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coder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19초

제한된 위상 피드백 기반의 CoMP를 위한 프리코딩 기법 (A Limit-Phase-Feedback-based Precoding Technique for CoMP)

  • 김태영;윤은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9A호
    • /
    • pp.784-789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Coordinated multi-point (CoMP) Coordinated scheduling/Coordinated beamforming (CS/CB) Precoding matrix indicator (PMI) 시나리오에서, 제한된 위상 피드백을 바탕으로 단말의 수신 Signal-to-interference-plus-noise ratio (SINR)을 최대화하는 송신기의 프리코더를 제안한다. 특히, 다중 생 환경에서 외부셀을 고려하여 기존 프리코딩 기법을 개선 한다. 먼저 서빙 셀의 신호를 최대화하는 프리코딩 행렬 뿐 아니라 협력 셀의 신호를 최소화하는 프리코딩 행렬을 설계하여 수신 SINR을 최대화한다. 또한 제한된 bits 피드백 조건에서 활용할 수 있는 PMI 기법을 제시한다. 끝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CoMP CS/CB PMI 시나리오 하에서 본 논문에서 제시된 프리코더의 성능을 명가하고 다른 프리코더의 성능과 비교한다.

SOQPSK-TG 신호의 이중 듀오바이너리 MSK 모델링 (Double Duobinary MSK Modeling of the SOQPSK-TG Signal)

  • 김균회;은창수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9권11호
    • /
    • pp.945-951
    • /
    • 2021
  • SOQPSK-TG는 대역폭 효율이 매우 우수한 항공기 텔레메트리용 변조신호이다. 본 논문에서는 SOQPSK-TG 변조방식의 주파수 파형 필터를 선형 근사하여 듀오바이너리 프리코더와 약 1Tb 구간의 위상천이 구간을 갖는 수정 주파수 파형 필터로 모델링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프리코더와 결합하여 이중 듀오바이너리 MSK로 SOQPSK-TG를 모델링하였다. SOQPSK-TG 신호와 새롭게 모델링한 이중 듀오바이너리 MSK 신호를 시간 영역, 주파수 영역에서 비교하여, 두 신호가 거의 일치하고 실질적인 성능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새로 모델링한 이중 듀오바이너리 프리코더에 의한 변조지수 변화를 고려하여 IQ-검출기의 검출 필터를 코사인 합 필터로 구현하였을 때 기존 코사인 필터 대비 약 0.1 dB 수신성능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대용량 MIMO 시스템을 위한 하이브리드 송신기 설계 (Hybrid Transmitter Design for Massive MIMO Systems)

  • 서방원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49-55
    • /
    • 2022
  •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RF 체인의 개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달성 가능 데이터 전송률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은 하이브리드 대용량 MIMO 기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최근에 하이브리드 프리코더에 대한 계산량을 줄이기 위하여 SIC 기반의 설계 방식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기저대역 프리코딩을 위해 단순히 대각 행렬을 사용함으로써 동시에 전송되는 스트림 간에 존재하는 간섭 문제를 해결할 수 없고, 아날로그 프리코딩을 위해서는 1개의 위상변환기를 사용함으로써 데이터 전송률 성능 향상에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유효 채널에 대한 SVD 기반의 디지털 프리코딩을 적용하고 두 개의 위상 변환기를 사용하는 아날로그 프리코딩 방법을 제안한다. 모의실험을 통하여 제안하는 기법이 기존 기법보다 더 높은 달성 가능 데이터 전송률 성능과 SINR 성능을 갖는다는 것을 보인다.

Matrix Decomposition for Low Computational Complexity in Orthogonal Precoding of N-continuous Schemes for Sidelobe Suppression of OFDM Signals

  • Kawasaki, Hikaru;Matsui, Takahiro;Ohta, Masaya;Yamashita, Katsumi
    • IEIE Transactions on Smart Processing and Computing
    • /
    • 제6권2호
    • /
    • pp.117-123
    • /
    • 2017
  • N-continuous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is a precoding method for sidelobe suppression of OFDM signals and seamlessly connects OFDM symbols up to the high-order derivative for sidelobe suppression, which is suitable for suppressing out-of-band radiation. However, it severely degrades the error rate as it increases the continuous derivative order. Two schemes for orthogonal precoding of N-continuous OFDM have been proposed to achieve an ideal error rate while maintaining sidelobe suppression performance; however, the large size of the precoder matrices in both schemes causes very high computational complexity for precoding and decoding. This paper proposes matrix decomposition of precoder matrices with a large size in the orthogonal precoding schemes in order to reduce computational complexity. Numerical experimen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drastically reduce computational complexity without any performance degradation.

Transceiver Design Using Local Channel State Information at Relays for A Multi-Relay Multi-User MIMO Network

  • Cho, Young-Min;Yang, Janghoon;Kim, Dong Ku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7권11호
    • /
    • pp.2616-2635
    • /
    • 2013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terative transceiver design in a multi-relay 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 The design criterion is to minimize sum mean squared error (SMSE) under relay sum power constraint (RSPC) where only local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s are available at relays. Local CSI at a relay is defined as the CSI of the channel between BS and the relay in the $1^{st}$ hop link, and the CSI of the channel between the relay and all users in the $2^{nd}$ hop link. Exploiting BS transmitter structure which is concatenated with block diagonalization (BD) precoder, each relay's precoder can be determined using local CSI at the relay. The proposed scheme is based on sequential iteration of two stages; stage 1 determines BS transmitter and relay precoders jointly with SMSE duality, and stage 2 determines user receivers. We verify that the proposed scheme outperforms simple amplify-and-forward (SAF), minimum mean squared error (MMSE) relay, and an existing good scheme of [13] in terms of both SMSE and sum-rate performances.

