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tamocorbula amurensis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3초

세 종의 이매패류 Corbicula fluminea, Potamocorbula amurensis, Macoma balthica의 여수율과 금속 흡수율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Relationship between Clearance Rates and Metal Uptake Rates of Corbicula fluminea, Potamocorbula amurensis and Macoma balthica: Influence of Water Temperature and Body Size)

  • 이정석;이병권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1-46
    • /
    • 2005
  • A series of radiotracer studie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water temperature and/or body size on the clearance rates and uptake rates of Cd, Se and Zn in the Asiatic clam, Corbicula fluminea, Asian clam Potamocorbula amurensis and Balthic clam, Macoma balthica. Uptake rates of Cd, Se and Zn were estimated simultaneously with clearance rate of clams under 3 different water temperature conditions (5, 13 and $21^{\circ}C$). The weight specific clearance and metal uptake rates of P. amurensiswere increased with temperature, however, no consistent temperature effect was observed for the other clams. The variation of uptake rates of Cd, Se and Zn along with temperature or body size in each clam species was well associated with clearance rates. The inter-species as well as the intra-species difference of metal uptake rates could be well explained by the variation of clearance rates of clam individuals.

  • PDF

Potamocorbula amurensis와 Macoma balthica의 개체의 크기와 염분이 은의 흡수 및 배출에 미치는 영향 (Uptake and Loss Kinetics of Silver in the Asian Clam, Potamocorbula amurensis and Balthic Clam, Macoma balthica: Effects of Body Size and Salinity)

  • 최태섭;이정석;이병권;김광용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7-56
    • /
    • 2005
  • A series of radiotracer experiments were employed to quantitatively compare the biokinetics of uptake from the dissolved phase (influx rates), uptake from the various types of food source (assimilation efficiency), and loss (efflux) of Ag between Potamocorbula amurensis and Macoma balthica. Simultaneously, influx rates of dissolved Cd in both clams were determined to compare with those of Ag. Effects of salinity on influx rates were evaluated in these 2 euryhaline species, as were effects of clam size. Influx rate of Ag and Cd (${\mu}g g^{-1}$ [dry wt.] $d^{-1}$) increased linearly with metal concentrations. Influx rates of Ag in both clams were 3 to 4 times those of Cd. Absolute influx rates of the 2 metals were 4 to 5 times greater in P. amurensis than M. balthica, probably because of differences in biological attributes (i.e. clearance rate or gill surface area). As salinity was reduced from 20 to 2.5 psu, the influx rate of Cd in P. amurensis increased 4-fold and that of Ag increased 6-fold, consistent with expected changes in speciation. Weight-specific metal influx rates (${\mu}g g^{-1}$ [dry wt.] $d^{-1}$)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tissue dry weight of the clams, but most rate constants determining physiological turnover of assimilated metals were not affected by clam size.

  • PDF

한국 서해의 금강-만경-동진 하구역과 주변 연안역의 저서동물군집 (Macrobenthos Community in Keum-Mankyung-Dongjin Estuaries and its Adjacent Coastal Region, Korea)

  • 최진우;고철환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04-318
    • /
    • 1994
  • 본 연구는 한국서해의 금강, 만경강 및 동진강 하구역과 그 외곽의 연안역에서 의 저서동물군집의 분포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van Veen grab을라는 사용하여 조하대 하구 역의 39개 정점에서 저서생물을 채집하였다. 채집된 저서동물은 10개 동물분류군, 총 61종이며 개체수는 5,636였다. 각 하구역별로 출현종수와 개체수가 달랐지만 외곽의 연악역과 비교하면 3개 하구역은 종조성과 우점종에 있어서는 서로 유사하였다. 하구 역에서는 우점종으로는 Prionospio cirrifera, potamocorbula amurensis. Nephtys californiensis, Glycera chiron and Glycinde sp등이었고 연안역의 주점종으로는 Magelona japonica, Owenia fusiformis. Anaitides Korean and Nephtys polybranchia 등으로서 하구역과는 매우 달랐다. 이들 중에서 이매패류인 Potamocorbula amurensis 와 다모류의 Prionospio cirrifera는 이곳 하구역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다른 종들에 비해 극히 우점하여 본 조사하구역의 저서동물군집을 대표하는 종이다. 종다양성지수 값은 하구역에서 대체로 낮았는데 이는 우점종의 밀집분포와 전반적인 출현종수와 빈 약에 기인한 것이다. 식성군조성에 있어서는 하구역에 여과식자와 육식자의 비율이 높 은 반면 표층하퇴적 물자식의 비중은 낮았다. 이러한 식성군조성은 본 하구역의 전형 적인 특징으로 파악되었다. 집괴분석 결과 하구역의 저서동물군집은 일차적으로 염분 의 구배에 의해서, 소규모적인 분포양상은 퇴적상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계화도조개 (Potamocorbula amurensis)의 생식주기에 관한 조직학적 연구 (Histological Study on the Reproductive Cycle of Potamocorbula amurensis (Bivalvia: Corbulidae))

