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chool Teacher

검색결과 537건 처리시간 0.029초

초등예비교사가 생각하는 좋은 과학수업의 특징: 대응쌍을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of Good Science Teachings regarded by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erms of Adjacency Pairs)

  • 이정아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2권1호
    • /
    • pp.1-9
    • /
    • 2013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good science teachings regarded by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t also aimed to suggest a direction of peer teaching practice to help preservic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djacency pairs were adop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good science teachings. The results showed that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ere accustomed to adjacency pairs. Almost of their discourse were organized by adjacency pairs. 'Question-Answer' and 'Request-Accept' were mainly used in science classes b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suggested science teacher educators to provide chances to analyze exemplary science teachers' science class or chances to analyze their science teachings in terms of competence of science classroom discourse.

MKT 적용과제에 나타난 초등예비교사의 반응 고찰 - 연꼴을 중심으로 (Analysi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sponses to MKT Applying Task - Focused on Kite)

  • 권성룡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4권2호
    • /
    • pp.255-274
    • /
    • 2012
  • 본 연구는 초등예비교사에게 교수를 위한 수학지식을 적용할 수 과제를 제시한 후 그 반응을 살펴봄으로써 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교수를 위한 수학지식을 적용할 수 있는 과제를 제시한 후 교육대학교 3학년에 재학중인 예비교사 77명을 대상으로 과제에 대한 반응을 분석하였다. 예비교사의 교수를 위한 수학지식의 적용을 위해서 기존 교육과정에서 지도되지 않는 '연꼴'개념을 도입하여 지도하는 과제를 제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예비교사들은 사각형 개념간의 관련성 및 지도계열과 관련된 자신들의 지식을 바탕으로 연꼴개념의 지도차시를 선택하고 이를 지도하기 위한 교재 및 수업지도안을 작성함으로써 자신들이 가진 교수를 위한 수학지식을 적용하였다. 반응을 분석한 결과와 더불어 교수를 위한 수학지식의 적용과 관련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중등 과학에서의 코티칭 수업 과정 분석 (Analyses of the Process of Coteaching Instruction in Secondary School Science)

  • 한재영;윤지현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3권1호
    • /
    • pp.152-163
    • /
    • 2009
  • 이 연구는 대학 강의 상황에서 두 예비 과학 교사들의 코티칭을 활용한 수업이 계획 준비되고, 실행되며, 평가 반성되는 과정을 자세히 기술하고 설명하며 이해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예비 과학 교사들은 수업에 대한 관점을 교환하며 코티칭 수업 모형과 내용을 선정하고 수업 자료를 공동으로 준비하였다. 강의실의 공간을 두 예비 과학 교사들이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수업을 이끌어가는 역할을 주고받으면서 코티칭 수업을 함께 진행하였다. 코티칭 수업에 직접적 간접적으로 참여하는 지도교수와 다른 예비 과학 교사들은 학생 또는 수업 비평가의 역할을 맡아 코티칭 수업을 도왔으며, 수업 후 평가와 반성을 공유하였다. 코티칭 수업이 중등 교육 현장, 과학 교사 교육, 과학 교육 등에서 가지는 의미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PDF

한국인과 중국인 예비 한국어 교사 대상 채점자 교육 사례 (A Case Study on Rater Training for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 of Native Speakers and Chinese Speakers)

  • 이두용
    • 한국어교육
    • /
    • 제29권1호
    • /
    • pp.85-108
    • /
    • 2018
  • This study pointed out the reality that many no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who lack rater training are scoring the learners' writing skill. The study performed and analyzed a case where pre-service teachers were educated in order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promoting rater training in a Korean language teacher training course. The pre-service teacher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the graduate school scored TOPIK compositions and were provided feedback by the FACETS program, which were further discussed at the rater meeting. In three scoring processes, the raters scored with conscious of own rating patterns and showed positive change or over correction due to excessive consciousness. Consequentially, ongoing training can improve rating ability, and considering the fact that professional rater training is hard to progress, the method composed of FACETS analysis and rater training revealed positive effects. On the other hand, the rater training including native Korean and non-native(Chinese) speakers together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mother tongue but by individual difference.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positive implication to the rating reliability of non-native speakers possessing advanced Korean language abilities. However, this must be supplemented through extended research.

