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otential distribution

검색결과 2,951건 처리시간 0.038초

혼합배열을 사용하는 시추공간 전기비저항 탐사 (The Crosshole Resistivity Method Using the Mixed Array)

  • 조인기;한성훈;김기주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5권4호
    • /
    • pp.250-256
    • /
    • 2002
  • 전기비저항 토모그래피는 지하의 전기비저항 분포를 영상화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정밀 물리탐사법으로 지반조사 및 환경 오염대의 조사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기비저항 토모그래피 탐사의 경우 다양한 전극배열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각 배열법은 나름대로의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단극배열의 경우에는 신호대 잡음비는 높으나 분해능이 벌어지며, 쌍극자배열의 경우에는 분해능은 높지만 신호대 잡음비가 너무 낮다. 단극-쌍극자 배열의 경우에는 중간정도의 분해능과 신호대 잡음비를 갖는다. 최근 개발된 변형된 단극-쌍극자 배열의 경우에는 단극-쌍극자 배열 수준의 신호대 잡음비와 분해능을 갖는다. 그러나 단극배열을 제외한 이들 전극배열법은 전류 및 전위 전극의 위치에 따라서는 겉보기 비저항이 발산할 수도 있다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단극배열의 경우에는 측정된 겉보기 비저항이 이상체의 전기비저항을 그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류전극과 전위전극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단극-쌍극자 배열과 변형된 단극-쌍극자 배열을 혼용하는 소위 혼합배열이라는 새로운 전극배열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새로운 전극배열법은 신호대 잡음비 및 분해능은 단극-쌍극자 배열의 수준을 유지하며, 측정 시추공상에서 겉보기 비저항이 발산하지 않는 특성을 갖는다. 또한 측정되는 겉보기 비저항은 항상 이상체의 전기비저항을 잘 반영한다.

Panax ginseng total protein promotes proliferation and secretion of collagen in NIH/3T3 cells by activating extracellular signal-related kinase pathway

  • Chen, Xuenan;Wang, Manying;Xu, Xiaohao;Liu, Jianzeng;Mei, Bing;Fu, Pingping;Zhao, Daqing;Sun, Liwei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1권3호
    • /
    • pp.411-418
    • /
    • 2017
  • Background: Recently, protein from ginseng was studied and used for the treatment of several kinds of diseases. However, the effect of ginseng total protein (GTP) on proliferation and wound healing in fibroblast cells remains unclear. Methods: In this study, cell viability was analyzed using the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 Cell cycle distribution was analyzed by flow cytometer. The levels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1$,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nd collagens were analyz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and immunofluorescence staining. The expressions of cyclin A, phosphorylation of extracellular signal-related kinase (p-ERK1/2), and ERK1/2 were analyzed by Western blotting. Results: Our results showed that GTP promoted cell proliferation and increased the percentage of cells in S phase through the upregulation of cyclin A in NIH/3T3 cells. We also found that GTP induced the secretion of type I collagen, and promoted the expression of other factors that regulate the synthesis of collagen such as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1$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n addition, the phosphorylation of ERK1/2 at Thr202/Tyr204 was also increased by GTP. Conclusion: Our studies suggest that GTP promoted proliferation and secretion of collagen in NIH/3T3 cells by activating the ERK signal pathway, which shed light on a potential function of GTP in promoting wound healing.

DPLL을 이용한 능동적 단독운전방지를 위한 무효전력변동법 (Reactive Power Variation Method for Anti-islanding Using Digital Phase-Locked-Loop)

  • 이기옥;유병규;유권종;최주엽;최익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28권2호
    • /
    • pp.64-69
    • /
    • 2008
  • As the grid-connected photovoltaic power conditioning systems (PVPCS) are installed in many residential areas, these have raised potential problems of network protection on electrical power system. One of the numerous problems is an Islanding phenomenon. There has been an argument that it may be a non-issue in practice because the probability of islanding is extremely low. However, there are three counter-arguments: First, the low probability of islanding is based on the assumption of 100% power matching between the PVPCS and the islanded local loads. In fact, an islanding can be easily formed even without 100% power matching (the power mismatch could be up to 30% if only traditional protections are used, e.g. under/over voltage/frequency). The 30% power-mismatch condition will drastically increase the islanding probability. Second, even with a larger power mismatch, the time for voltage or frequency to deviate sufficiently to cause a trip, plus the time required to execute a trip (particularly if conventional switchgear is required to operate), can easily be greater than the typical re-close time on the distribution circuit. Third, the low-probability argument is based on the study of PVPCS. Especially, if the output power of PVPCS equals to power consumption of local loads, it is very difficult for the PVPCS to sustain the voltage and frequency in an islanding. Unintentional islanding of PVPCS may result in power-quality issues, interference to grid-protection devices, equipment damage, and even personnel safety hazards. Therefore the verification of anti-islanding performance is strongly needed. In this paper, improved RPV method is proposed through considering power quality and anti-islanding capacity of grid-connected single-phase PVPCS in IEEE Std 1547 ("Standard for Interconnecting Distributed Resources to Electric Power Systems"). And the simulation results are verified.

