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ultry manure compost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4초

축분 퇴비의 이화학적 특성과 발아지수를 이용한 부숙도 평가 (Evaluation of Compost Maturity by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Germination Index of Livestock Manure Compost)

  • 장기운;홍주화;이종진;한기필;김남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37-142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humification grade of compost, based on physico-chemical property and phyto-toxicity during the composting with three kinds of livestock manures and saw dust. The ratios of the compost, which was mixed with pig manure(P) and sawdust(S) were 4 : 6(PS-1), 5 : 5(PS-2) and 6 : 4(PS-3); poultry manure(PO) and sawdust(S) were 4 : 6(POS-1), 5 : 5(POS-2) and 6 : 4(POS-3); cow manure(C) and sawdust(S) were 4 : 6(CS-1), 5 : 5(CS-2) and 6 : 4(CS-3) by volume to volume, and they were decomposed for 60 days. In the result, the temperature in all treatments during composting rapidly increased above $65.4^{\circ}C$, and then gradually decreased to around $40^{\circ}C$. At 60 day, after the treatment, pH 5.9 ~ 8.0 at the incipient stage increased to 7.6 ~ 8.5, and the C/N ratio was 13.8 ~ 21.1 at the final composting stage. Germination Index(G.I.) showed in the range of 75.1 ~ 94.6 in all treatments at day 60. Therefore, it is likely recommended to take the best humification grade when the temperature maintains above $65^{\circ}C$ longer than a day at minimum, in the range of pH 6.5 ~ 8.5 for the final compost, under 20 of C/N ratio, and G.I. above 80. The level of G.I. above 80 should be the mature compost which could be used in the field without gas demage to crops.

Efficiency of Various Nutritional Sources to Improve Physical Properties of Saline-Sodic Soil

  • Noor-Us-Sabah, Noor-Us-Sabah;Sarwar, Ghulam;Ibrahim, Muhammad;Tahir, Mukkram Ali;Iftikhar, Yasir;Haider, Muhammad Sajjad;Han, Kyung-Hwa;Ha, Sang-Keun;Zhang, Yong-Seo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93-97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various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to improve physical properties of soil. Saline sodic soil (saturation percentage = 40.36%, $EC_e=5.15dS\;m^{-1}$, $pH_s=8.70$, $SAR=18.84(m\;mol\;L^{-1})^{1/2}$, bulk density =$1.49Mg\;m^{-3}$) was collected, brought to wire house and filled in pots after laboratory analysis for various parameters. Different sources of organic nutrients like farm manure (FM), press mud, compost, poultry manure and sesbania green manure were analyzed for their chemical composition. The experiment comprised of 12 treatments replicated thrice; $T_1$: control (recommended NPK), $T_2:{\frac{1}{2}}$ recommended NPK, $T_3$: FM at 1.5% by soil weight, $T_4$: pressmud at 1.5% by soil weight, $T_5$: compost at 1.5% by soil weight, $T_6$: poultry manure at 1.5% by soil weight, $T_7$: sesbania green manure at 1.5% by soil weight, $T_8:T_2$ + FM at 0.75% by soil weight, $T_9:T_2$ + pressmud at 0.75% by soil weight, $T_{10}:T_2$ + compost at 0.75% by soil weight, $T_{11}:T_2$ + poultry manure at 0.75% by soil weight, $T_{12}:T_2$ + sesbania green manure at 0.75% by soil weight. These treatments were applied using completely randomized (CR) design and appropriate time was given to decompose these organic nutritional sources. Seeds of wheat cultivar Sahar-2006 were sown. After harvesting the wheat,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each pot and analyzed for various physical properties like bulk density, porosity and saturation percentage. An improvement in physical properties (bulk density, porosity and saturation percentage) of soil was noticed with the application of various organic nutritional sources but role of compost alone ($T_5$) remained prominent.

이축분종(異畜糞種) 퇴비에서의 중금속 화학종분화(化學種分化) (Heavy Metal Speciation in Compost Derived from the Different Animal Manures)

