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cision-recall

검색결과 711건 처리시간 0.024초

시각 장애인을 위한 영상 기반 심층 합성곱 신경망을 이용한 화재 감지기 (Fire Detection using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for Assisting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in an Emergency Situation)

  • 보라시 콩;원인수;권장우
    • 재활복지
    • /
    • 제21권3호
    • /
    • pp.129-146
    • /
    • 2017
  • 본 연구는 실내에서 화재 발생시 시각 장애인들을 지원하기 위한 영상 기반의 화재감지기를 제안한다. 건물 내에 화재가 발생하는 비상 상황 발생시 시각 장애인은 일반인보다 상황을 인지하는 것이 늦기 때문에 위험한 상황에 노출되기 쉽다. 기존의 연기 감지기와 같은 현재의 화재 감지 방법은 화재 발생시 발생하는 화학 센서 기반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감지가 상대적으로 늦으며 화재가 확산된 후에 감지가 되는 등 낮은 신뢰성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영상 기반의 화재 감지 기술이 개발되었지만 낮은 정확도가 문제가 되어 실용화되지 못하였다. 최근 인공 지능을 위한 심층 학습 분야의 큰 발전으로 영상 내의 물체 인식률이 높아짐에 따라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안 카메라 영상을 사용하여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심층 학습 기반의 화재 감지기를 제안한다. 심층 학습 기반의 접근법은 영상에서 자동으로 특징을 학습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복잡한 상황에 대해서도 일반화가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화재감지 정확도와 속도 측면의 균형을 고려하여 두 개의 심층 합성곱 신경망 모델을 제안하였다. 실험을 통해 두 모델 모두 99%의 평균 정밀도로 화재를 감지할 수 있으며 첫 번째 모델은 초당 30장의 처리 속도와 76%의 정확도를 나타냈다. 두번째 모델은 초당 50장의 처리 속도와 61%의 정확도를 나타낸다. 또한 두 개의 모델의 메모리 사용량을 서로 비교하였으며 다양한 실제 화재 시나리오에서 테스트하여 신뢰할 수 있는 모델임을 증명하였다. 본 논문에 제안한 영상 기반 화재 감지기가 상용화된다면 상대적으로 실내 화재에 취약한 시각 장애인들의 안전에 도움이 될 것이다.

2차 법률정보 전문데이터베이스에 있어서 통제어 색인시스템과 자연어 색인시스템의 검색효율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dexing System Using a Controlled Vocabulary and Natural Language in the Secondary Legal Information Full-Text Databases : an Evaluation and Comparison of Retrieval Effectiveness)

  • 노정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69-86
    • /
    • 1998
  • 본 연구는 2차 법률정보 전문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권기원, 노정란, 1998,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2(3))에서 밝혀진 법률정보의 특성을 근거로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알고리즘에 의한 모형 통제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통제어 색인 시스템과 자연어 색인 시스템의 검색효율을 비교 평가한 것이다. 연구 결과 2차 법률 정보 전문 데이터베이스에서 통제어 색인 시스템은 재현을, 정확률, 자연어 시스템이 검색하지 못한 고유한 적합 문헌을 검색하는 능력에 있어서 자연어 색인시스템보다 높은 효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가중치를 부여하거나 접근점을 추가할 경우 데이터베이스의 정확률이나 재현율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고 보고 있으나, 2차 법률정보 전문 데이터베이스에서는 법률정보라는 특정 지식 분야의 특성으로 인하여 가중치를 부여하거나 접근점을 추가한 경우에도 재현율과 정확률의 향상을 나타내지 않는다는 사실이 맞혀졌다. 그러므로 정보시스템 설계자는 시스템을 단순히 언어학적, 통계학적 방법으로 접근하기보다는 정보전문가와 주제전문가가 인식하고 있는 각 주제분야의 고유 지식을 시스템에 내장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 PDF

화학 데이타베이스에서 부분구조 검색을 위한 인덱스 구조 (An Index Structure for Substructure Searching In Chemical Databases)