초임 교사 멘토링을 통한 영어교사 심화연수 후 지속적 전문성 신장에 대한 사례연구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through novice teacher mentoring after in-service English teacher training)

  • 장경숙;김지영;정규태
    • 영어어문교육
    • /
    • 제17권2호
    • /
    • pp.219-245
    • /
    • 2011
  • This case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a primary English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was pursued through novice teacher mentoring after the six-month intensive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IIETTP). The teacher was involved in mentoring two novice teachers working at the same school. They observed each other's classes and exchanged their views on the classes, focusing on areas to be improved. The observation was done within a framework that consisted of pre-, during- and post-observation sessions. Data was gathered through retrospective entries kept after the post-observation meetings. The entrie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ir saliency, frequency and recurring patterns identified. The findings reveal that learning from the training course could be applied professionally and could serve to bridge the gap between training and teaching. It is also shown that the mente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was enhanced and the mentor teacher herself benefited from the collaborative learning process involved with working with the novice teachers. Some suggestions are made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school-based teacher development programs after the IIETTP.

  • PDF

고등학교 융합형 과학의 학습내용과 사범대학 예비과학교사 교육내용과의 연관성 분석을 통한 예비과학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 고찰 (Educational Implication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Education by Analysis of Connection between Learning Contents Presented in the High School 'Science' and in the Pre-Service Science Textbooks of College of Education)

  • 김남희;심규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363-374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과학 교과에서 추출한 학습 내용과 사범대학 예비과학교사 교재에서 추출한 교육내용을 비교하여 그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소위 융합형 과학으로 불리는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7종과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등 4개 과학 분야에서 사용하고 있는 11종 사범대학 예비과학교사 교재를 분석하였다. 고등학교 과학의 교육 내용과 예비과학교사 교재의 교육내용을 비교 분석한 결과, 관련성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에너지와 환경' 단원은 가장 많은 예비과학교사 교육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 고등학교 과학 교과 내용의 86.6% 정도가 사범대학 4개 분야의 교재에 소개되고 있을 뿐 나머지는 예비교사들이 스스로 공부해야 하는 부담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지어 일부 학습내용들은 그 내용 수준이 사범대학 예비과학교사 교육내용보다 높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게다가 또 다른 일부 학습내용들은 공학과 기술 영역에 포함되어, 이를 대비하기 위한 별도의 교사교육이 필요하다. 위와 같은 내용을 종합했을 때, 고등학교 과학 교과의 교육내용을 적정화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교과를 가르칠 교사와 예비교사들을 위해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예비과학교사들이 과학을 지도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사범대학 교육과정이 개편이 필요하다.

고등학교 교과서 활용 및 개선에 관한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A Study on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n the Use and Improvement of High School Textbooks)

  • 박소영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9권3호
    • /
    • pp.932-940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 of pre - service teachers in order to find out how paper textbooks are used in high school classes and what improvement is needed. Firstly,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erception about the utilization of textbook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Korean language, social studies, mathematics, science, and English, textbooks were used most frequently, and most of the respondents did not use textbooks for arts and physical education subjects. Secondly, Korean language, social studies, mathematics, science, and English textbooks are most frequently used as teaching materials. Third, in the case of Korean, social, mathematics, science, and English subjects, in addition to textbooks, problem collections were used most frequently and arts and physical education subjects showed the most use of prints. Next,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erception of the improvement method of the textbook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high school class, the response rate was high in that Korean, social, mathematics, science, and English classes needed a textbook. Most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were not necessary for the textbooks of arts and physical education subjects. Second, in order to improve the textbooks, the most demanding textbooks focused on the core basic contents, followed by self - directed learning activities, competency centered contents selection, cooperative learning activities, and teacher self - development. The demand for digital textbooks was low.