  • 고한종;최홍림;김기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2호
    • /
    • pp.273-282
    • /
    • 2004
  • 축분퇴비를 농경지에 환원시키는 방안은 작물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는 측면외에도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을 개선시켜 비옥도를 증진시키는 긍정적인 면인 있으나 중금속 함량이 높은 퇴비의 연용은 토양 내 중금속을 집적시켜 잠재적인 위해(危害).수준에 이를 수 있다. 그러므로 퇴비의 안전한 사용을 위해서는 총 중금속 함량과 더불어 생태계로의 이동 및 식물에 흡수 이용될 수 있는 중금속의 화학적 형태에 대한 정보가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톱밥이나 왕겨를 수분조절재로 이용한 축분퇴비에 대해서 총 중금속 농도와 중금속 화학종분화(化學種分化)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퇴비의 조제원료로 사용된 축분의 종류에 따라 돈분퇴비, 계분퇴비 및 혼합분퇴비(돈분+계분+우분)로 분류하여 각각 25점씩 총 75점에 대한 축분퇴비시료를 전국에 걸쳐 수집하였다. 분석대상 중금속 원소는 Cr, Ni, Cu, Zn, As, Cd 및 Pb이며, 분석방법은 산분해법에 의한 총 중금속 농도와 단계별 추출법에 의한 치환태, 흡착태, 유기태, 탄산태 및 황화물 잔류태로 분류하여 화학적 분포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에 사용된 모든 축분퇴비의 총 중금속 함량은 비료관리법의 허용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또한 돈분퇴비의 총 중금속 함량은 계분퇴비나 혼합분 퇴비에 비해 Cr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높게 분석되었다. 축분 퇴비에 다량으로 존재하는 중금속 원소인 Zn, Cu의 함량은 건물(建物)기준으로 각각 157${\sim}$839mg Zn/kg, 47${\sim}$458mg Cu/kg으로 퇴비에 사용된 가축분의 종류에 따라 편차가 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추출된 중금속의 주된 형태는 Cr, Ni, Zn, As 및 Pb은 황화물 잔류태, Cu는 유기태, Cd은 탄산염태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 축분퇴비 내 중금속의 화학적 분포를 현행 총 중금속 허용기준에 추가 기준으로 지정하는 퇴비공정규격의 개정이 필여하다고 사료된다.

한약탕제찌꺼기 발효퇴비 처리에 따른 복분자과실의 생리활성 (Effect of Composts Fermented with Korean Medicinal Herb Wastes on Physiological Activity of Rubus coreanus Miquel (Bokbunja))

  • 김성조;김재영;백승화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43-252
    • /
    • 2011
  • 본 연구는 한약탕제 찌꺼기를 친환경 퇴비자원으로서 재활용하기 위하여 발효과정을 거친 퇴비(MHWC: medicinal herb waste compost)와 계분퇴비(PMC: poultry manure compost) 및 이를 혼합한 퇴비(MHWC+PMC, 1:1)를 식재 2년생 복분자 포장에 무처리(0), 20, 40 Mg/ha로 처리하여 꽃이 첫 개화한 시기를 기점으로 15, 20, 25 DAF(day after flowering)를 수확시기로 하여 수확한 복분자 과실의 생리활성을 조사하여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복분자의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15 DAF 과실에서와는 달리 20, 25 DAF 과실에서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다(p<0.05). 수확시기별로는 25>20>15 DAF 순이었고, 그 함량은 40 MHWC Mg/ha가 가장 높았다. Flavonoid 함량변화는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변화와 유사하였다. 전자공여효과는 15, 20 DAF 과실에서는 차이가 없었지만, 25 DAF 과실에서는 낮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효과는 pH 1.2>4.2>6.0 순으로 pH 의존적인 경향이었으며 15, 20 DAF 과실보다 25 DAF 과실이 저하되었다. Tyrosinase 저해효과는 MHWC 처리구가 가장 우수하고 처리량에 따라 저해효과가 증가되었으며 15, 20 DAF 과실은 25 DAF 과실보다 낮은 효과를 보였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25 DAF 과실의 MHWC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고, PMC 및 MHWC+PMC처리구와 UC와의 차이는 인정하기 어려웠다. 이상의 결과에서 MHWC 처리에 따른 복분자 과실의 생리활성이 증가경향을 보여 친환경퇴비자원으로서 가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한약추출박 퇴비가 토양의 화학적 특성 및 복분자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mposted Medicinal Herb Waste on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Rubus coreanus Miquel (Bokbunja) Quality)

  • 김성조;김재영;백승화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72-481
    • /
    • 2011
  • 본 연구는 한약탕제 찌꺼기를 친환경 퇴비자원으로서 재활용하기 위하여 발효과정을 거친 퇴비(MHWC; medicinal herb waste compost)와 계분퇴비(PMC; poultry manure compost) 및 이들을 혼합한 퇴비(MHWC+PMC, 1:1)를 식재 2년생 복분자 포장에 무처리(UC; untreated control, 0), 20, 40 Mg/ha로 각각 처리하였다. 밭 토양의 화학성과 수확한 복분자 과실의 수량 및 당도변화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토양 pH는 UC보다 모두 증가하여 유의적인 pH 변화 조절기능이 인정되었다. EC는 MHWC 처리구가 UC보다 0.56-0.46 배 감소를 보였으며, PMC 처리구와 차이가 있었다. 유기물 함량과 질소함량은 퇴비 종류와 무관하게 증가하였고, 가장 증가된 퇴비는 MHWC이었다. 유효인산함량은 퇴비 종류 및 처리량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각 퇴비를 처리한 토양의 중금속 함량은 토양오염우려기준보다 낮았다. MHWC 처리구의 수량과 당도는 다른 처리구에 비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MHWC 처리는 복분자 경작지의 토양환경개선과 더불어 복분자 과실의 수량 및 당도를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퇴비자원인 것으로 사료된다.

