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wer Constraint

검색결과 500건 처리시간 0.029초

반응도 제한법에 의한 KMRR의 시간 최적 출력 제어 (Time-Optimal Power Control for KMRR Using Reactivity Constraint Method)

  • Lee, Byung-Ill;Kim, Myung-Hyu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3권1호
    • /
    • pp.30-40
    • /
    • 1991
  • 한국형 다목적 연구로(KMRR)의 출력 자동제어를 위하여 새로운 제어이론으로 등장한 반응도 제한법을 시간 최적제어에 적용하여 보았다. 반응도 제한법은 원자로내의 반응도가 제어봉의 움직임으로 상쇄될 수 있는 반응도보다 항상 작도록 제한하여 준다. 이 방법을 시간 최적제어에 이용하기 위해 서 는 일정 한 원자로주기를 유지하도록 하는 반응도 값을 Dynamic Period Equation으로 얻어야 한다. 따라서 2점 동특성 방정식에 의한 Dynamic Period Equation이 새로 유도되었다. 이 제어법을 시험하기 위해 수학적 모델로 구성된 제어모델을 원자로 모의 전산코드인 KMRSIM에 적용하여 보았다. 반응도제한법도 출력의 시간 최적제어에서 신뢰할만한 결과를 보여줌을 알았다.

  • PDF

무선망의 효율적 전력 할당 알고리즘 (Efficient Power Allocation Algorithm for Wireless Networks)

  • 안홍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03-108
    • /
    • 2016
  • 통신 시스템에서 제한된 총 전력으로 여러개의 부채널로 이루어진 채널의 입력과 출력 사이의 상호정보를 최대화하는 문제의 해는 Waterfilling 구조를 가진다. 채널 상태 정보(CSI)를 알고 있을 때 OFDM이나 MIMO는 병렬의 독립된 부채널들로 분해 될 수 있다. 제한된 전력 하에 채널용량에 접근하는 전송속도를 위한 최적의 부채널 전력할당 문제의 해는 Waterfilling 으로 구할 수 있다. Waterfilling은 상태가 좋은(SNR이 높은) 부채널에 더 많은 전력을 할당하고 상태가 나쁜 채널들은 적은 전력이나 전력을 할당하지 않음으로서 상태가 좋은 부채널들의 전송속도를 높이고 결과적으로 전체 전송속도를 채널용량에 접근하게 한다. Waterfilling은 총 전력 제한을 만족하는 정확한 수면 높이를 찾는데 일반적으로 수면 높이를 추정하고 갱신해 나가는 반복적 알고리즘이 사용된다. 이 과정에서 부채널들에 대한 채널이득 제곱의 역수들의 부분합($\sum\limits_{n=1}^{Last}{\frac{N_0}{{\mid}h_n{\mid}^2}}$) 계산이 반복적으로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부분합들을 초기화 단계에서 미리 계산하여 배열을 만들고 임의의 부분합 계산을 배열 참조로 대치함으로서 Waterfilling 알고리즘의 계산 시간을 줄였다.

Compensation for Photovoltaic Generation Fluctuation by Use of Pump System with Consideration for Water Demand

  • Imanaka, Masaki;Sasamoto, Hideki;Baba, Jumpei;Higa, Naoto;Shimabuku, Masanori;Kamizato, Ryota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0권3호
    • /
    • pp.1304-1310
    • /
    • 2015
  • In remote islands, due to expense of existing generation systems, installation of photovoltaic cells (PVs) and wind turbines has a chance of reducing generation costs. However, in island power systems, even short-term power fluctuations change the frequency of grids because of their small inertia constant. In order to compensate power fluctuations, the authors proposed the power consumption control of pumps which send water to tanks. The power control doesn’t affect water users’ convenience as long as tanks hold water. Based on experimental characteristics of a pump system, this paper shows methods to determine reference power consumption of the system with compensation for short-term PV fluctuations while satisfying water demand. One method uses a PI controller and the other method calculates reference power consumption from water flow reference. Simulations with a PV and a pump system are carried out to find optimum parameters and to compare the methods. Results show that both PI control method and water flow calculation method are useful for satisfying the water demand constraint. The water demand constraint has a little impact to suppression of the short-term power fluctuation in this condition.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서 일차 사용자가 양방향 중계기를 사용할 때의 이차 사용자의 통신 용량 분석 (On the Capacity for the Secondary User with Primary Full Duplex Relay Network in Spectrum Sharing Systems)