유전자 검색법을 이용한 상수원수와 정수처리 공정중의 병원성 미생물 검출 및 분포특성 (Detection and Distribution of Bacterial Pathogens in Raw Water and During Water Treatment Process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 박홍기;정은영;정종문;유평종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0호
    • /
    • pp.1374-1380
    • /
    • 2007
  • 유전자 검색법(PCR)은 환경시료중의 병원성 미생물을 검출하는데 있어서 전통적인 배양법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PCR을 이용하여 부산시 취수원과 정수공정별 지점을 대상으로 병원성 미생물의 검출과 분포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2004년 8월에서 2005년 10월까지의 실험 결과에 의하면 상수원수의 92개 시료중 80개 시료에서(87.0%) 병원성 미생물이 검출되었고, Shigella spp. 46.2%, Yersinia spp. 40.7%, Legionella spp. 17.6% 그리고 Salmonella spp. 9.9%의 검출율을 각각 보였다. 원수중의 병원성 미생물은 늦은 가을에서 겨울에 걸쳐 주로 분포하는 특징을 보였으며, 지점별로는 매리 원수가 물금 원수보다 높게 검출되었다. 정수처리 공정별 실험에서는 Shigella의 검출빈도가 높았으나 모든 병원성 미생물은 후오존 처리 공정 단계에서 완전히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산시 정수장은 병원성 미생물에 대해 안전함을 알 수 있었다.

The Optimal Environmental Ranges for Wetland Plants: II. Scirpus tabernaemontani and Typha latifolia

  • Lee, Bo-Ah;Kwon, Gi-Jin;Kim, Jae-Geu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0권2호
    • /
    • pp.151-159
    • /
    • 2007
  • We studied the optimal ranges of water and soil characteristics for wetland plants, particularly Scirpus tabernaemontani (softstem bulrush) and Typha latifolia (broadleaf cattail), which are dominant species with potential for restoration of Korean wetlands. We observed vegetation in S. tabernaemontani and T. latifolia communities from the mid to late June, 2005, and measured characteristics of water environments such as water depth (WD), temperature (WT), conductivity (WC), and concentration of several ions $(NO_3{^-}-N,\;Ca^{2+},\;Na^+,\;Mg^{2+},\;and\;K^+)$, and characteristics of soil environments such as soil texture, organic matter (loss on ignition, LOI), conductivity, and pH. The S. tabernaemontani community was accompanied by Zizania latifolia (Manchurian wildrice), Persicaria thunbergii (Korean persicary), Actinostemma lobatum (lobed actinostemma), and Beckmannia syzigachne (American slough grass), while the T. latifolia community was accompanied by P. thunbergii, T. angustifolia (narrowleaf cattail), and Glycine soja (wild soybean). We defined the optimal range for distribution (ORD) as the range that each plant was crowded. The optimal range of water characteristics for the S. tabernaemontani community was a $WD\;10{\sim}50cm,\;WT\;24.0{\sim}32.0^{\circ}C,\;WC\;100{\sim}500{\mu}S/cm,\;{NO_3}{^-}-N\;0{\sim}60ppb,\;K^+\;0.00{\sim}1.50ppm,\;Ca^{2+}\;7.50{\sim}17.50ppm,\; Na^+\;2.50{\sim}12.50ppm,\;and\;Mg^{2+}\;3.00{\sim}7.00ppm$. In addition, the optimal range of soil characteristics for the S. tabernaemontani community was a soil texture of loam, silty loam, and loamy sand, $LOI\;8.0{\sim}16.0%,\;pH\;5.25{\sim}6.25$, and conductivity $10{\sim}70{\mu}S/cm$. The optimal range of water characteristics for the T. latifolia community was a $WD\;10{\sim}30cm,\;WT\;22.5{\sim}27.5^{\circ}C,\;WC\;100{\sim}400{\mu}S/cm,\;{NO_3}{^-}-N\;0{\sim}60ppb,\;K^+\;0.00{\sim}1.50ppm,\;Ca^{2+}\;0.00{\sim}17.50ppm,\;Na^+\;0.00{\sim}12.50ppm,\;and\;Mg^{2+}\;0.00{\sim}5.00ppm$, and the optimal range of soil characteristics for the T. fatifolia community was a soil texture of loam, sandy loam, and silty loam, LOI $3.0{\sim}9.0%,\;pH\;5.25{\sim}7.25$, and conductivity $0{\sim}70{\mu}S/cm$.