곤충에 의한 계분의 분해 특성평가에 대한 연구(2) (A Case Study on Facilitating the Decomposition of Poultry Manure using Insect Larvae(2))

  • 장우환;문상철;최인학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1권11호
    • /
    • pp.993-997
    • /
    • 202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structure and composition (i.e., pH, moisture, total-N, pathogens, and volatile fatty acids) of broiler and duck manure treated with larvae of three insect larvae, namely, Tenebrio molitor,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and Ptecticus tenebrifer. Hatched Tenebrio molitor (n=300),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n=60), and Ptecticus tenebrifer (n=300) were used in this study; specially, the larvae were divided into six treatments with three replicates. The treatments were as follows: T1: 110 g broiler manure + Tenebrio molitor larvae (n=50), T2: 110 g duck manure + Tenebrio molitor larvae (n=50), T3: 125 g broiler manure +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larvae (n=10), T4: 125 g duck manure +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larvae (n=10), T5: 105 g broiler manure + Ptecticus tenebrifer larvae (n=50), and T6: 105 g duck manure + Ptecticus tenebrifer larvae (n=50). For all the larval treatment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served: The moisture content of the duck manure treat with three insect larva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broiler manure (p<0.05), whereas broiler manure had a higher pH (p<0.05). In addition, the total nitrogen content of broiler manure was higher than that of duck manure (p<0.05). However, the insect larva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pathogens (E.coli and Salmonella) and the volatile fatty acids (p>0.05). In conclusion, the use of the three insect larvae to create organic nitrogen compost using poultry manure is feasible.

유용미생물처리 음식물쓰레기와 계분 혼합물 퇴비화 특성 (Composting Characteristics of Food Waste - Poultry Manure Mixture Inoculated with Effective Microorganisms)

  • 홍지형;박금주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9-68
    • /
    • 2009
  • 농업은 작물잔사, 가축분뇨, 음식쓰레기 등의 지역자원을 퇴비화하여 이용하는 순환산업이며, 작물 생육은 빛, 물, 공기, 온도 및 양분 등이 필요하며 유해물질이 없어야한다. 유용미생물처리 음식쓰레기와 계분혼합물 횡형 밀폐원통형 교반방식 퇴비화처리시설에서 얻어진 최종퇴비는 발아율, 산소호흡지수 및 염분농도 등의 수치가 작물 생육에 유해하므로 부적합하였다. 생산된 유용미생물처리 음식쓰레기와 계분혼합물 퇴비를 분석한 결과, 퇴비공정규격, 건물기준 유기물 함량 60% 이상, 유기물대 질소비 50 이하, 탄질비 20 이하를 충족하고, 중금속함량이 미량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발아율이 60% 이하, 칼리 성분이 1.2%,dm 이상 및 염분농도가 1.4%, dm 이상 등으로서 부적합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생물계폐기물 자원순환을 위한 유용미생물처리 고속퇴비화시설의 건설은 환경 친화적인 양질퇴비생산으로서 지역자원을 순환 이용하는 사회 구축이 목표이므로, 인근주민과 주변 환경에 악영향을 차단하기 위하여 양질퇴비 생산과 함께, 오폐수, 분진, 소음, 진동, 악취 및 이물질을 분리 배출하는 고효율설비가 부수적으로 반드시 필요하였다.

  • PDF

유기물원이 다른 퇴비연용시 퇴비시용 한계량 연구 (Amount of Maximum Compost Application on the Long-term Application with Different Organic Material Sources in Upland Soil)

