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dicted Value

검색결과 1,817건 처리시간 0.034초

지진 재현수준 예측에 대한 로그-로지스틱 분포와 일반화 극단값 분포의 비교 (Comparison of log-logistic and generalized extreme value distributions for predicted return level of earthquake)

  • 고낙경;하일도;장대흥
    • 응용통계연구
    • /
    • 제33권1호
    • /
    • pp.107-114
    • /
    • 2020
  • 자연 재해로부터 관측되는 자료를 대상으로 재현 수준 예측 등과 같은 자료 분석을 위해 일반화 극단값 분포(generalized extreme value)가 자주 사용되어 왔다. 표본 수가 충분히 큰 경우 연속적인 블록 최댓값들은 점근적으로 일반화 극단값 분포를 따른다. 하지만 소표본인 경우 이러한 사실은 성립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모형 적합도 검정 및 모형 선택을 통해 로그-로지스틱(log-logistic) 분포의 사용을 제안한다. 하나의 예증으로서 중국 지진 자료를 대상으로 하여 로그-로지스틱 분포를 이용하여 재현 기간별 재현 수준 예측 및 신뢰구간을 제시한다.

머신러닝 기반 I형 곡선 거더 단경간 교량 지진 취약도 분석 (Seismic Fragility of I-Shape Curved Steel Girder Bridge using Machine Learning Method)

  • 전준태;주부석;손호영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899-907
    • /
    • 2022
  • 연구목적: 기계학습법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직선 교량의 지진 취약도 분석 연구는 다수 수행되었으나 곡선 교량 구조물에 대한 연구 사례는 미미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기계학습법 기반 I형 곡선 거더를 갖는 교량의 재료 특성 및 기하학적 불확실성을 고려한 지진 취약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강재 및 콘크리트의 재료 특성과 교각의 높이를 불확실성 매개변수로 고려하였다. 라틴하이퍼큐브 기법을 이용하여 매개변수를 샘플링하였으며 지진파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시간이력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결과를 원본데이터로 인공신경망, 반응표면분석법을 적용하여 학습 데이터를 생성하였다. 최종적으로 원본 데이터 및 학습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진 취약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라틴하이퍼큐브 기법을 이용하여 매개변수를 샘플링하였으며 지진파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총 160회의 시간 이력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결과와 기계학습을 통해 얻어진 예측 값을 비교하였으며 두 값의 유사도를 비교하기 위해 결정계수를 비교하였다. 반응표변분석법의 결정계수가 0.737로 비교적 관측 값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진 취약도 곡선도 반응표면 분석법을 통해 예측된 값이 관측 값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 유한요소 해석을 통해 관측된 값과 기계학습법을 통해 예측된 값을 비교하였을 때 반응표면 분석법이 관측값과 유사한 결과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두 가지 기계학습법 모두 관측 값에 비해 과소평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패키지 인쇄에 있어서 Kubelka-Munk Model 유래의 산란 및 흡수 계수를 이용한 색상 재현성 예측 (Prediction of Color Reproduction using the Scattering and Absorption Coefficients derived from the Kubelka-Munk model in Package Printing)

  • 현영주;박재상;태현철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03-210
    • /
    • 2021
  • With the development of package printing technology, the package has expanded from the basic function of protecting products to the marketing function through package design. Color, the visual element that composes the package design, is delivered to the consumer most quickly and effectively. As color marketing of these package designs expands, accurate color reproduction that the product wants to express is becoming more important. The color of an object is transmitted by absorption and scattering of light. Spectral reflectance refers to the intensity of light reflected by an object at different wavelengths by the spectral effect. As a result, the color of the object is expressed in various colors. Packaged printing inks have their own absorption and scattering coefficients, and the Kubelka-Munk model for color reproduction and prediction def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correlation coefficients through reflectance. In the Kubelka-Munk model for color reproduction and predic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sorption and scattering coefficients (K/S) of printed material is predicted as the sum of the K/S values according to the mixing ratio of all color ink used. In this study, the reflectance of the measured print is reversely calculated at the mixing ratio of print ink using the Kubelka-Munk model. Through this, the relationship value of the ink-specific absorption/scattering coefficient constituting the final printed material is predicted. Delta E is derived through the predicted reflectance, and the similarity between the measured value and the predicted value is confirmed.