  • 김형종;홍대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9권8호
    • /
    • pp.39-45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주파수 공유 환경에서 일차 사용자가 양방향 중계기 (full duplex relay, FDR)를 사용하는 경우의 이차 사용자의 통신 용량에 대해서 분석한 논문이다.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서, 이차 사용자가 일차 사용자의 주파수를 공유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일차 사용자의 시스템에 맞는 주파수 공유 기법이 연구되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오직 일대일 통신 기반의 일차 사용자 시스템만을 고려하였다. 일차 사용자가 FDR을 사용할 때는 일차 사용자의 중계기와 목적지가 이차 사용자로부터 동시에 간섭을 받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일대일 통신 기반의 주파수 공유 기법 보다 좀 더 엄격한 간섭 제약이 적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일차 사용자가 FDR을 사용하는 주파수 공유 시스템에서 평균 및 순시 간섭 파워 제약 조건 하에서의 이차 사용자의 통신 용량을 분석한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에서 간섭 제약을 고려했을 때의 성능 열화를 분석한다. 모의 실험 결과를 통해서 평균 간섭 파워 제약 조건 하에서의 이차 사용자 통신 용량과 일차 사용자의 통신 용량이 순시 간섭 파워 제약 조건 하에서의 통신용량보다 성능이 좋음을 확인하였다.

An Optimal Random Carrier Pulse Width Modulation Technique Based on a Genetic Algorithm

  • Xu, Jie;Nie, Zi-Ling;Zhu, Jun-Jie
    • Journal of Power Electronics
    • /
    • 제17권2호
    • /
    • pp.380-388
    • /
    • 2017
  • Since the carrier sequence is not reproducible in a period of the random carrier pulse width modulation (RCPWM) and a higher harmonic spectrum amplitude is likely to affect the quality of the power supply. In additio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and mechanical vibration will appear.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paper has proposed an optimal RCPWM based on a genetic algorithm (GA). In the optimal modulation, the range of the random carrier frequency is taken as a constraint and the reciprocal of the maximum harmonic spectrum amplitude is used as a fitness function to decrease the EMI and mechanical vibration caused by the harmonics concentrated at the carrier frequency and its multiples. Since the problems of the hardware make it difficult to use in practical engineering, this paper has presented a hardware system. Simulations and experiments show that the RCPWM is effective. Studies show that the harmonic spectrum is distributed more uniformly in the frequency domain and that there is no obvious peak in the wave spectra. The proposed method is of great value to research on RCPWM and integrated power systems (IPS).

Power Saving and Improving the Throughput of Spectrum Sharing in Wideband Cognitive Radio Networks

  • Li, Shiyin;Xiao, Shuyan;Zhang, Maomao;Zhang, Xiaoguang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17권4호
    • /
    • pp.394-405
    • /
    • 2015
  • This paper considers a wideband cognitive radio network which can simultaneously sense multiple narrowband channels and thus aggregate the detected available channels for transmission and proposes a novel cognitive radio system that exhibits improved sensing throughput and can save power consumption of secondary user (SU)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ognitive radio system studied so far. More specifically, under the proposed cognitive radio system, we study the problem of designing the optimal sensing time and power allocation strategy, in order to maximize the ergodic throughput of the proposed cognitive radio system under two different schemes, namely the wideband sensing-based spectrum sharing scheme and the wideband opportunistic spectrum access scheme. In our analysis, besides the average interference power constraint at primary user, the average transmit power constraint of SU is also considered for the two schemes and then a subgradient algorithm is developed to obtain the optimal sensing time and the corresponding power allocation strategy. Finally, numerical simulations are presented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two proposed schemes.

