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uch

검색결과 361건 처리시간 0.029초

Retort Pouch 쌀밥의 포장(包裝) 진공도(眞空度)가 제품(製品)의 식미특성(食味特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Vacuum Levels on the Palatability Characteristics of Rice Packed in Retort Pouch)

  • 최광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05-208
    • /
    • 1984
  • Retort pouch포장 쌀밥의 포장내(包裝內) 진공도(眞空度)가 제품(製品)의 식미특성(食味特性)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하기 위하여 밀양 23호 쌀로 전기밥솥에서 취반한 보통밥과 진공도 30 cm Hg (RP-30)와 75 cm Hg(RP-75)로 retort pouch 포장한 쌀밥에 대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고 이 결과에 따라 각 처리구에 대한 식미특성 (외관, 향기, 맛, 찰기, 경도, 식미의 종합평가)의 평균평점에 대하여 통계적인 방법으로 유의성 검정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처리간의 외관은 F값이 $47.28^{**}$로써 고도의 유의차가 있었고 종합적 식미, 찰기, 맛에 있어서도 고도의 유의차가 있었다. 경도 및 향기도 유의차가 있어서 retort pouch내의 진공도가 쌀밥 제품의 식미특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침을 보여 주었다. 2. Duncan의 다중비교검정법(多重比較檢定法)으로 retort pouch 쌀밥의 포장 진공조가 식미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유의성 검정 결과 외관, 향기, 맛 및 식미의 종합평가에 있어서 보통밥과 RP-30간에는 유의차가 없었으나 이들과 RP-75의 retort pouch포장 쌀밥과는5% 수준에서 모두 유의차가 있었다. 찰기는 3처리 상호간 모두 유의차가 있었고 retort pouch내의 진공도가 높을수록 찰기가 높았다. RP-30 쌀밥과 RP-75의 쌀밥의 경도에 있어서 유의차가 있었다. 3. Retort pouch 쌀밥의 식미특성 상호간의 단순상관을 조사한 결과 식미의 종합평가와는 맛 ( $r=0.793^{**}$), 향기($r=0.640^{**}$), 외관($r=0.576^{**}$) 및 경도($r=0.562^{**}$)의 순으로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 PDF

흰쥐의 Carrageenin 유발 늑막염과 Croton oil 유발 육아종양에 미치는 Cyclobuxine D의 영향 (Effects of Cyclobuxine D on Carrageenin-induced Pleurisy and Croton Oil-induced Granuloma Pouch in Rats)

  • 이종화;박영현;조병헌;김유재;김종배;김정목;김천숙;차영덕;김영석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51-157
    • /
    • 1987
  • Steroidal alkaloid인 cyclobuxine D의 carrageenin으로 유발한 늑막염과 croton oil로 유발한 육아종양에 대한 영향을 관찰하고 그 작용을 aspirin, dexamethasone과 hydrocortisone의 작용과 비교하였다. Carrageenin으로 유발한 늑막염에서 혈장 삼출정도는 pontamine sky blue을 정맥으로 투여하여 20분 동안 늑막염 삼출물로 삼출되어 나오는 양으로 측정하였다. Cyclobuxine D는 용량적으로 삼출물의 양과 20분 동안 삼출되는 pontamine sky blue의 양을 감소시켰다. Cyclooxygenase 억제제인 aspirin과 phospholipase $A_2$를 억제하여 결과적으로 cyclooxygenase와 lipoxygenase의 생성물을 차단하는 dexamethasone은 현저하게 carrageenin으로 나타나는 염증현상을 억제하였다. Cyclobuxine D는 croton oil로 유발한 육아종양에서 종양 부위에 직접 투여하거나 근육내로 투여해도 pouch내 염증물 양과 pouch wall의 무게를 현저하게 억제하였다. Dexamethasone과 hydrocortisone은 육아종양의 형성을 현저히 억제하였으며 , dexamethasone은 근육내로 투여 하였을 때 육아종양 형성을 완전히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나타난 cyclobuxine D의 항염증 작용은 prostaglandins의 생성억제 또는 polymorphonuclear cell (PMN)의 유주 억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려된다.

