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검색결과 267건 처리시간 0.02초

예비초등교사들의 시스템사고 능력 및 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biliti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s Thinking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 문병찬;김해경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 /
    • 제8권2호
    • /
    • pp.235-252
    • /
    • 2007
  • This study focused on the analysis of the abiliti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s thinking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ystems thinking is defined as the ability to see the world as a complex system in which one understands that everything is connected to everything else. For this study, 345 subjects carrying of the 2nd grade were selected and participated in making out the protocol developed by Sweeney and Sterman(2000) for the estimating ability of the systems thinking. As a result, the proportion of the correct answers based on the total points of view was 63%. However, the proportion of correct answer was considerab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gender. The women group showed 53%, while the men group was 76%. Especially, there was a great difference in the rates of correct answer depending on their academic tracks of the humanities or natural science courses in the high school. The average rates of the correct answers for the natural science and the human science were 84 and 46%, respectively. Consequently, the ability of the systems thinking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s highly related with their gender and learning experience in the high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contribute the practical use of the systems thinking in the area of the science education.

  • PDF

초등 예비교사들의 지속가능 발전에 대한 인식, 태도 및 실천 의지에 대한 조사 연구 (A Survey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Attitudes and Practical Intention toward Sustainable Development)

  • 최혜숙;심규철;소금현;여성희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3권2호
    • /
    • pp.129-144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sustainable development. Subjects were 152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surveyed by questionnaire. The instrument consisted of totally 41 items which were constructed by 3 components; 'the perception of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e attitude toward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y and environment' and 'the practical intention of personal change for sustainable lifestyle'. The key findings suggest that most students associate strongly the concepts of sustainable development with their environmental as against economic and social aspect. Most of them incline toward eco-centrism but they had complex attitudes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y and environment. They have intention to act for sustainable lifestyle such as purchasing habits, recycling, energy water saving, forms of transportation, nature conservation and education. However, they prefer to act passively than actively in a certain aspect of sustainable lifestyle. Understanding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of and attitudes toward sustainable development will be helpful to work out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in environmental education.

  • PDF

컴퓨팅 사고력 기반 초등예비교사의 수감각 능력 향상 방안 (A Way of Improving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Number Sense Based on Computational Thinking)

  • 김해규;김종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343-35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수감각이 요구되는 문제 해결과정에서 초등예비교사들이 선호하는 전략을 분석한 후, 컴퓨팅 사고력에 기반하여 수감각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연구함에 있다. 두 가지 다른 수감각 요소로 구성된 검사지를 이용하여 57명의 초등예비교사들이 선호하는 전략을 분석한 결과, 그들은 수감각 기반 전략보다 규칙기반 전략을 더 선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13][14][20]과 일치하였다.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분석된 결과와 CSTA와 ISTE(2011)의 9가지 컴퓨팅 사고력 요소를 활용하여 수감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초등학교 학생ㆍ예비 교사ㆍ현직 교사의 실험 기구 명칭과 용도에 대한 이해 (Elementary Students사, and Pre-service and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사 Understanding on the Name and use. of Labware)

  • 여상인;이병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3권1호
    • /
    • pp.44-49
    • /
    • 2004
  • This study was based upon the survey on the name of 13 basic experimental instruments used in elementary science class: Schale, evaporating dish, mortar & pestle, beaker, erlenmeyer flask, spuit(medicine dropper), graduated cylinder, balance, spatula, dropping bottle, gas collecting bottle, funnel, alcohol burner, and their uses. To implement this study, an open-ended, written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the subjects of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future elementary teachers who have attended at the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elementary students in Korea.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rates of in-service and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at knew correct name of experimental instruments were not high,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rates were especially very low. In this study, we found several reasons which they wrote inaccurately: the name to be represented at the textbook that they had studied, the confusion of the name about a fortis pronunciation, the recognition as the vocabulary like flask and cylinder to be meaningless, the habit to say in an everyday life, wrong expression in the internet and general book. All respondents had a wide range of perceptions of uses for the experimental instruments. Their understanding of uses for evaporating dish, erlenmeyer flask, balance, gas collecting bottle were very poor. And then most of them understood that graduated cylinder, beaker, and erlenmeyer flask were tools to measure the volume of solution or liquid, so they did not exactly distinguish the difference of their uses.