  • 이환구;차재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1권6호
    • /
    • pp.641-649
    • /
    • 2004
  • 약물의 화학적 구조와 그 약물의 약리작용간의 연관성은, 'Medicinal Chemistry'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된다. 이는 화학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신약을 설계하려는 시도로서, 약학자는 신약 개발 시 만들고자 하는 약물과 비슷한 화학구조를 가지고 있는 기존 약물들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조사하며, 특정 화학구조가 어떤 약물들에서 나타나는지 신속히 검색하기를 원한다. 이처럼 어떤 화차구조에서, 특정한 부분구조가 존재하는지를 검사하는 것을 부분구조검색(Substructure Searching)이라 하며, 이는 그래프 이론에서 NP-complete인 동형성 판정(Subgraph Isomorphism) 문제로 귀결된다. 검색 시간을 단축시키고자 여러 다른 전근방법들이 연구되었는데, 1990년대에는 구조에 대한 인덱스를 미리 만들어 RDBMS에 저장한 후, 검색시 이론 이용하여 성능을 높이는 방법으로 미국 특허를 획득한 RS3 시스템(http://www.acelrys.com/rs3)이 현재 상용화되어 쓰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RS3 시스템의 문제점을 규명하고, 이의 개선방안으로서 새로운 인덱스를 제안한다 RS3 시스템은 각 원자를 중심으로 다른 원자와의 구조를 문자연로 표현하고, 부분구조검색 쿼리를 부분문자열 검색을 실행함으로써 수행하는데, 이의 화학구조를 기술하는 인덱스에는 동일 원자, 동릴 결합에 대한 정렬이 불가능하여 재현율(Recall)과 정도(Precision)가 낮다. 이론 개선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2차원의 화학구조를 나누어 1차원의 구조 단편으로 만들고 이를 문자열로 기술하는 방안을 제시하며 구체적인 방법으로 한 인자를 중심으로 최소비용신장트리를 구성한 다음 레벨별로 경로를 나누어 기술하는 방안을 제안하며, 이와 같은 방법의 새로운 인덱스로 재현율과 정도가 급격히 향상됨을 보인다.

건강보험 청구 데이터를 활용한 머신러닝 기반유방암 환자의 생존 여부 예측 (The Prediction of Survival of Breast Cancer Patients Based on Machine Learning Using Health Insurance Claim Data)

  • 이덕규;변경근;이형동;신선희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2호
    • /
    • pp.1-9
    • /
    • 2023
  • 유방암 관련 기존 AI 연구는 보조적인 진단 예측이나 임상적 요인에 따른 진료 결과를 예측하는 주제가 많았다. 또한 연구기관의 코호트 자료나 일부 환자 자료를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보유하고 있는 전 국민 유방암 환자의 전수 데이터를 활용하여 유방암 환자의 40~50대와 다른 연령대 간의 생존 여부 예측과 생존 여부에 미치는 요인의 차이점을 분석했다. 그 결과, 환자들의 생존 여부 예측 정밀도는 40~50대가 평균 0.93으로 60~80대 0.86 보다 높았으며, 요인에 있어서도 40~50대는 치료횟수(46%)가, 60~80대는 나이(32%)의 변수 중요도가 제일 높았다. 기존 연구와 성능 비교 결과, 평균 정밀도가 0.90으로 기존 논문의 정밀도 0.81보다 높았다. 적용 알고리즘별 성능 비교 결과, 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 랜덤포레스트(Random Forest) 및 그래디언트부스팅(Gradient Boosting)의 전체 평균 정밀도는 0.90, 재현율은 1.0으로 연령대 그룹 내에서 동일하였으며, 다층퍼셉트론(Multi-Layer Perceptron)의 정밀도는 0.89, 재현율은 1.0 이었다. 심평원의 전 국민 심사청구 빅데이터 가치 활용을 제고하기 위해 비전문가용 머신러닝 자동화(Auto ML) 도구를 사용한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되기를 바란다.

신경망 외란관측기와 파라미터 보상기를 이용한 PMSM의 정밀 위치제어 (Precision Position Control of PMSM Using Neural Network Disturbance observer and Parameter compensator)

  • 고종선;진달복;이태훈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전기기기및에너지변환시스템부문B
    • /
    • 제53권3호
    • /
    • pp.188-195
    • /
    • 2004
  • This paper presents neural load torque observer that is used to deadbeat load torque observer and gain compensation by parameter estimator As a result, the response of the PMSM(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follows that nominal plant. The load torque compensation method is composed of a neural deadbeat observer To reduce the noise effect, the post-filter implemented by MA(moving average) process, is adopted. The parameter compensator with RLSM (recursive least square method) parameter estimator is adopted to increase the performance of the load torque observer and main controller The parameter estimator is combined with a high performance neural load torque observer to resolve the problems. The neural network is trained in on-line phases and it is composed by a feed forward recall and error back-propagation training. During the normal operation, the input-output response is sampled and the weighting value is trained multi-times by error back-propagation method at each sample period to accommodate the possible variations in the parameters or load torque. As a result, the proposed control system has a robust and precise system against the load torque and the Parameter variation. A stability and usefulness are verified by computer simulation and experiment.

흉부 볼륨 CT영상에서 Weighted Integration Loss을 이용한 폐암 분할 알고리즘 연구 (A Study on Lung Cancer Segmentation Algorithm using Weighted Integration Loss on Volumetric Chest CT Image)

  • 정진교;김영재;김광기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625-632
    • /
    • 2020
  • In the diagnosis of lung cancer, the tumor size is measured by the longest diameter of the tumor in the entire slice of the CT. In order to accurately estimate the size of the tumor, it is better to measure the volume, but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calculating the volume in the clinic. In this study, we propose an algorithm to segment lung cancer by applying a custom loss function that combines focal loss and dice loss to a U-Net model that shows high performance in segmentation problems in chest CT images. The combination of values of the various parameters in custom loss function was compared to the results of the model learned. The purposed loss function showed F1 score of 88.77%, precision of 87.31%, recall of 90.30% and average precision of 0.827 at α=0.25, γ=4, β=0.7.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custom loss function showed good performance in lung cancer segmentation.