전기분해 생성물을 예상하는 과정을 통해 화학교사들과 예비 교사들이 가지는 개념의 문제점에 대한 분석 (The Problems of Chemistry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s in the Prediction of Electrolysis Products)

  • 박진희;백성혜
    • 대한화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519-526
    • /
    • 2004
  • 이 연구에서는 사범대학 화학교육과를 재학하고 있는 예비 교사들, 그리고 현직에서 화학을 가르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NaI 수용액의 전기분해 생성물을 예상하도록 하여 전기분해과정에 대한 이해를 알아보았다. 연구는 설문과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이들이 가지는 개념들을 비교하였다. 또한 이에 관련된 교과서 및 대학교 일반화학 교재의 내용을 분석하여, 교사들의 생각과 교재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전기분해 생성물을 예상함에 있어서 대다수의 예비 교사들은 표준전극전위를 적절하게 활용하지 못하였다. 반면 교사들은 표준전극전위를 활용하여 생성물을 예상하는 비율이 높았으나, 전기분해할 때 물이 산화환원 반응에 참여한다는 점을 이해하는 교사의 비율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고등학교 교과서의 서술에서도 일부 오류가 확인되었다.

디지털 시대에 요구되는 예비 초등교사의 과학 관련 협력적 문제해결역량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y Related to Science which Required in the Digital Age)

  • 나지연;윤회정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9권4호
    • /
    • pp.494-505
    • /
    • 2020
  • In this study, we surveyed characteristics of the science related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y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especially required in the digital age. The participants in online survey were 119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of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located in Gangwon province. The analyzed results of survey we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teachers performed their task responsibly in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ntext related to science. However, they lacked competencies in making rubrics for problem solving processes or outcomes, and setting up rules about team activities. Second, in using ICT technology, the competencies of utilizing tools such as app and software lacked compared with the competencies of searching data in online and using ppt. Thir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by their intensive major in university or selective subject in high school. Nevertheless, pre-service teachers majoring in natural science showed more persistence than those majoring in humanities in problem solving context. Finally, there was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except 'clear communication and accomplishment'. That is, female pre-service teachers performed more responsible in their task and showed more fluency in communication and presentation within their group than male counterpart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in the field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were discussed.

실생활 문장제에서 현실맥락 고려에 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분석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s about considering the realistic contexts in the word problems)

  • 이지현;이규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0권4호
    • /
    • pp.509-527
    • /
    • 2021
  • 이 연구는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1) 실생활 문장제의 해결 과정에서 현실맥락을 예민하게 고려하는지, 2) 교사 입장에서 문제의 현실맥락을 예민하게 고려한/고려하지 않은 학생 응답을 어떻게 평가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예비교사들 역시 학생들과 마찬가지로 일부 실생활 문장제에 대하여 현실맥락을 예민하게 고려하지 않았으며, 현실맥락을 예민하게 생각하지 않은 채 전형적인 풀이를 적용한 학생 응답을 현실맥락에 예민하게 반응한 답보다 높이 평가하였다. 예비교사 자신이 문제 해결 과정에서 현실맥락을 예민하게 고려했던 경우와 아니었던 경우 모두 학생의 현실맥락 고려를 문제 의도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혹은 문제 오류의 증거로 긍정적으로 수용하지 않았다. 예비교사들의 학생 응답에 대한 평가의견에 내포된 전제로부터 예비교사들이 수용했으며 실생활 문장제의 교수 학습 상황과 학생들에게 기대한 암묵적인 교수학적 계약을 구체적으로 관찰할 수 있었다. 실생활 문장제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탐색한 본 연구의 결과는 예비교사들이 실생활 문장제에 대해 가지고 있는 통상 교수학에 도전하고 수정할 수 있는 교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