  • 이주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629-636
    • /
    • 1999
  • 1996년 11월부터 1997년 10월까지 전북 부안군 문포 앞바다의 갯벌에서 채집된 계화도조개, p. amurensis를 재료로하여, 그들의 생식소발달과정, 생식세포형성과정, 생식주기, 난경의 월별변화, 비만도 및 군성숙도 둥을 조직학적으로 조사하였다. 계화도조개는 자웅이체이며 난생이다. 난소와 정소는 각각 수많은 난자형성소낭과 정자형성소낭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소낭에는 간충직과 호산성 과립세포들이 들어 있는데, 이들은 초기 생식세포의 형성과 발달에 영양을 공급하는 영양세포로 생각된다. 분열증식 중인 초기 활성기의 난원세포는 $9\~12\mu$m로서 6$\mu$m 내외의 크고 뚜켠한 핵과 호염기성 단일 인을 가지고 있었다. 직경 $30\~32\mu$m로 성장한 난모세포는 난병을 소낭벽에 부착한 채 소낭의 내강을 향해 긴 타원형으로 성장하였다. 난모세포가 $43\~45\mu$m로 성장하면 소낭벽으로부터 유리되며, 완숙란의 크기는 $50\~60\mu$m이었다. 정자형성소낭의 벽에는 정원, 정모, 정세포 및 완숙정자 순으로 충상배열을 하며 성숙되었다. 생식소의 발달, 생식세포형성과정, 난경의 월별변화, 조직분화과정 및 세포학적 특성에 따라, 생식주기를 초기 활성기, 후기 활성기, 완숙기, 부분 산란기 및 회복기 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산란기는 5$\~$7월과 9$\~$10월 사이이며, 주산란은 수온이 $18^{\circ}C$ 이상인 5$\~$6 및 10월에 2차례 일어났다. 비만도지수의 월별변화는 생식주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군성숙도가 $50\%$를 넘는 개체는 암, 수 모두 각장 8.1$\~$10.0 mm인 개체들로 조사되었다. 생식세포형성은 두 가지 방법 즉 1. 산란 후, 생식세포형성소낭내에 잔존하던 미방출란과 미방출정자는 퇴화, 흡수되지만 기존의 소낭은 크게 위축되지 않고, 2$\~$3개월 동안 (특히 여름)에 곧 회복되면서 새로운 생식세포형성에 참가하는 방법, 2. 산란 후 기존의 각 소낭은 위축되고 새로운 소낭의 형성과 더불어 새로운 생식세포가 형성되는 방법이 있다고 생각되었다.

  • PDF

새만금 간척사업에 따른 갯벌 패류의 군집구조 변화 (Change in Community Structure of Shellfish in the Reclaimed Saemangeum Area)

  • 황선도;김종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708-715
    • /
    • 2003
  •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shellfish were investigated in Eoeun and Geojeon tidal flat located in the Saemangeum area on the west coast of Korea from May to October 2000. Nineteen species of shellfish were collected in Geojeon tidal flat. The samples in number of individuals included Umbonium thomasi $(90.0\%)$ and Mactra veneriformis $(5.0\%).$ In Eoeun tidal flat, ten species of shellfish were collected and the dominant species in number of individuals were Potamocorbula amurensis $(55.0\%)$ and U. thomasi $(18.6\%).$ These results were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conducted before the beginning of reclamation in Saemangeum. Compared with the results from 1988, a change In species composition was observed. Laternula flexuosa and Nuttallia olivacea appeared, while Mactra chinensis and Coelomactra antiquata disappeared in the deposition area in Geojeon tidal flat. In the erosion area of Eoeun tidal flat, M. veneriformis and Meretrix lusoria appeared, while Cyclina sinensis disappeared. Based on a cluster analysis, the shellfish community in Eoeun tidal flat was classified into three station groups based on sediment types. Geojeon tidal flat was also classified into three station groups. The distribution of shellfish in the Saemangeum area was closely related to the sediment types.