Restricting Answer Candidates Based on Taxonomic Relatedness of Integrated Lexical Knowledge Base in Question Answering

  • Heo, Jeong;Lee, Hyung-Jik;Wang, Ji-Hyun;Bae, Yong-Jin;Kim, Hyun-Ki;Ock, Cheol-Young
    • ETRI Journal
    • /
    • 제39권2호
    • /
    • pp.191-201
    • /
    • 2017
  • This paper proposes an approach using taxonomic relatedness for answer-type recognition and type coercion in a question-answering system. We introduce a question analysis method for a lexical answer type (LAT) and semantic answer type (SAT) and describe the construction of a taxonomy linking them. We als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ype coercion based on the taxonomic relatedness of both ATs. Compared with the rule-based approach of IBM's Watson, our LAT detector, which combines rule-based and machine-learning approaches, achieves an 11.04% recall improvement without a sharp decline in precision. Our SAT classifier with a relatedness-based validation method achieves a precision of 73.55%. For type coercion using the taxonomic relatedness between both ATs and answer candidates, we construct an answer-type taxonomy that has a semantic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Ts. In this paper, we introduce how to link heterogeneous lexical knowledge bases. We propose three strategies for type coercion based on the relatedness between the two ATs and answer candidates in this taxonomy. Finally, we demonstrate that this combination of individual type coercion creates a synergistic effect.

Precision Position Control of PMSM using Neural Observer and Parameter Compensator

  • Ko, Jong-Sun;Seo, Young-Ger;Kim, Hyun-Sik
    • Journal of Power Electronics
    • /
    • 제8권4호
    • /
    • pp.354-362
    • /
    • 2008
  • This paper presents neural load torque compensation method which is composed of a deadbeat load torque observer and gains compensation by a parameter estimator. As a result, the response of the PMSM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obtains better precision position control. To reduce the noise effect, the post-filter is implemented by a MA (moving average) process. The parameter compensator with an RLSM (recursive least square method) parameter estimator is adopted to increase the performance of the load torque observer and main controller. The parameter estimator is combined with a high performance neural load torque observer to resolve problems. The neural network is trained in online phases and it is composed by a feed forward recall and error back-propagation training. During normal operation, the input-output response is sampled and the weighting value is trained multi-times by the error back-propagation method at each sample period to accommodate the possible variations in the parameters or load torque. As a result, the proposed control system has a robust and precise system against load torque and parameter variation. Stability and usefulness are verified by computer simulation and experiment.

색상지수 기반의 식물분할을 위한 다층퍼셉트론 신경망 (A Multi-Layer Perceptron for Color Index based Vegetation Segmentation)

  • 이문규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6-25
    • /
    • 2020
  • Vegetation segmentation in a field color image is a process of distinguishing vegetation objects of interests like crops and weeds from a background of soil and/or other residues. The performance of the process is crucial in automatic precision agriculture which includes weed control and crop status monitoring. To facilitate the segmentation, color indices have predominantly been used to transform the color image into its gray-scale image. A thresholding technique like the Otsu method is then applied to distinguish vegetation parts from the background. An obvious demerit of the thresholding based segmentation will be that classification of each pixel into vegetation or background is carried out solely by using the color feature of the pixel itself without taking into account color features of its neighboring pixels. This paper presents a new pixel-based segmentation method which employs a multi-layer perceptron neural network to classify the gray-scale image into vegetation and nonvegetation pixels. The input data of the neural network for each pixel are 2-dimensional gray-level values surrounding the pixel. To generate a gray-scale image from a raw RGB color image, a well-known color index called Excess Green minus Excess Red Index was used. Experimental results using 80 field images of 4 vegetation species demonstrate the superiority of the neural network to existing threshold-based segmentation methods in terms of accuracy, precision, recall, and harmonic mean.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특징점 검출 연산자의 비교 분석 (Evaluation of Feature Extraction and Matching Algorithms for the use of Mobile Application)

  • 이용환;김흥준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56-60
    • /
    • 2015
  • Mobile devices like smartphones and tablets are becoming increasingly capable in terms of processing power. Although they are already used in computer vision, no comparable measurement experiments of the popular feature extraction algorithm have been made yet. That is, local feature descriptors are widely used in many computer vision applications, and recently various methods have been proposed. While there are many evaluations have focused on various aspects of local features, matching accuracy, however there are no comparisons considering on speed trade-offs of recent descriptors such as ORB, FAST and BRISK. In this paper, we try to provide a performance evaluation of feature descriptors, and compare their matching precision and speed in KD-Tree setup with efficient computation of Hamming distance.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recently proposed real valued descriptors such as ORB and FAST outperform state-of-the-art descriptors such SIFT and SURF in both, speed-up efficiency and precision/re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