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dental hygiene curriculum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9초

미국과 캐나다의 전공전 치위생 교육과정 분석 (An Analysis of Pre-dental Hygiene Curriculum of Dental Hygiene Programs in USA and in Canada)

  • 조영식;김영진;안금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1-45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미국과 캐나다의 치위생 교육기관의 전공전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전공전 교육과정은 일반교육,생의학,치의학,치위생학의 네 가지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공전교육과정은 일반교육과 생의학 영역을 포함한다. 일반교육 영역은 구두 및 문서 커뮤니케이션, 사회학, 심리학 등의 교과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생의학 영역은 해부학, 생리학, 화학, 생화학, 면역학, 일반병리학, 영양학, 약리학을 포함한다. 전공전교육과정은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지역사회 프로그램의 참여에 필요한 수행능력을 제공하며, 치위생 서비스와 관련된 의사결정을 돕는다.

  • PDF

일부 치위생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시 교과목 효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ntal Hygiene Students' Curriculum Regarding Clinical Practice)

  • 장성연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1-18
    • /
    • 2021
  • Background: The present study aimed to analyze which curriculum is the most relevant to dental hygiene students when they participate in clinical practice in order to provide a useful reference for preparing educational guidance in this field. Method: The survey utilized in the present study consisted of six questions about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grade, satisfaction with major, amount of clinical practice, period of clinical practice, place of clinical practice, and the most interesting are during clinical practice. When evaluating curriculum relevancy, the following were ranked on a 5-point Likert scale, where 5 = very useful, 4 = comparatively useful, 3 = normal, 2 = comparatively unuseful, 1 = very unuseful: difference in requirements in the field of clinical practice, reason for this difference, and question about the utility of each curriculum. On this scale, higher points implied higher relevance. Result: The highest groups of curricula regarding curriculum utility were as follows: operative dentistry (59.6%), pre-clinical practice (55.2%), dental materials and clinical practice (54.4%), and prosthetic dentistry (49.6%). The lowest groups of curricula regarding curriculum utility were as follows: oral physiology (2.0%), oral histology and embryology (1.6%), and oral microbiology (1.2%). These results imply a lack of connection between the curriculum and tasks in clinical practic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t appears that both theory and practice courses of the clinical curriculum must be conducted systematically, and that there is a need to conduct education for the fundamental curricula, such as oral physiology, oral histology and embryology, and oral microbiology, regarding the relevance of tasks practiced in clinics.

DACUM 기법에 의한 치과코디네이터 실무형 교육과정 개발 (Development of practical curriculum for dental coordinator based on DACUM)

  • 조혜은;최충호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 /
    • 제42권4호
    • /
    • pp.187-198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uties of dental coordinators using the DACUM technique and to develop a practical training course for dental coordinators based on the results. Methods: The curricula for clinic coordinators across 20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analyzed. A board of DACUM specialists was assembled to analyze the role of dental coordinators and to develop a practical curriculum. Results: First, after analysis, we selected 8 duties and 34 tasks that should comprise the role of a dental coordinator, and the number of major tasks was 21. Second, the educational program for dental coordinators develop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a total of 60 hours, including 42 hours of lecture and 18 hours of practice. A pre-requisite curriculum and a final curriculum were developed, and the detailed educational contents and supplies were outlined for each subject. Third, after comparing it with the existing clinic coordinator curricula from 20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curriculum based on DACUM contained 11 additional fields. Conclusions: This study developed a more specialized, detailed, and practical dental coordinator curriculum based on DACUM. It is expected that more dental coordinators could be trained more professionally with this curriculum, and it could lead to further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한.일 치위생(학)과 현황과 일부 대학의 교육 과정 비교 -일부 한국 학생 요구도를 중심으로- (Current Status of Dental Hygiene and Comparison of Some Curriculums in Korea and Japan)

  • 정현자;후지와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4896-4906
    • /
    • 2010
  • 2010년 D대학 치위생과 3학년 200명을 대상으로 해외 진학 및 취업에 관심이 있는 아시아 국가를 조사한 결과, 일본이 114명(60.3%)으로 가장 높게 나왔고, '기회가 된다면 아시아권 해외 진학 및 취업을 희망하십니까?'라는 질문에 그렇다가 72명(38.1%)으로 가장 많았다. 가장 관심이 높았던 일본은 2년제 51개 대학, 3년제 101개 대학, 4년제 6개 대학으로 총 158개 대학에서 치위생학과가 개설되어 있었고, 학교 법인은 관동지방(간토)이 25개로 가장 많았다. 일개 학제별 한 일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교과목이 다수였으며, 3년제는 39개 4년제는 44개였다. 일본의 국가고시 교과목이 19개 과목으로 해부학 외 9개 과목이 100점, 치과임상개요의 치과임상개론 외 8개 과목이 50점, 치과진료보조 외 1과목이 50점으로 총 배점이 200점이였고, 일본의 4년제 치위생사양성과정은 졸업 후 치과위생사 면허와 함께 동경의과치과대학 치과구강보건학과에서 사회복지사, 히로시마대학 치과 구강건강과학과는 양호교사(보건교사) 1종 면허 등을 선택적으로 동시에 자격을 취득할 수 있도록 업무영역을 확대한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있다.

