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stprandial Fullness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4초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 대한 복부(腹部) 수기치료의 효과 (Effectiveness of Abdominal Manipulation Therapy in Functional Dyspepsia Patients)

  • 맹태호;이종수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13-121
    • /
    • 2015
  • Objectives Functional dyspepsia is a type of disease characterized by bothersome postprandial fullness, early satiation, epigastric pain and burning without structur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hanges in symptoms, quality of life, HRV (Heart Rate Variability) before and after abdominal manipulation therapy in functional dyspepsia patients. Methods We recruited twenty functional dyspepsia patients from the volunteers who applied for this clinical trial. State of Patients were assessed by NDI-K (Nepean Dyspepsia Index Korean Version), HRV (Heart Rate Variability) before treatment. After 4 times of abdominal manipulation therapy for 2 weeks, state of patients were assessed by the same methods. Results Total symptom score and total quality of life score of NDI-K were significantly improved by the abdominal manipulation therapy. After the treatment, the number of subjects within normal range of LF/HF ratio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lthough the median of LF/HF ratio did not significantly changed, interquartile range was reduced. Conclusions Abdominal manipulation therapy possibly can be an effective treatment for functional dyspepsia patients, but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abdominal manipulation therapy for functional dyspepsia patients.

비장도인법(脾腸導引法)을 적용한 복부 팽만감 주소의 기능성소화불량 증례보고 (Spleen Daoyin Method (脾腸導引法) for Functional Dyspepsia Patients: A Case Report)

  • 정해인;하나연;김진성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1331-1340
    • /
    • 2021
  • A 42-year-old patient with functional dyspepsia had suffered from early satiation and postprandial fullness for 1 year despite Western medicine treatment. We treated her with the Spleen Daoyin method, along with acupuncture, moxibustion, and herbal medicine and scored her symptoms using a 4-point Functional Dyspepsia-related Quality of Life (4p-FD-QoL) questionnaire, the Gastrointestinal Symptom Rating Scale (GSRS), and a visual analogue scale (VAS). A 7-day Spleen Daoyin treatment decreased her 4p-FD-QoL score from 61 to 51, with a marked decrease in the emotional part (18 to 10). Her GSRS score did not change, but her bloating score decreased from 3 to 1. Her VAS score decreased from 6.6 to 4.3 for upper abdomen discomfort, but lower abdomen discomfort was unchanged. The patient showed high compliance and satisfaction with exercise therapy and reported no adverse events. Spleen Dayoin may be a useful therapy for functional dyspepsia, especially when accompanied by psychological problems.

흉통에 대한 평진수점산의 효과 : 후향적 연구 (The Effectiveness of Pyungjinsujeom-san on Chest Pain: A Retrospective Study)

  • 신희연;최정우;김하리;이상화;양승보;조승연;박성욱;고창남;박정미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1051-1062
    • /
    • 2019
  • Objectives: Chest pain presents diagnostic and therapeutic challenges because of its various etiologies. Many patients have chest pain from unknown causes and persistent chest pain in spite of standard treat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a Korean herbal medicine called Pyungjinsujeom-san (PSS) in relieving chest pain. Methods: We reviewed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ho visited the Korean Medical Clinic of Cardiology at Kyunghee University Hospital at Gangdong from January 2009 to July 2019, with the chief complaint of chest pain and who were treated with PSS. The mean severity of chest pain measured on the Numerical Rating Scale was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 administration of PSS. Results: The mean severity of chest pain of 20 patients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6.80±1.61 to 1.35±0.9 after taking PSS (p<0.001). Most patients had symptoms of phlegm and food retention, including indigestion, postprandial fullness, and epigastric pain.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SS may be effective in relieving chest pain from various causes, particularly in patients with symptoms of phlegm and food retention.

The Pharmacological Effects of Benachio-F® on Rat Gastrointestinal Functions

  • Poudel, Bijay Kumar;Yu, Jae Young;Kwon, Yong Sam;Park, Hyoung Geun;Son, Miwon;Jun, Joon Ho;Kim, Jeong Ah;Kim, Jong Oh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3권4호
    • /
    • pp.350-356
    • /
    • 2015
  • Functional dyspepsia (FD) is a prevalent idiopathic upper gastrointestinal (GI) disorder characterized by diverse symptomatology including epigastric pain or discomfort, postprandial fullness, and early satiety. Although its pathophysiological mechanisms have not yet been fully established, the available studies suggest that the etiology of FD is invariably multifactorial. Benachio-F$^{(R)}$ (BF) is a proprietary liquid formulation of 7 herbal extracts that has been proposed to address this multifactorial etiology using multi-drug phytotherapy. The pharmacological effects of BF, in comparison with those of two other herbal products (Whalmyungsu$^{(R)}$; WM and Iberogast$^{(R)}$; IB) were evaluated in rats. In a laparotomy-induced rat model of delayed GI transit, BF significantly accelerated the delayed gastric emptying caused by morphine, apomorphine, and cisplatin, and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mean gastric transit, as compared to the control animals. BF markedly increased gastric accommodation in rats and produced higher gastric volume values than did the control treatment. The effects of BF were generally comparable or superior to those of WM and IB in these models. Furthermore, BF significantly stimulated biliary flow, as compared to the control treatment.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BF might have great potential as an effective phytotherapeutic agent capable of reducing GI symptoms and increasing quality of life in FD patients.

