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cipitation event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28초

대표농도경로 시나리오에 의한 미래 강수량의 지역빈도해석 (Regional Frequency Analysis for Future Precipitation from RCP Scenarios)

  • 김덕환;홍승진;최창현;한대건;이종소;김형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80-90
    • /
    • 2015
  • 기후변화로 인해 강우 패턴과 강우강도의 변동성이 커지고 있으며, 도시화 및 산업화에 따른 불투수면적의 증가로 인해, 집중호우에 따른 도시침수와 홍수피해가 심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홍수방어 대안 설정을 위한 설계 강수량(design rainfall) 또는 확률강수량에도 변화가 예상되므로 지역빈도해석을 통해 미래 확률강수량을 산정 및 분석하고자 한다. 기상청 산하 30년 이상의 관측치를 갖고 있는 58개 지점을 대상으로 과거 관측자료를 수집하고, 기후변화를 고려한 미래 확률강수량 추정을 위해 대표농도경로(RCP) 시나리오에 의한 강수량 자료를 이용하여 지역빈도해석을 실시하였다. 기후변화에 따른 강수량 자료의 편의를 제거하기 위하여 분위사상법(Quantile Mapping) 및 이상치 검정을 실시하였다. Hosking and Wallis(1997)가 제시한 L-moment방법을 이용하여 지역빈도 해석을 실시하였으며, 80년, 100년, 200년 빈도에 대한 미래 목표기간별 확률강수량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 21세기 말에 전국의 확률강수량이 현재의 관측 확률강수량에 비해 25 ~ 27% 상승하는 것으로 예측되며, 특히, 제주도 지역이 가장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미래 기후변화로 인한 강수량의 증가와 도시화에 따른 유출특성 변화로 자연재해 발생 및 피해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미래 홍수안전도를 위한 대비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시강우 자료를 이용한 계절별 강수특성 변화분석 (Characterization of the temporal variability of seasonal precipitation using hourly precipitation data)

  • 김광섭;조현곤;이재응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1년도 학술발표회
    • /
    • pp.399-399
    • /
    • 2011
  • 최근 한반도와 세계 곳곳에서 기후변화로 야기되는 이상기후에 의한 피해가 늘고 있으며, 그 피해 규모와 빈도 또한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 속에서 인적, 물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세계 각국이 기후변화에 대한 정확한 예측을 위한 많은 노력과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지금까지 수행된 연구들은 일반적으로 강수특성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 연 및 월 최대 강우량, 지속시간별 최대 강우량 등 총량적 개념을 이용한 연구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는 실제 강수사상의 구조적 변화를 파악하는 데 있어서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기상관측소 59개의 지점에 대한 1961년-2009년까지의 시계열 강수자료를 이용하여 지점 및 유역별 강수사상의 number of rain even, duration, intensity, quantity 시간분포 구조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number of rain event와 total quantity는 전국적으로 증가 하였으며 total rain hour는 남해안 지역을 제외한 전국에서 증가 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결과를 바탕으로 강수변화의 패턴과 추세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고 미래강수 예측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강우특성이 우수수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recipitation Characteristic on the Rainfall Water Quality)

  • 이창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7호
    • /
    • pp.805-811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itigate relationship between rainfall water quality and precipitation characteristic during the accumulated rainfall and rainless period.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ainfall water quality was improved in the rainfall duration.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rainwater quality and accumulated rainfall were $0.88{\sim}0.99$ except $Cl^-$. and that between rainless period and initial rainfall water quality were $0.62{\sim}0.75$. During the Asian dust event, concentration of the turbidity, BOD and electric conductivity were high. Therefore, it shows that the rainfall water quality is effected by atmospheric conditions before the rainfall events.

맥주매송게임에서 다구찌 방법에 의한 불확실 정보 기반 의사결정 연구 (Decision-Making based on Uncertain Information in a Beer Distribution Game U sing the Taguchi Method)

  • 이기광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62-168
    • /
    • 2010
  • Information is known to be a key element for the successful operation of a supply chain, which is required of the efficient ordering strategies and accurate predictions of demands.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to effectively utilize the meteorological forecast information in order to make decisions about ordering and prediction of demands by using the Taguchi experimental design. It is supposed that each echelon in a supply chain determines the order quantity with the prediction of precipitation in the next day based on probability forecast information. The precipitation event is predicted when the probability of the precipitation exceeds a chosen threshold. Accordingly, the choice of the threshold affect the performances of a supply chain. The Taguchi method is adopted to deduce a set of thresholds for echelons which is least sensitive to changes in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variability of demand distributions and production periods. A simulation of the beer distribution game was conducted to show that the set of thresholds found by the Taguchi method can reduce the cumulative chain cost, which consists of inventory and backlog costs.