굵은입자 시멘트와 광물질 혼화재를 조합 사용하는 콘크리트의 기초적 특성 (A Fundamental Properties of the Concrete Using Coarse Particle Cement and Mineral Admixture)

  • 한천구;장덕배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131-13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보통포틀랜드 시멘트(이하 OPC)제조과정의 분쇄공정 중 밀출구에서 배출되는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면서, 수화열면으로도 효과일 것으로 예상되는 입자분포를 갖는 시멘트(이하 CC)를 대상으로 플라이애시(이하 FA)와 고로슬래그 미분말(이하 BS)를 복합치환하는 3성분계 저발열 시멘트로의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유동성, 강도, 간이단열온도 상승량 등 기초적인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실험결과로 유동성은 CC의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저하하는 경향을 보였고, FA+BS의 치환율이 늘어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공기량은 CC의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미소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FA+BS의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응결특성으로 CC 및 FA+BS의 치환율이 증가 할수록 응결 시간은 지연되었다. 간이 단열에 의한 온도 상승량은 전반적으로 CC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FA+BS의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피크온도는 감소하였고, 이후 온도저하가 완만해 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압축강도는 CC 및 FA+BS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저하하였는데, 재령이 경과함에 따라 장기강도는 Plain과 동등하거나 동등 이상의 강도를 발현 하였다. 종합적으로 CC에 FA+BS를 치환하였을 때 유동성 및 공기량은 저하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수화열 면에서 양호한 저감효과를 보여 3성분계 저발열 시멘트로의 개발이 가능성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연직배수재를 이용한 오염지반 복원의 영향인자 분석 (Analysis of Influence Factors for Remediation of Contaminated Soils Using Prefabricated Vertical Drains)

  • 박정준;신은철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39-46
    • /
    • 2008
  • 개발사업과 산업발달로 인하여 발생되는 유해화학물질과 유류사용량이 늘면서 화학물질과 유류를 저장하는 지하저장탱크에서의 오염물질 유출로 토양 및 지하수 오염이 심각해지고 있다. 또한, 산업지역, 공장지대가 밀집된 매립 지반에서는 투수계수가 낮아 오염물질 추출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해결 방안의 하나로 연약지반 개량공법에서 사용되고 있는 연직배수재를 이용하여 기존의 복원기술인 토양세정공법의 효율을 증진시킨 연직배수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오염된 지반의 복원을 목적으로 사용한 연직배수시스템의 적용성 평가를 위하여 오염토양 복원시 오염지반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대한 유효성 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직배수시스템의 적용성을 위하여 오염토양 복원시 오염지반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대한 공학적 특성을 바탕으로 파일럿 규모의 실내 오염복원 실험을 통한 오염물질의 복원효율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염화나트륨을 복원실험의 추적자로 사용하였고,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SEEP/W와 CTRAN/W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압력수두와 지속시간에 따른 농도변화, 각각의 지반조건에 대한 복원률의 오염물질 흐름 해석을 통한 유효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오염지반의 투수계수는 흐름속도와 연직배수재를 통한 추출률과 관계되며, 흐름속도와 추출률은 분산지수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결국 원위치 오염복원 과정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 PDF

금강 권역 충적층 지하수의 질산염 오염: 질산성 질소의 기원과 거동 고찰 및 안전한 용수 공급을 위한 제언 (Nitrate Contamination of Alluvial Groundwaters in the Keum River Watershed Area: Source and Behaviors of Nitrate, and Suggestion to Secure Water Supply)

  • 김경호;윤성택;채기탁;최병영;김순오;김강주;김형수;이철우
    • 지질공학
    • /
    • 제12권4호
    • /
    • pp.471-484
    • /
    • 2002
  • 금강 유역의 충적층(면적 $3,029\textrm{km}^2$)에는 총 81억톤에 이르는 지하수가 부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과도한 농업활동에 의해 질소계 비료의 사용량이 증가함(250 N kg/ha 이상)에 따라 질산염 오염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금강 권역의 대표적인 충적층 분포 지역의 충적층 지하수를 대상으로 질산염의 오염 현황 및 거동 특성을 파악하고자 광역적인 수리지구화학 연구를 수행하였다. 채취된 지하수 시료(총 186개)는 대체적으로 높은 질산염 농도(평균 42.2 mg/L, 최대 295 mg/L)를 보여주어 심하게 오염되어 있음을 나타내었다. 특히, 채취된 시료의 약 29%는 먹는물 수질 기준(44 mg/L $NO_3$)을 초과하고 있다. 연구지역 내 지하수 중의 질산염의 분포는 충적 대수층의 지구화학적 환경에 따라 크게 좌우되고 있다. 특히, 충적층 지하수의 산화-환원 전위(Eh)의 감소는 질산염의 농도 및 철과 망간의 농도 감소와 뚜렷한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충적 대수층 지질매체 자체의 퇴적 환경의 차이를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산화-환원 상태(redox state)의 변화는 충적층 지하수 내의 질소계 오염물질의 거동을 지배함은 물론 탈질(denitrification)에 의한 자연저감을 조절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탄소가 풍부한 실트질 충적층의 존재는 혐기성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질산염 오염에 대하여 상당한 정도의 완충 능력을 지니게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해양온도차 발전소의 입지선정을 위한 해수 온도차의 공간적 분포특성 분석 (A Property Analysis on Spatial Distribution of Sea Water Temperature Difference for Site Selection of Ocean Thermal Energy Conversion Plant)

