.80\mumol/\ell$, respectively. The antioxidant vitamin levels (retinol, $\beta-carotene,\;and\;\alpha$-tocopherol) in maternal plasma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001) than those in umbilical cord plasma. However,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vitamin levels in maternal plasma and those in umbilical cord plasma. The maternal plasma $\beta$-carotene level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to gestational age. Also Apgar score at 1 min produced a positive correlation to maternal plasma $\beta$-carotene level.

섬유부피분율 증가와 공극 감소를 위한 VARTM 공정의 대기압 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tmospheric Pressure Control of the VARTM Process for Increasing the Fiber Volume Fraction and Reducing Void)

  • 곽성훈;김태준;탁윤학;권성일;이재현;김상용;이종천
    • Composites Research
    • /
    • 제34권2호
    • /
    • pp.88-95
    • /
    • 2021
  • VARTM(Vacuum-assisted resin transfer molding) 공정은 OoA(Out of Autoclave)에 속하는 저가형 공정기술로 다양한 분야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오토클레이브 공정보다 품질이 낮아 고신뢰성이 요구되는 항공산업에는 적용하기 어려웠다. VARTM 공정의 주요 문제는 오토클레이브 대비 낮은 섬유부피분율과 높은 Void 함량에 의한 기계적 물성의 손실이었다. 따라서 많은 연구자들이 Void를 줄이고 섬유부피분율을 높일 수 있는 연구를 수행해 왔다. 이러한 연구의 흐름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수지 주입 과정 중 대기압을 제어하는 방법이 섬유부피분율을 높이고 Void를 감소시킬 수 있는지 검토하였다. 신뢰성 평가는 Void와 연관성이 있는 압축강도시험, 섬유부피분율 분석, 광학현미경 촬영을 통해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VARTM 공정에서 수지 주입과정 중 대기압을 단계별로 높이는 방법이 섬유부피분율 증가와 Void 감소에 직접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