IDENTIFICATION OF POSSIBLE MERCURY SOURCES AND ESTIMATION OF MERCURY WET DEPOSITION FLUX IN LAKE ONTARIO FROM LAKE ONTARIO ATMOSPHERIC DEPOSITION STUDY (LOADS)

  • Han, Young-Ji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0권6호
    • /
    • pp.306-315
    • /
    • 2005
  • Total gas phase mercury (TGM) concentrations and event wet-only precipitation for Hg were collected for nine months (from April, 2002 to Dec., 2002) at Sterling, NY on the shoreline of Lake Ontario. TGM concentrations measured in this study ($3.02{\pm}2.14\;ng/m^3$) were in somewhat high range compared to other background sites. Using simplified quantitative transport bias analysis (SQTBA) possible sources affecting high Hg concentration in Sterling was identified, and they are coal-fired power plants located in southern NY and Pennsylvania. Wet deposition measured at Mercury Deposition Network (MDN) sites including Pt. Petre and Egbert, ON were compared with data obtained at the Sterling to estimate the total mercury wet deposition flux to Lake Ontario. The wet deposition flux was calculated to be the highest at the Sterling site ($7.94\;{\mu}g/m^2$ from April, 2002 to Dec. 2002) and the lowest at the Egbert ($3.92\;{\mu}g/m^2$), due to the both the difference in precipitation depth and Hg concentration in the precipitation. The deposition measured at the Sterling site is similar to Lake Michigan deposition of $6-14\;{\mu}g/m^2$ (converted for ninth months) measured for Lake Michigan Mass Balance Study (LMMBS).

울릉도 추산용출소의 용출 특성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the Chusan Spring, Ulleung Island)

  • 조병욱;이병대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3권6호
    • /
    • pp.37-45
    • /
    • 2018
  • The source of Chusan Spring water in the Ulleungdo is the precipitation in the Nari caldera basin, which permeates in the Trachitic pumice and tuff area and moves downward, outflowing at the lithologic boundary between the trachyte and Nari tuff. It is known that the discharge rate of the Chusan Spring is large enough to be used for the small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but the exact discharge rate and hydrogeologic characteristics have not been known. The discharge rates of the Spring were measured 11 times, which ranged from $15,220m^3/d$ to $36,278m^3/d$. The discharge rates, measured by the automatic level recorder, for two-year period, were $20,000{\sim}38,000m^3/d$. The variation of discharge rates did not coincide with rainfall event, but showed daily increases of $3,000{\sim}5,000m^3/d$. The annual discharge rate excluding the evapotranspiration and the surrounding stream discharge corresponded to 70.6% of the annual precipitation of the recharge area. Therefore, meteorological observations at the Nari basin, rather than the Ulleung-do meteorological station, are more appropriate to properly interpret the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the Chusam Spring and the recharge rate of the basin.

토양 내 저장 강수율을 활용한 국내 표층 토양수분 메모리 특성에 관한 연구 (Surface soil moisture memory using stored precipitation fraction in the Korean peninsula)

  • 김기영;이슬찬;이용준;연민호;이기하;최민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5권2호
    • /
    • pp.111-120
    • /
    • 2022
  • 물의 흐름을 제어하는 토양의 기능을 정량적으로 계산하기 위한 방법인 토양수분 메모리(soil moisture memory)는 토양에 도달한 강수가 저장되고 배출되기까지 평균적으로 체류하는 시간을 평가한다. 본 연구에서는 2019, 2020년 한반도 지역에서 강수와 토양수분 위성 기반 모델 산출물을 활용하여 표층(0~5 cm)토양에서의 토양수분 메모리를 산출하고 이를 활용하여 연구지역 내 토양수분 메모리의 시공간적인 분포를 지표면의 경사 및 토양의 특성과 함께 평가하였다. 토양수분 메모리를 특성분석을 위해 강수 사건에 따라 토양수분의 증가를 추적하여 저장 강수율(Fp(f))이라는 새로운 측정 지표를 활용하였다. 강수 발생 초기(3시간 후)에는 산맥을 기준으로 토양 내 저장 강수율이 우선적으로 감소하여 토양수분 메모리의 공간적인 편차가 컸으며 24시간 이후 전반적으로 편차가 감소하였다. 토양 내 저장 강수율은 경사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형태가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토양 입자 크기의 구성 비율에 따른 토양 내 수분의 배수 활동에 의한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수리전도도 증감에 기여하는 평균토양수분이 저장 강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강수가 지면에 체류하는 시간에 대한 척도인 토양수분 메모리가 지표의 경사와 토양 특성과 갖는 관계를 규명하고 토양수분의 시공간적 변동성을 이해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Empirical Simulation Technique 기법을 이용한 집중호우의 극한강우 평가 (An Evaluation of Extreme Precipitation based on Local Downpour using Empirical Simulation Technique)