  • 김종구;정광용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82-192
    • /
    • 2000
  • 본 연구는 밭토양에서 종류가 상이한 퇴비시용 시 퇴비시용 한계량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공시토양은 양토와 사양토를 사용하였고, 시험에 사용한 퇴비의 종류는 계분퇴비, 우분퇴비, 분뇨잔사 및 식품오니퇴비 이었다. 퇴비 시용량은 0, 40, $80Mg\;ha^{-1}$ 수준이었고, 공시작물은 콩과 옥수수로서 1994년부터 1997년도까지 4년간 연작을 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옥수수의 건물생산량은 퇴비 시용량이 증가될수록 증가되었으나 콩은 퇴비 $60Mg\;ha^{-1}$ 시용까지는 증가되다가 그 이상은 감소되었다. 질소와 인산 이용율은 옥수수가 콩보다 많았으며, 질소 이용율은 옥수수가 21~31%, 콩은 8~19%였고, 인산 이용율은 옥수수와 콩이 각각 5~7%. 1~2%로 낮은 편이었다. Biomass기준 계분퇴비 시용 한계량은 옥수수재배시는 $39{\sim}47Mg\;ha^{-1}$ 콩 재배시는 $8{\sim}13Mg\;ha^{-1}$범위 이었다. 작물의 질소 요구량을 기준으로 하였을 경우는 옥수수 $123Mg\;ha^{-1}$, 콩은 $87Mg\;ha^{-1}$였고, 인산기준으로는 옥수수 $29Mg\;ha^{-1}$ 콩은 $14Mg\;ha^{-1}$범위였다. 토양의 염기포화도 80%를 한계수준으로 평가한 토성별 퇴비시용 한계량은 옥수수재배시 양토는 $69{\sim}93Mg\;ha^{-1}$, 사양토는 $49{\sim}69Mg\;ha^{-1}$범위이었다.

  • PDF

수분조절제로서 피트모스 및 코코피트를 이용한 계분 발효 특성 및 시비효과 (Plant Growth Responses and Characteristics of Composting of Poultry Manure with Peatmoss and Cocopeat as Bulking Agent)

  • 김영선;이태순;조성현;정제용;안지예;이종진;한기필;홍주화
    • 유기물자원화
    • /
    • 제25권1호
    • /
    • pp.79-86
    • /
    • 2017
  • 본 연구는 계분 발효에서 수분조절제로 톱밥을 대신하여 피트모스와 코코피트를 사용하였을 때, 계분발효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시비효과를 조사하였다. 처리구는 계분 단독처리구(OP), 톱밥+계분처리구(SP), 피트모스+계분처리구(PP) 및 코코피트+계분처리구(CP)로 설정하였다. OP나 SP 처리구와 비교할 때, 계분 발효시 $50^{\circ}C$이상을 나타내는 기간이 PP와 CP 처리구에서 35일로 약 10일 정도 길었고, 퇴비화 후 45일 경 PP와 CP 처리구의 수분 함량은 약 50% 정도로 10% 정도 높은 경향을 보였다. 계분 발효과정에서 PP와 CP 처리구의 EC는 SP 처리구보다 증가하였고, pH와 유기물대 질소비는 처리구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발효 종료 후 가공계분의 질소, 인산 및 칼리함량은 가공계분의 공정규격에 적합하였다. 상추, 케일 및 갓에 대한 재배시험 결과, PP와 CP 처리구는 OP나 SP 처리구보다 생육이 우수하였고 수량이 증가하였다.

퇴비제조시(堆肥製造時) Zeolite의 혼입효과에 관(關)한 연구(硏究) (Effect of Zeolite Supplement on the Composition of Compost)

  • 최대웅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23-227
    • /
    • 1983
  • 볏짚퇴비(堆肥) 제조시(製造時) 염기치환용량(鹽基置渙容量)이 큰 Zeolite를 첨가(添加)하여 퇴적기간중(堆積期間中) 각종양분(各種養分)의 함량(含量) 및 퇴비성상(堆肥性狀)의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퇴비(堆肥) 제조시(製造時) Zeolite를 첨가(添加)하여 줌으로써 무첨가(無添加)에 비(比)하여 부숙온도(腐熟溫度)가 현저(顯著)히 높게 유지(維持)되는 경향(傾向)이었다. 2. 퇴적기간중(堆積期間中) $NH_4-N$, $P_2O_5$$SiO_2$ 함량(含量)은 Zeolite, 계분(鷄糞), 요소등(尿素等)의 첨가(添加)로 증가(增加)되었으며 부숙(腐熟)이 진전(進展)됨에 따라 증가폭(增加幅)이 더 큰 것으로 보아 Zeolite의 양분류실효과(養分流失效果)과 있었던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3. 계분(鷄糞), 요소등(尿素等)과 함께 Zeolite를 첨가(添加)하였을 때 퇴적후(堆積後) 30일(日)에 C/N율(率)이 21.7~25.0 이었고, Zeolite 무첨가시(無添加時)는 준적후(准積後) 60일(日)에야 C/N율(率)이 21.3~24.8로써 속성퇴비제조(速成堆肥製造)와 양분(養分)의 유실방지(流失防止)를 위(爲)한 Zeolite의 효과(效果)가 인정(認定)되었다. 4. 퇴적후(堆積後) 90일(日)의 C/N율(率)과 용적감소율(容積減少率)과는 부(負)의 유의상관(有意相關)이 인정(認定)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