비소세포폐암의 병기 판정에 있어서 N staging에서의 PET의 역할 (Thoracic Nodal Staging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by FDG-PET)

  • 유지훈;권성연;유철규;이춘택;김영환;한성구;심영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9권3호
    • /
    • pp.290-297
    • /
    • 2000
  • 연구배경 : 비소세포폐암의 병기 판정에 있어서 가장 문제되는 것 중의 하나가 림프절 병기 판정이다. 전이된 림프절의 크기를 기준으로 하는 CT의 병기 판정은 많은 제한이 있다. 최근에 폐암의 N병 판정에 Positron Emission Tomography(PET)를 이용하여 우수한 민감도와 특이도를 보였다는 외국의 보고들이 많이 있어 그 이용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본 교실에서는 비소세포폐암으로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흉부 전산화 단층 촬영과 PET를 시행했던 환자를 대상으로 병리학적 병기와 임상적 병기를 비교함으로서 PET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7년 1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서울대학교 병원에서 비소세포폐암을 진단 받고 CT만으로는 명확한 병기 판정이 어려워 PET를 시행한 후 수술을 시행 받은 23명의 환자(남자 14 명, 여자 9명 평균나이 60.7$\pm$9.7세)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분석하였다. CT에서 N 병기판정은 림프절의 크기를 단축 1cm 이상을 의미 있는 것으로 정의하였으며 PET에서는 림프절의 동위원소 활성도가 주의 종격동과 연부 조직의 활성도보다 높은 것을 의미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결과 : 대상 환자의 폐암 조직형은 편평상피세포암이 9예, 선암이 10예, 기관지 폐포암 2예, 기타 2예였다. CT보다는 PET를 이용한 임상적 병기판정에서 수술 후 병리적 병기판정과의 일치율이 더 높았다(23예중 13예에서 일치하였고 6예에서 Up-staging을 4예에서 down-staging을 하였다). Up-staging한 환자 중 2예에서 결핵성 림프선염을 시사하는 조직 소견이 관찰되었다. 병리결과와 비교하여 보았을 때 CT는 sensitivity 38%, specificity 40%, positive predicted value 25%, negative predicted value 50% 였고 PET는 sensitivity 50%, specificity 60%, positive predicted value 30%, negative predicted value는 69%로 기존 외국에서의 결과보다는 그 정확도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기존의 임상적 병기 판정의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에 PET의 추가 검사는 어느 정도 병기 판정에 주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 정도는 다른 연구에 비하여 적었다.

  • PDF

탄·소성 쌍곡선 모델을 이용한 백마강 모래의 거동특성 연구 (A Study on the Behaviour of Baekma River Sands Using Elasto-Plastic Hyperbolic Model)

  • 양승재;박기현;박형렬;양경진;김찬기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93-101
    • /
    • 2020
  • 흙의 비선형적 거동특성을 예측하기 위해 비교적 간편하고 예측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는 탄·소성 쌍곡선모델을 선정하였다. 모델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구성모델에 관련된 함수를 정식화하여 토질매개변수 결정 및 거동해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상대밀도 변화에 따른 백마강모래의 배수삼축압축시험 결과로부터 각각의 토질매개변수를 결정하였고 상대밀도에 따른 토질매개변수의 변화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각각의 조건에서 결정된 토질매개변수를 이용하여 응력-변형률 거동을 예측하였다. 그 결과 축변형률에 대한 축차응력은 각각의 상대밀도에서 측정치와 예측치가 양호하게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축변형률에 대한 체적변형률의 관계에서 상대밀도가 작은 경우는 측정치와 예측치가 일치하는 경향을 보이나 상대밀도가 큰 경우에는 구성모델의 한계로 인해 체적변형률의 예측치가 측정치보다 다소 작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하였다.

강섬유 보강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인장 특성 실험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ensile Properties of Steel Fiber-Reinforced Ultra High Strength Concrete)

  • 양인환;박지훈;이재호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7권3호
    • /
    • pp.279-28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기준압축강도 180MPa의 강섬유 보강 초고강도 콘크리트(UHSC)의 인장 특성에 관한 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부피비 1%의 강섬유를 혼입하여 직접인장강도 시편과 3점 하중재하 휨 실험을 위한 프리즘 시편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시편은 균열 유도를 위하여 시편 중앙에 노치를 설정하였으며, 각 평가방법에 따라 실험을 수행하였다. 우선, 콘크리트의 균열 후 거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직접인장강도 실험을 수행하여 응력-변형률 곡선을 분석하였으며, 3점 하중재하 휨 실험을 통하여 하중-CMOD 곡선을 얻고, 역해석을 수행하여 응력-변형률 곡선을 분석하였다. 직접인장강도 실험과 3점 하중재하 휨 실험의 인장거동 특성은 유사하게 나타났다. 또한, SC 구조설계지침에서 제시하고 있는 인장응력-변형률 곡선 모델링을 수행하고, 측정값과 예측값의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재료감소계수가 1.0일 때, 변형률이 0.02일 때까지 예측값은 측정값과 유사하게 나타나지만, 재료감소계수가 0.8일 때, 예측값은 측정값의 최소값에 근접한다. 또한, 변형률이 0.02를 초과하는 구간에서는 SC 구조설계지침에 의한 예측값이 측정값을 과소평가한다.