Sea Prince호 유류유출 후의 남해안 소리도-금오도 주변 연성퇴적물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 (Community Structure of Soft-bottom Macrozoobenthic Communities near the Sori-Keumo Islands, Southern Coast of Korea after the Sea Prince Oil Spill)

  • 최진우;서진영;임현식;신현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9권spc1호
    • /
    • pp.151-164
    • /
    • 2006
  • We monitored the current macrozoobenthic community structure after the Sea Prince oil spill around Keumo-do and Sori-do, Korea. Macrobenthic animals were collected seasonally around Sori-Keumo do using a van Veen grab ($0.1m^2$) from October 1999 to April 2000. In total, 196 species were identified at 46 sites around Keumho-do. The mean density was 1,460 individuals/$m^2$, and polychaetes comprised 80% of the total density of the macrozoobenthic. Dominant species were the polychaete Tharyx sp. (51%), the echinoderm Amphioplus megapomus (5%) and the polychaete Lumbrineris longifolia (3%). We identified 176 macrobenthic species at 36 sites around Sori-do. The mean density was 1,068 individuals/$m^2$, and polychaetes was the most abundant faunal group, comprising 41%, followed by mollusks (24%) and echinoderms (20%). Dominant species in Sori-do were the mollusk Potamocorbula amurensis (23%), the chinoderm Amphioplus megapomus (14%), and the polychaete Tharyx sp. (10%). The overall community structures in the study area showed few seasonal changes, although there was a gradual change in the species composition within each benthic community. Tharyx sp. was the most abundant species in the study area. Because this species has not been found in the other coastal areas except during recent investigations, it is considered to have increased during the course of community succession after the oil spill. The macrozoobenthic around Keumo-do showed little change in species richness, whereas around Sori-do, it showed a few increases in species richness after the summer of 1998. The overall density showed the same trend as species richness. Based on improved community indices, we suggest that the macrozoobenthic communities around Sori-Keumo Islands are gradually recovering from the oil-spill damagecaused by the oil spill.

법성포 와탄천 하구역의 염분과 퇴적환경에 따른 대형저서동물의 공간분포 (Spatial Distribution of Macrozoobenthos Along the Salinity Gradient and Sedimentary Environment in the Watancheon Estuary, Beobseongpo, Southwest Coast of Korea)

  • 홍재상;임현식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7권1호
    • /
    • pp.8-19
    • /
    • 2002
  • 서남해역에 위치한 법성포항 인근의 와탄천 하구역에 서식하는 저서동물의 공간 분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하구역 입구에서부터 염분 구배에 따라 10개 정점을 설정하였다. 저서동물의 채집을 위해 1998년 6월부터 1999년 1월까지 van Veen grab(0.1m$^{2}$)을 사용하여 각 정점당 3회씩 퇴적물을 채집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총 114종이 출현하였으며, 이 가운데 다모류가 44종(전체 출현종수의 39%), 갑각류가 34종(30%), 그리고 연체동물이 24종$(21%)을 차지하였다. 평균 밀도는 3,053개체/m$^{2}$로서, 다모류가 2,536개체/m$^{2}$(83%), 갑각류는 439개체/m$^{2}$(14%)였다. 생체량은 58.23g/m$^{2}$로서 다모류와 연체동물이 각각 29.56g/m$^{2}$ 및 23.38g/m$^{2}$로서 전체 생체량의 51% 및 40%를 차지하였다. 기수성 다모류인 Minuspio japonica, 옆새우류인 Corophium sinense, Grandidierella japonica, 이매패류인 Potamocorbula amurensis가 우점적으로 출현하였는데, 이들은 담수가 유입되어 염분이 상대적으로 낮은 정점들에서 집중적으로 출현하는 특징을 보였다. M. japonica는 염분과 G. japonica는 퇴적상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C. sinense및 P. amurensis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저층 염분이 낮은 배수갑문 근처의 정점에서는 다모류인 Hediste japonica가 집중적으로 출현하였으며 염분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종 다양도는 하구역 입구에서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하구역 내로 들어올수록 감소하는 양상이었다. 특히 담수의 영향을 받으며 모래질 퇴적상으로서 입도가 조립한 배수갑문 인접 정점들에서는 빈약한 생물상을 나타내었다. 집괴분석 결과 저서동물 군집은 외해역으로부터 수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정점군으로 대별되었으며, 각 정점간에는 출현종수와 밀도의 차이가 뚜렷하였다. 이러한 정점군의 배치는 수로를 통해 유입되는 담수로 인한 염분 구배 및 퇴적상에 따라 구획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하구역에 서식하는 저서동물의 공간분포는 다양한 무기 환경 요소들 가운데 일차적으로 저층수의 염분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이차적으로 퇴적상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