  • 서영상;장이현;조명희
    • 에너지공학
    • /
    • 제8권4호
    • /
    • pp.567-575
    • /
    • 1999
  • 한국동해 연근해역의 표층수온은 일반적으로 온대해역에서의 표층수온과 같이 계절변화를 하지만, 심층에서는 연중 1 $^{\circ}C$이하의 온도를 유지하는데 동해고유수로 인하여 표층의 온수와 심층의 냉수간의 온도차를 이용한 해양온도차 발전의 충분한 잠재성이 있다. 해양온도차 발전의 제 1 조건인 표층수와 심층수간의 온도차에 관련된 한국 동해의 해양 환경적 특성을 정량화 하고자 온도차에 대한 연평균, 연진폭, 연위상을 구하고 연중 15$^{\circ}C$이상의 온도차가 유지된는 기간을 일일 단위로 표현하였다. 한국동해 연근 해역 중 온도차 발전의 최적합 해역은 포항 동쪽 35km 해역 (36$^{\circ}$05'N, 129$^{\circ}$48'E)에서 55km 해역 (36$^{\circ}$05'N, 130$^{\circ}$00'E)까지로 조사 연구되었다. 이들 최적합 해역에서는 온도차는 8월의 경우 누년 평균 약 24$^{\circ}C$로 나타났으며, 년 중 15$^{\circ}C$이상의 온도차가 유지되는 기간은 최대 215일 (5/5-12/10)로 나타났다. 아울러 이 해역에서 온도차의 연진폭은 6$^{\circ}C$이며 , 연위상은 236$^{\circ}$로 계획성있는 전력생산을 할수 있을것으로 사료된다. 한국 동해 연근해역에서 표층으로부터 수직으로 최단거리에 존재하는 동해고유수(수온 1$^{\circ}C$이하의 해수)의 수심에 대한 계절변화는 평균 300m를 중심으로 하여 50m 미만의 작은 변동폭을 나타내었다. 향후 이러한 안정된 위치를 나타내는 심층 냉수를 에너지로 전환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한국산 고지질 미세조류 Botryococcus의 분포 및 생장 특성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Lipid-Producing Botryococcus Isolated from the Korean Freshwaters)

  • 신상윤;조범호;이형관;오희목
    • 환경생물
    • /
    • 제31권4호
    • /
    • pp.288-294
    • /
    • 2013
  • 한국산 고지질 Botryococcus를 확보하기 위해 시료채취를 하였고, 실험실에서 Botryococcus sp.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Botryococcus sp.는 현미경으로 그 크기와 형태를 관찰하였고, 분자적 동정을 위해 18S rRNA gene과 ITS region의 염기서열을 분석함으로써 Botryococcus sudeticus J2로 명명하였으며, 생태학적 특성 연구를 위해 문헌조사를 통해 국내의 Botryococcus 속의 분포를 조사를 실시하였다. 동정된 B. sudeticus J2의 생리적 특성 분석을 위해 배양실험을 수행하였고, 생장률과 바이오매스 생산성 그리고 광합성효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바이오디젤 생산을 위한 조류주로서의 가치를 판단하기 위해 총 지질함유량과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B. sudeticus J2의 생태적, 생리적 연구 후 2배의 광량과 2% $CO_2$ 조건에서 배양을 수행함으로써 최적 배양조건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분리된 B. sudeticus J2는 비교를 위한 B. braunii UTEX 572보다 높은 바이오매스 생산성과 지질생산성을 보였으나 바이오매스 생산을 위한 다른 후보 미세조류에 비해서는 낮은 생장률을 보였다. 따라서 바이오디젤 생산을 위한 조류로 B. sudeticus J2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밝혀진 광저해에 대한 내성에 초점을 맞추어 최적 배양을 위한 광조건을 탐색하는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