슈퍼스칼라 프로세서에서 데이터 값 예측기의 성능효과 (Efficient of The Data Value Predictor in Superscalar Processors)

  • 박희룡;전병찬;이상정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0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3)
    • /
    • pp.55-58
    • /
    • 2000
  • To achieve high performance by exploiting instruction level parallelism(ILP) aggressively in superscalar processors, value prediction is used. Value prediction is a technique that breaks data dependences by predicting the outcome of an instruction and executes speculatively it's data dependent instruction based on the predicted outcome. In this paper, the performance of a hybrid value prediction scheme with dynamic classification mechanism is measured and analyzed by using execution-driven simulator for SPECint95 benchmark set.

  • PDF

변압기 절연유의 물성치 변화에 따른 온도특성해석 (Temperature Characteristic Analysis according to Variation of Properties of Transformer Insulating Oil)

  • 김지호;이욱
    • 전기학회논문지P
    • /
    • 제63권4호
    • /
    • pp.327-332
    • /
    • 2014
  • In this paper,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property change of the insulating oil of the power transformer and max temperature were predicted through the ductility interpretation which heat-flow is coupled. By using CFD (Computation Fluid Dynamics) for the interpretation,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154kV the class single phase power transformer was predicted. The power loss causing the temperature rise of the transformer was changed to the heat source and we used as the input value for the heat-flow analysis.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was predict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density, specific heat, thermal conductivity and viscosity, that is the ingredient having an effect on the temperature rise of the transformer oil. The mineral oil of 4 kinds used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based on the interpreted result was selected and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according to each load and Hot Spot temperature was predicted.

현미 조질에 관한 연구 (I) -조질 후 현미의 물성 변화와 예측모델- (Study on the Conditioning of Brown Rice (I) -Property variation and predicted model of brown rice after Conditioning-)

  • 한충수;연광석;강태환;전홍영;고학균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6권1호
    • /
    • pp.39-46
    • /
    • 2001
  • This research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of the moisture content, crack ratio, and hardness of the whole and cracked brown rice after conditioning at the initial moisture content of 13, 14, and 15% with time lapse. The conditioning was conducted by increasing the moisture content of the sample to 0.4 and 0.8%. For basic information and conditioning characteristics for the development of a conditioning machine for the brown rice, predicted models of above three properties were developed using a nonlinear regression analysis of SAS with Gauss-Newton, Gradient, and DUD methods. Results of this research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1. No moisture variation occurred after 0.5 hour conditioning. 2. The increasement of the crack ratio was 7.6 and 17.5% with the sample increased the moisture content of 0.4 and 0.8%, respectively, after 8 hours conditioning. 3. The hardness of the conditioned whole grain of the brown rice decreased 0.82 and 1,000kg$\_$f/ with the sample increased moisture content 0.4 and 0.8%, respectively, after 8 hours conditioning with respect to the non-conditioned sample. 4. The hardness of the conditioned cracked grain of the brown rice decreased 0.54 and 0.81kg$\_$f/ with the sample increased moisture content 0.4 and 0.8%, respectively, after 8 hours conditioning with respect to the non-conditioned sample. The hardness of the broken grain was about 0.81∼1.88kg$\_$f/ lower than whole grain. 5. The moisture content variation, increasing rate of the crack ratio, and hardness of the cracked and whole grain was predicted as a negative exponential function. 6. Each predicted model with the nonlinear regression analysis, which was very accurate and had a very small amount of sum of square of error between experimental value and predicted value, which could be used for predicting the physical variation after conditioning.

  • PDF

Optimization of Culture Medium for Lactosucrose ($^4G-{\beta}$-D-Galactosylsucrose) Production by Sterigmatomyces elviae Mutant Using Statistical Analysis

  • Lee, Jong-Ho;Lim, Jung-Soo;Song, Yoon-Seok;Kang, Seong-Woo;Prak, Chul-Hwan;Kim, Seung-Woo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12호
    • /
    • pp.1996-2004
    • /
    • 2007
  • In this study, the optimization of culture medium using a Sterigmatomyces elviae mutant was investigated using statistical analysis to increase the cell mass and lactosucrose ($^4G-{\beta}$-D-galactosylsucrose) production. In basal medium, the cell mass and lactosucrose production were 4.12 g/l and 140.91 g/l, respectively. However, because of the low cell mass and lactosucrose production, optimization of culture medium was carried out to increase the cell mass and lactosucrose production. Culture media were optimized by the S. elviae mutant using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Central composite designs using RSM were utilized in this investigation. Quadratic models were obtained for cell mass and lactosucrose production. In the case of cell mass, optimal components of the medium were as follows: sucrose 1.13%, yeast extract 0.99%, bactopeptone 2.96%, and ammonium sulfate 0.40%. The predicted maximum value of cell mass was about 5.20 g/l and its experimental value was 5.08 g/l. In the case of lactosucrose production, optimal components of the medium were as follows: sucrose 0.96%, yeast extract 1.2%, bactopeptone 3.0%, and ammonium sulfate 0.48%. Then, the predicted maximum value of lactosucrose production was about 194.12 g/l and the corresponding experimental value was about 183.78 g/l. Therefore, by culturing using predicted conditions, the real cell mass and lactosucrose production increased to 23.3% and 30.42%,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