  • PDF

물속에서의 무게와 압력에 대한 초등 교사의 교수 내용 지식 분석 (The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n the Unit of "Weight and Pressure in Water")

  • 박재원;원정애;백성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2호
    • /
    • pp.226-241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regarding the subject of "weight and pressure in water". 6 elementary teachers in charge of the 6th grade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7 hour lessons were observed over $15{\sim}20$ days, and a variety of data including scenarios, questionnaires for teachers, interviews of teacher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eachers who had long career histories thought that the purpose of teaching science was to teach the use of science principles, and teachers who had only taught for a relatively short time thought the purpose was satisfying students' curiosity. Most of the teachers felt that the science content knowledge related to buoyancy was insufficient. They had acquired most of the science content knowledge from teaming experiences in middle and high schools.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didn't help them to satisfactorily acquire the science content knowledge under analysis here. Most of the teachers taught the science lessons according to the order of sequence as shown in the science textbook. They didn't teach the contents that they thought were needed if they were not already included in the science textbook. Only one teacher who had taken science courses in high school managed the science classes freely according to his own thoughts and opinions. Fro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could be concluded that mo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did not have enough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o teach their students effectively.

  • PDF

초등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과학 PCK에 대한 학업 열정 수준 비교 (Comparison of Academic Passion for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between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 임효진;강훈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1권4호
    • /
    • pp.690-700
    • /
    • 2022
  • 이 연구에서는 초등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과학 PCK에 대한 학업 열정 수준을 비교하였다. 또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별로 과학 내용학에 대한 학업 열정과 과학 교육학에 대한 학업 열정 수준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2학기에 교육대학에서 과학 관련 강좌를 수강하고 있는 비과학 심화전공 1~4학년 학생 182명과 초등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현직교사 161명을 선정한 후, 과학 내용학 및 과학 교육학에 대한 학업 열정 검사를 온라인으로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집단 내 비교에서는 과학 내용학에 대한 학업 열정의 경우 현직교사가 예비교사보다 '중요함'과 '좋아함'의 수준이 높았지만, 예비교사는 현직교사보다 '시간/에너지 투자'의 수준이 더 높았다. 과학 교육학에 대한 학업 열정에서는 예비교사가 현직교사보다 '시간/에너지 투자'의 수준이 높았지만, 다른 하위 영역에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집단 간 비교에서는 예비교사의 경우 '조화열정'에서만 과학 내용학에 대한 학업 열정보다 과학 교육학에 대한 학업 열정 수준이 더 높았다. 현직교사의 경우에는 '좋아함', '중요함', '시간/에너지 투자', '강박열정'에서 과학 교육학에 대한 학업 열정보다 과학 내용학에 대한 학업 열정 수준이 더 높았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였다.

초등교사 양성 대학의 초등수학교육에 대한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Elementary Mathematics Teaching-Learning Programs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 신준식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2권4호
    • /
    • pp.453-463
    • /
    • 2003
  •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e elementary mathematics teaching-learning programs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e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work is divided into two parts: One is the theory, the other is the practice. The theory deals with the foundations of mathematics, the objectives of mathematics education, the history of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learning, the theories of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and the methods of assessment. With respect to the practice, this study examines the background knowledge and activities of numbers and their operation, geometry, measurement, statistics and probability, pattern and function.

  • PDF

초등학교 교직수학에 관한 연구(2) - 교육대학교 교양수학 교재 분석 및 초등학교 교직수학 교수요목 탐색 (A Study on Mathematics for Elementary Teachers (part 2) - An Analysis of Textbooks for Liberal Mathematics in Elementary Teacher's Colleges and Groping for Syllabus of Mathematics for Elementary Teachers)

  • 정은실;박교식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0권1호
    • /
    • pp.115-137
    • /
    • 2000
  • In this paper, we tried to analyze 7 textbooks for liberal mathematics in elementary teacher's colleges in Korea and 3 foreign textbooks (2 American textbooks and 1 Japan textbook) which are believed to be used for pre-service education. We tried also to analyze in 3 lesson plans in homepages of Japan teacher's colleges. Next we tried to grope for syllabus of Mathematics for Elementary Teachers, and we suggested one syllabus. But we think that syllabus as a tentative one. So, it must be criticized by other researchers to be better one.