Improved Wideband Precoding with Arbitrary Subcarrier Grouping in MIMO-OFDM Systems

  • Long, Hang;Kim, Kyeong-Jin;Xiang, Wei;Shen, Shanshan;Zheng, Kan;Wang, Wenbo
    • ETRI Journal
    • /
    • 제34권1호
    • /
    • pp.9-16
    • /
    • 2012
  • Precoding in th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ystem is investigated. In conventional wideband precoding (WBP), only one precoder, obtained from the decomposition of the subcarrier independent channel matrix, is used for all subcarriers. With an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carrier independent channel matrix and the temporal/frequency channels, an improved WBP scheme is proposed for practical scenarios in which a part of subcarriers are allocated to a user. The improved WBP scheme is a generalized scheme of which narrow-band precoding and conventional WBP schemes are special modes. Simulation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improved WBP scheme almost achieves the optimum performance of a single precoder and outperforms the conventional WBP scheme in terms of the bit error ratio and ergodic capacity with slight complexity increase. The largest advantage of the improved WBP scheme on signal-to-noise ratio in simulation results is over 2.1 dB.

다중 사용자 다중 입출력 시스템을 위한 Block Tomlinson-Harashima 전처리 기법의 전력 손실 분석 (Power Loss Analysis of Block Tomlinson-Harashima Precoder for Multi-user MIMO Systems)

  • 김준두;이충용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9권8호
    • /
    • pp.12-18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하향링크 다중사용자(multi-user, MU) 다중입출력(multi-input multi-ouput, MIMO) 시스템에 블록 Tomlinson-Harashima 전처리기(block Tomlinson-Harashima precoder, BTHP)를 적용했을 때, 시스템의 송신 전력에 대한 정확한 분석 결과를 제공하였다. 각 사용자별로 상위 사용자들로부터 전달되는 간섭신호를 BTHP를 통해 제거하는 과정에서 큰 간섭신호 가정을 이용한 기존의 분석과는 달리, 실제로 전달되는 간섭신호의 통계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향상된 정확도를 갖는 분석 방법을 제안하였고,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한 분석 결과가 기존 결과보다 정확함을 확인하였다.

비선형 3 User Tomlinson-Harashima 전처리 코딩 (3 User Non-Linear Tomlinson-Harashima Precoding)

  • 모하마드 아부 하니프;조계문;이문호;신태철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2권8호
    • /
    • pp.809-812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세 명의 사용자가 존재하는 채널 환경에서 다중 송수신 안테나 시스템의 송신단에서 모든 사용자, 채널에 대한 정보를 완벽하게 알고 있다는 전제하에 목적지 이외의 인접한 채널이나 사용자로부터의 간섭을 먼저 제거하여 목적지로 정보를 송신하여 각 사용자들은 간섭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비선형 전처리 부호화 기법을 소개하고, 이 중 가장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Tomlinson-Harashima 코딩에 기반하여 전처리 부호화기를 설계하고, 이의 성능을 더티 페이퍼 코딩 기반의 전처리 부호화기의 성능과 비교 분석하였다.

송신 상관된 레일리 채널에서 프리코더를 갖는 MIMO MMSE 수신기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Precoded MIMO MMSE Receivers in Transmit-Correlated Rayleigh Channels)

  • 김원섭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A권7호
    • /
    • pp.552-559
    • /
    • 2013
  • 이 논문에서는 송신 상관된 레일리 페이딩 채널에서 프리코더를 갖는 다중 입출력 안테나 시스템이 고려된다. 특히 최소평균제곱오차 수신기를 적용한 다중 입출력 안테나 시스템을 대상으로 한다. 임의 행렬 이론에 기초하여, 신호 대 간섭 및 잡음비의 확률 밀도 함수를 유도하기 위한 정확하고 일반화된 식을 유도한다. 그리하여 적은 수의 송신 및 수신 안테나에 대하여 정확한 폐쇄형 신호 대 간섭 및 잡음비의 확률 밀도 함수 식을 제안한다. 또한, 신호 대 간섭 및 잡음비의 확률 밀도 함수 식에 기초하여 폐쇄형 심볼 오류율 근사식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심볼오류율 분석결과는 오류 확률을 정확하게 예측하거나, 시스템 디자인을 위한 유용한 툴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선형 선부호기를 이용한 새로운 폐루프 공간 다중화 시스템 설계 (Design of New Closed-Loop Spatial Multiplexing System Using Linear Precoder)

  • 채창현;최대원;정태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3권1A호
    • /
    • pp.44-49
    • /
    • 2008
  • 최근 2개의 송신 안테나를 사용할 경우 수신측에서 궤환되는 위상 정보로 간단한 ML(maximum likelihood) 복호를 할 수 있는 OSM(orthogonal spatial multiplexing)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 기법은 궤환 정보를 사용하지 않는 기존의 SM(spatial multiplexing)보다 성능 측면에서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2개의 송수신 안테나에 대해 기존의 OSM 구조와 선부호기를 직렬 연접하여 구성된 새로운 CSM(closed-loop SM)을 제안한다. 전산 실험 결과 제안된 기법은 기존의 SM과 OSM에 비해 4-QAM에 대해구는 각각 3dB와 5dB, 그리고 16-QAM에 대해서는 각각 1dB와 3dB의 성능 향상을 보여준다. 그리고 제안된 기법에 대하여 ML 복호 성능과 거의 동일한 성능을 가지면서 더불어 수신단 복호 복잡도를 크게 줄일 수 있는 새로운 복호 알고리즘도 추가로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