Power allocation for full-duplex NOMA relaying based underlay D2D communications

  • Li, Song;Li, Shuo;Sun, Yanji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3권1호
    • /
    • pp.16-33
    • /
    • 2019
  • In this paper, a full-duplex NOMA relaying based underlay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 scheme is proposed, in which D2D transmitter assists cellular downlink transmission as a full-duplex relay. Specifically, D2D transmitter receives signals from base station and transmits the superposition signals to D2D receiver and cellular user in NOMA scheme simultaneously. Furthermore, we investigate the power allocation under the proposed scheme, aiming to maximize D2D link's achievable transmit rate under cellular link's transmit rate constraint and total power constraint. To tackle the power allocation problem, we first propose a power allocation method based on linear fractional programming. In addition, we derive closed-form expressions of the optimal transmit power for base station and D2D transmitter.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erformance of two solutions matches well and the proposed full-duplex NOMA relaying based underlay D2D communication scheme outperforms existing full-duplex relaying based D2D communication scheme.

멀티 유저 OFDM 시스템에서 QoS 보장을 위한 서브캐리어와 파워 할당에 관한 연구 (A Sub-optimal Joint Subcarrier and Power Allocation Algorithm for Qos Supporting in Muliuser OFDM Systems)

  • 심우철;이상재;김세헌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17-420
    • /
    • 2006
  • This paper suggests that resource allocation algorithm in multiuser orthogonal frequncy divisioin multiplexing (OFDM). The proposed algorithm considers throughput maximization with power constraint and quality of service (QoS) constraint. This problem has a optimal solution with using well known water-filling algorithm but the algorithm requires high computational complexity. Therefore the problem needs a sub-optimal algorithm for decreasing computational complexity. We propose a sub-optimal joint subcarrier and power allocation algorithm for multiuser OFDM system and compare with previous resource allocation algorithm.

  • PDF

새로운 등호제약조건을 고려한 개선된 유전알고리즘 기반의 송전손실 최소화 (IGA-Based Transmission Loss Minmization considering A New Equality Constraint)

  • 채명석;이명환;김병섭;신중린;임한석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0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전문대학교육위원
    • /
    • pp.104-106
    • /
    • 2000
  • This paper presents an algorithm for optimal reactive power dispatch problem based on Improved Genetic Algorithm(IGA). Optimal Reactive Power Dispatch (ORPD) is particularized to the minimization of transmission line losses by suitable selection of generator reactive power outputs and transformer tap setting. For the objective, in this paper, Loss Re-Distribution Algorithm(LRDA) is new applied to the equality constraint of ORPD. The proposed method has been evaluated on the IEEE 30 bus system. Results of the application of the method are compared with a base case.

  • PDF

Cognitive Relay 네트워크에서 일차 사용자의 Outage 제약 조건 하에서의 이차 사용자의 파워 할당 기법 및 성능 분석 (Power Allocation and Performance Analysis for the Secondary User under Primary Outage Constraint in Cognitive Relay Network)

  • 김형종;홍대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9권8호
    • /
    • pp.46-51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무선 인지 중계 네트워크에서의 파워 할당 기법에 대해서 연구한다. 무선 인지 중계 네트워크는 주파수 공유를 통해서 주파수 효율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중계기의 사용으로 시스템의 커버리지를 확장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주파수 공유를 위해서 이차 사용자가 일차 사용자 사이와의 채널 정보를 완벽하게 알아야 한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이 채널 정보는 시변 특성 또는 피드백 지연 등의 이유로 이차 사용자가 불완전한 채널 정보를 얻게 된다. 이러한 불완전한 채널 정보로 인하여 결국 이차 사용자는 간섭 제약을 위반하게 되고 주파수를 공유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일차 사용자의 허용 가능한 outage확률 간섭 제약을 만족하는 이차 사용자의 파워 할당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파워 할당 기법은 순시적인 채널 정보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이차 사용자의 피드백 부담을 덜어줄 뿐만 아니라 지연된(outdated) 채널 환경에 관계없이 간섭 제약을 만족시키는 장점을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