  • PDF

국산(國産) Retort Pouch의 식품포장적성(食品包裝適性)에 관한 조사 연구 (Studies on the Adaptability of Home Made Retort Pouch for Food Packaging)

  • 박무현;정동효;김준평;신동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5-21
    • /
    • 1984
  • 국산 retort pouch의 실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입하여 사용되고 있는 외국제품과의 성능을 비교한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공전(空錢)상태에서의 물성강조 시험결과는 국산 제품(SM-4ply, SM-3ply)과 외국제품(JP-4ply JP-3ply)이 거의 동일한 강도를 유지하고 있었다. 나) Model식품을 이용한 pouch 물성(物性)강도의 경시적 변화결과도 외국제품에 비교하여 손색이 없었으며 laminate강도(적층박리강도)에서는 국산제품이 다소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다) 실용제품(寶用製品)(retort curry and (packea rice)의 생산(生産)을 위한 실질적인 제조과정을 통하여 pouch의 내열성 및 내용식물의 보존성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국산제품과 외국제품간의 성능차이는 없었으며 이들 공시(供試) pouch는 $135^{\circ}C$ 가열살균에 견딜 수 있는 내열성과 상온유통과정에서 장기 보존이 가능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라) 국산 retort pouch의 위생적 안전성은 보사부 고시 제 30호(78년 7월 24일)의 시험방법에 의하여 시험한 결과 규정에 부합되고 있었다.

  • PDF

햄스터에서 P-치약의 구강점막자극시험 (The Effect of P-Toothpaste on the Mucosa of the Hamster Cheek Pouch)

  • 강경선;김경배;이지해;조성대;조종호;박준석;안남식;양세란;정지원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1-116
    • /
    • 2001
  • 본 실헐은 P-치약의 햄스터의 구강점막에 대한 자극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시험 시작일에 햄스터의 오른쪽 협낭에 P-치약, 죽염치약, 증류수와 대조물질을 각각 적용하고 14일 동안 유지하였다. 점막 자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임상증상, 치사율, 체중 변화와 육안적, 조직병리학적 관찰을 실시하였으나 모든 군에서 사망한 동물이나 체중의 유치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특히 증류수는 처치한 군과 P-치약을 처치한 군의 육안적, 조직병리학적 관찰 소견의 차이가 매우 미미하였다. 이런 결과들을 종합해 보았을 때, P-치약은 햄스터 구강점막에 대한 자극성의 거의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의한 레토르트미반의 최적고온 살균조건 (Computer Simulation for Optimal Conditions of High Temperature Sterilization of Cooked Rice Packed in Retort Pouch)

  • 이신영;천병익;이상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36-140
    • /
    • 1985
  • 두께가 서로 다른(5${\sim}$24mm) 레토르트 미반에 대하여 여러온도(110-$150^{\circ}C$)에서 최적품질보유가 가능한 고온살균조건을 컴퓨터 simulation에 의하여 구하였다. 최적조건은 12D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유지할 때 최소의 c-값과 최대의 thiamine retention을 갖는 건에 의하여 선정하였다. 계산결과는 고온일수록 시료두께의 영향이 매우 중요함을 보이면서 미반고온살균의 우수한 음질보유는 두께 10mm이하에서 나타난다.

  • PDF

파우치 포장 장비의 변형량 및 응력해석 (Deformation and stress analysis of Vertical form-fill-seal machine)

  • 백승엽;최승건;정연승;장영주
    • Design & Manufacturing
    • /
    • 제10권1호
    • /
    • pp.46-50
    • /
    • 2016
  • Beverage industry is the largest in the domestic packaging market. Usually, beverage is packed in palstic, glass, can and paper bags. However, the cost of these packaging methods are very high and the recycling are not easy to handle. Pouch packaging method is one of the packaging method to solve the drawbacks of former beverage containers. The pouch packaging methods are difficult to control, it requires a number of processes. A vertical form-fill-seal machine which is self-developed is the capable of processing in a single apparatus. In this paper, in order to develop a pouch equipment, the structure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the main unit. The stress and deformation of feed unit which removes the air inside the pouch while feeding down has been analyzed. It receives the greatest impact from the rolling part. And also, the sealing unit has been analyzed.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the stress and the deformation was slight to be applicable to the actual system.

Aspergillus nidulans의한 경주마의 후당염 2예 (Two Cases of Guttural Pouch Mycosis in Race Horses Caused by Aspergillus nidulans)

  • 하태영;조길재;박응복;김상재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853-860
    • /
    • 1995
  • Two cases of guttural pouch mycosis in race horses were observed for clinical and pathological aspects of the disease to investigate etiology and pathogenesis of dysphagia and epistaxis of the horse. In case 1 showing prolonged dysphagic sign a diphtheritic membrane was confined to the guttural pouch involved with neuritis of the glossopharyngeal nerve due to fungal penetration. The other horse showing fatal recurrent epistaxis had lesion of mycetoma invading the internal carotid artery to provoke erosion of the artery. An Aspergillosis sp. was isolated from the guttural pouches of the two horses and identified as A nidula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