치위생 전공교육과 연계한 노인구강보건관련 봉사학습(SERVICE-LEARNING)의 효과 연구 (Effect of SERVICE-LEARNING related to Geriatric Oral Health according to Dental Hygiene Education)

  • 윤영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43-49
    • /
    • 2008
  • 전공봉사학습을 치위생 전공교과과목인 예방치위생학 및 실습 수업과 노인구강보건봉사활동 I, II를 D대학 치위생과 학생들 1, 2, 3학년 총 131명에게 2학기에 걸쳐 적용하여 그 경험적 효과성을 분석한 결과, 학생의 개인적 성장 측면에서는 자기효능감은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p < 0.05), 이타심 및 사회적 책임감도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아울러 자기효율성, 이타심 및 사회적 책임의 변화는 학년별로는 유의하였으며(p < 0.05), 봉사활동횟수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학년에 따른 자기효능감, 이타심 및 사회적 책임의 차이가 어떤 잡단간의 차이에서 기인한 것인지를 알아본 결과 1학년과 3학년 간, 2학년과 3학년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봉사학습 참여 후 예방치위생학 및 실습과 연계한 노인구강보건봉사학습에서 시행한 봉사활동과 교과목 구성에 대한 질문에 대한 평가결과 봉사학습 참여 후의 봉사활동 횟수와 봉사활동 만족도 점수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또한 봉사학습 참여 후의 봉사활동 횟수와 교과목 평가점수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p < 0.05).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치위생전공교육에 봉사학습을 적용했을 때 실제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봉사학습이 보다 다양한 교과목에 효과적으로 적용되고 활성화되도록 하기 위해서 다음의 제언을 하고자 한다. 차기연구에서는 기존의 강의중심의 수업과 봉사학습을 적용한 수업간의 비교연구, 과목에 따라 다양한 봉사학습의 효과를 규명하는 연구 등을 통해서 보다 면밀하게 봉사학습의 효과를 검증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 PDF

일부 예비치과 전문인력의 도덕성 발달수준 (Level of Moral Development in Pre-dental Professionals)

  • 곽정숙;문상은;김윤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03-108
    • /
    • 2012
  • 본 연구는 예비치과 전문인력의 도덕성 발달수준을 파악하고 윤리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10년 10월 전라북도 익산시에 위치한 2개 교육기관에 재학 중인 450명을 대상으로 간편형 도덕 판단력 검사지(DIT)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PC를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되었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치과대학생의 P(%)점수는 43.10이었고, 치위생과학생의 P(%)점수는 41.21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p=0.190). 2. 예비치과 전문인력의 도덕성 발달 단계별 점수는 5A단계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3, 4, 6, 5B, 2단계의 순으로 나타났다. 5B단계(p=0.014)와 6단계(p=0.010)에서는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예비치과 전문인력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도덕성 발달 단계별 점수는 치과대학생의 경우 인구학적 특성 중 성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6단계, p=0.003). 치위생과학생의 경우 종교(5B단계, p=0.044), 출생 순위(2단계, p=0.027), 성장지역(4단계, p=0.01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P(%)점수와 각 도덕성 발달 단계간의 상관관계는 2, 3, 4, 5B단계와는 역상관관계가 있었고, 5A, 6단계와는 순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일반 대학생에 비해 낮은 예비치과 전문인력의 도덕성 발달수준을 사회에서 요구하고 있는 치과 전문인력의 도덕성 발달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치과계 현실에 맞는 윤리교육과정이 마련되어 체계적인 윤리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회전법과 변형스틸맨법의 치면세균막 감소 효과 비교 (Comparison of Dental Biofilm Reduction between Rolling Method and Modified Stillman Method)

  • 한예슬;임순연;조영식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660-665
    • /
    • 2012
  • 본 연구는 회전법과 변형 스틸맨법간의 치면세균막 감소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천안 소재 대학교 31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무작위 배정한 순수실험을 설계하여 치면세균막 관리프로그램을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중재 전후에 따른 각 잇솔질의 치면세균막 관리를 비교한 결과 중재 전에 측정한 SPS Score와 ${\Delta}R30$에서 두 잇솔질 방법간의 차이는 나타났으나(p<0.05), 나머지 측정값들과 중재 후의 측정값에서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p>0.05). 2. 각 잇솔질 방법에 따른 중재 전 후의 치면세균막 관리를 비교한 결과 PCR, QLF-PCR, ${\Delta}R30$, ${\Delta}R60$에서 회전법과 변형 스틸맨법 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또한, 회전법보다 변형 스틸맨법 집단에서 치면세균막 지수는 더 큰 감소를 보였고, 잇솔질 교육 중재를 실행한 후 치면세균막 지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PCR과 QLFD 촬영 측정값의 관계에서 PCR과 육안검사 QLF-PCR의 관계, SPS Score와 그 하위 척도 ${\Delta}R$값들의 상관관계는 보였으나, PCR와 QLF값의 상관관계는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회전법과 변형스틸맨법의 치면세균막 관리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회전법보다 변형 스틸맨법 집단에서 치면세균막 감소차이는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고, 잇솔질 교육을 실행함으로써 치면세균막 지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