  • PDF

초등 예비교사의 응결 차시에 대한 과학 수업 설계 분석 (Analysis of Science Lesson Plan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bout Condensation)

  • 성승민;여상인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5권2호
    • /
    • pp.172-18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초등 예비교사의 초등 4학년 물의 상태 변화 단원 속 응결 차시에 대한 과학 수업 설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A교육대학교 2학년 초등 예비교사 29명이고, 선행연구 분석과 전문가 검토를 통해 초등 예비교사의 응결 차시에 대한 과학 수업 설계 분석틀을 도출하였다. 분석틀을 활용해서 과학 수업 지도안 및 서술 문항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예비교사의 응결 차시에 대한 과학 수업 설계에서 수업 모형 적용 능력은 편차가 있으므로 신장할 필요가 있고, 초등 예비교사의 응결 관련 개념의 정확한 이해 부분에 대한 지도가 필요하다. 둘째, 수업 과정 하위범주 속 수업 시작, 전개, 마무리 구성에서도 초등 예비교사의 편차가 있으므로 피드백을 통해 보완해야 한다. 셋째, 수업 환경 하위범주에서는 구체적인 수업 환경에 대한 노하우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그러므로 관련 PCK 신장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수업 평가 하위범주에서는 시기 및 주체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가지고 있고, 평가 내용 구성에서 학습 목표를 일부 누락한 경우가 있는 점은 보완 지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교원양성과정 속 과학교육 지도 방법과 편제에 대한 면밀한 논의를 통해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 수업 전문성이 신장될 수 있는 여건 마련이 필요하다.

상호작용적 독해 과정에서 생성된 질문과 답변의 분석을 통한 교사용 지도서와 초등예비교사의 내용지식 사이의 불일치 탐색 -'그림자와 거울' 단원을 중심으로 (An Exploration of Discrepancies between Text and Content Knowledge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rough an Analysis of Questions and Answers Created in the Interactive Reading of a Teacher's Guide: Focusing on a 'Shadow and Mirror' Unit)

  • 고아라;이지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53-263
    • /
    • 2023
  •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과학 빛의 직진과 반사 단원의 교사용 지도서 텍스트와 초등예비교사의 내용 지식 체계 사이의 불일치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예비교사 279명이 교사용 지도서의 '그림자와 거울' 단원의 정해진 분량을 읽고 생성한 과학 지식에 대한 질문 455개와 답변 543개를 분석하였다. 질문은 과학 개념의 종류와 불일치 유형에 따라 분류하였고, 답변은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질문의 과학 개념을 분석한 결과, 초등예비교사들은 직진 개념에서는 그림자에 대해, 반사에서는 상에 대해, 그 외 개념에서는 광원에 대해 가장 궁금해하였다. 부정확한 답변이나 무응답률이 높아서 정답률이 낮은 질문은 반사에 의한 빛의 중첩, 실험도구의 원리, 렌즈에 의한 상 등으로 초등과학 교육과정에 일부포함되어 있거나 심화된 내용이었다. 불일치 유형에 따라 질문은 분류하면, 지식 충돌에 의한 질문보다 지식 결핍에 의한 질문 빈도가 89.5%로 높게 나타났으며, 지식 결핍 유형 중 현상의 원인에 대한 설명 요구 유형이 45.9%로 질문도 가장 많고, 답변의 정확도도 가장 낮았다. 이를 통해 초등예비교사의 지식 결핍에 의한 인지적 불일치가 해소될 수 있도록 초등교육과정에 현상 중심으로 제시되어 다루지 않는 개념이라도 교사가 알아야 할 개념은 교사용 지도서의 내용을 보강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과서에 제시된 실험을 현장의 상황에 맞게 재구성할 때 정확한 실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실험 설정의 이유와 실험 도구의 작동 원리에 대한 추가 설명을 지도서에 포함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식 충돌에 의한 불일치는 현실에서 경험하는 것과 교과용 지도서에 제시된 내용이 충돌하여 생기는 사례가 많았다. 따라서 이를 해소하기 위해 우리 삶의 실제 맥락과 교과서 맥락에 대한 차이를 교사용 지도서에 포함하여 교사용 지도서 텍스트와 초등예비교사의 지식 사이의 불일치를 줄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