  • 오태석;문영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2B호
    • /
    • pp.141-153
    • /
    • 2009
  •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호우의 발생원인은 태풍과 집중호우로 구분할 수 있다. 태풍은 비정기적으로 우리나라에 영향을 끼치며 막대한 강우를 유발시키며, 집중호우는 전선형 호우와 같은 장마와 지형성 호우인 국지성 호우를 의미한다. 태풍과 집중호우는 매년 우리나라에 극한강우를 발생시킴으로써 침수 등의 재해를 유발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호우의 원인을 태풍과 집중호우로 구분하여, 집중호우로 인한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집중호우에 대한 평가는 돌발홍수와 같은 짧은 지속시간의 호우에 대한 분석에 활용할 수 있다. 확률강우량의 산정방법은 일반적인 매개변수적 지점빈도해석과 EST를 적용하였다. EST의 적용을 위하여 해수면온도 및 습윤지수와 같은 수문기상인자와 집중호우로 인한 연최대시간강수량과의 상관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상관성 분석 결과에서 우리나라의 집중호우로 인한 강우량은 해수면온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EST에 의해 산정된 확률강우량은 빈도해석한 확률강우량에 비하여 경기도 등의 우리나라의 서중부 지역에서 보다 큰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서중부 지역에서는 집중호우로 인한 극한강우 발생에 대비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지형 강제력과 하층제트 변화가 한반도 남동 지역 국지 강수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구 (Impact of Topographic Forcing and Variation of Lower-level Jet on Local Precipitation in Southeast Region of Korean Peninsula)

  • 채다은;김은지;김지선;이순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3
    • /
    • 2020
  • Recently, a heavy rainfall with high spatial variation occurred frequently in the Korean Peninsula. The meteorological event that occurred in Busan on 3 May 2016 is characterized by heavy rain in a limited area. In order to clarify the reason of large spatial variation associated with mountain height and location of low level jet, several numerical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sing the dynamic meteorological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WRF) model. In this case study, the raised topography of Mount Geumjeong increased a barrier effect and air uplifting due to topographic forcing on the windward side. As a result, wind speed reduced and precipitation increased. In contrast, on the downwind side, the wind speed was slightly faster and since the total amount of water vapor is limited, the precipitation on the downwind side reduced. Numerical experiments on shifting the location of the lower jet demonstrated that if the lower jet is close to the mountain, its core becomes higher due to the effect of friction. Additionally, the water vapor convergence around the mountain increased and eventually the precipitation also increased in the area near the mountain. Henc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lower jet is an important factor for accurately predicting precipitation.

주단위 표준강수증발산지수를 활용한 2014~2015년 북한의 극한 가뭄 평가 (Assessment of the Extreme 2014~2015 Drought Events in North Korea Using Weekly Standardize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 (SPEI))

  • 남원호;홍은미;최진용;김태곤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9권4호
    • /
    • pp.65-74
    • /
    • 2017
  • North Korea is one of the high vulnerable countries facing the threat of natural disaster and has experienced more frequent disasters in recent years. These disasters have significantly led to food shortages and large reductions in crop yields. In 2015, both North Korean officials and international agencies had identified the extreme drought event, the worst in one hundred years according to the North Korean governmen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an assessment of the extreme drought events in 2014~2015, and to apply climatic drought indices for drought monitoring in North Korea. Characteristics of the extreme drought in North Korea are examined by using the weekly-based Standardize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 (SPEI). The drought characteristics illustrated by the SPEI results are compared with a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results and drought impact information to understand how these indices can explain the drought conditions within the country.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SPEI could be an effective tool to provide improved spatial and temporal drought conditions to inform management decisions for drought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