한방병원에 내원한 위마비 및 비위마비성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 대한 위 운동성 및 임상적 속성에 관한 연구 (Study of Gastric Electrical Activity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in Patients with Gastroparesis or Non-gastroparetic Functional Dyspepsia in Eastern Traditional Medicine)

  • 이준석;이선령;엄국현;김현경;장선영;유종민;김진성;류봉하;류기원;윤상협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785-794
    • /
    • 2005
  • Little is known concerning the pathophysiology and symptomatology of gastric dysmotility of patients who have sought treatment in eastern traditional medicin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gastric electrical activity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between gastroparesis and non-gastroparetic functional dyspepsia(FD) and assess the necessity to distinguish them for eastern traditional medical treatment. 60 patients were surveyed by questionnaire. Gastric electrical activity was recorded and analyzed using electrogas-trography. Patients were divided into gastroparesis and non-gastroparetic FD by 1.0 of power ratio. Healthy persons were used as reference. Postprandial normogastria of gastroparesis decreased and that of non-gastroparetic functional dyspepsia increased compared before and after meals. Suggested causes of onset were the meat diets that most patients were on in the gastroparesis group, and that drugs that patients in the non-gastroparetic FD group were taking. Distribution of main symptom was equally regular in patients with gastroparesis, but patients with non-gastroparetic FD showed mainly upper abdominal pain and fullness. Values for the gastroparesis group were double those for the non-gastroparesis FD group in frequency of upper GI endosopic examination. Results suggest that effective application of eastern traditional medical treatment requires that first a clear distinction be made in state of gastric dysmotility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gastroparesis and non-gastroparesis FD when treating dyspepsia.

  • PDF

위아전절제술 후 Roux-en-Y 위공장 재건술식과 Uncut Roux-en-Y 재건술식에서의 Roux Stasis Syndrome (Roux Stasis Syndrome in Conventional Roux-en-Y Gastrojejunostomy and Uncut Roux-en-Y Gastrojejunostomy after Subtotal Gastrectomy)

  • 노승무;배진선;정현용;조준식;신경숙;송규상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권1호
    • /
    • pp.38-43
    • /
    • 2001
  • Purpose: Roux stasis syndrome is the main complication of a Roux-en-Y gastrojejunostom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occurrence rate of Roux stasis syndrome with the passing of time in a conventional Roux-en-Y gastrojejunostomy and in an uncut Roux-en-Y gastrojejunostomy. Materials and Methods: 50 patients (31 men and 19 women) had a conventional Roux-en-Y reconstruction and 53 patients (35 men and 18 women) had an uncut Roux-en-Y reconstruction. The Roux stasis syndrome was defined by clinical criteria only. The criteria included one of the four following conditions at the time of follow-up: chronic upper abdominal pain, postprandial fullness, persistent nausea, and intermittent vomiting that are worsened by eating. Follow-up after surgery was done in all patients at $7\∼12,\;13\~18,\;19\~24,\;25\~30$, and $31\∼36$ months. Results: According to the criteria, the Roux stasis syndrome occurred in 40.0$\%$ of the patients at 7$\∼$12 months, 33.3$\%$ at $13\∼19$ months, $35.3\%$ at $19\∼24$ months, $32.0\%$ at $25\~30$ months, and $33.3\%$ at $31\∼36$ months after a conventional Roux-en-Y operation. The syndrome occurred in $22.6\%$ of the patients at $7\∼12$ months, $15.2\%$ at $13\∼18$ months, $17.1\%$ at $19\∼24$ months, $19.2\%$ at $25\∼30$ months, and $20\%$ at $31\∼36$ months after an uncut Roux-en-Y reconstruction. Conclusion: In terms of occurrence pattern, only a little variance existed one year after both procedures. Comparing the Roux stasis syndrome in both procedures, the uncut Roux operation had better results than the conventional Roux operation.

  • PDF

기능성 소화불량증 (Functional Dyspepsia)

  • 송경호
    • 정신신체의학
    • /
    • 제24권1호
    • /
    • pp.3-8
    • /
    • 2016
  • 기능성 소화불량증은 우리나라 성인인구의 7.7%가 이환되어 있는 흔한 소화기 기능성질환이다. 주요 증상은 불편한 식후 충만감, 조기 포만감, 상복부 통증, 상복부 쓰림이다. 이런 증상들이 증상을 설명할 만한 기질적인 문제 없이 만성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이다. 기능성 소화불량증은 치명적이지는 않지만 대개 건강관련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다른 소화기 기능성질환(위식도역류질환, 과민성 장증후군, 변비)과 공존할 때 더욱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성 소화불량증과 다른 소화기 기능성질환과의 공존을 '중복 증후군'으로 칭한다. 중복 증후군 환자에서 불안, 신체화장애, 불면 등의 정신건강의학적인 문제가 보다 흔히 연관되어 있다. 그러므로 진료의는 소화불량을 호소하는 환자에게 다른 소화기 기능성질환이 공존하는지 여부를 파악하고, 기저 정신건강의학적 문제를 다루는 것이 필요하다.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게 위약효과는 40% 안팎으로 매우 큰 편이며, 위약대비 효과가 증명된 위장관 운동촉진제는 네 가지이다. 간혹 이러한 위장관 운동 촉진제의 장기간 투약은 비가역적이거나 치명적인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처방의사는 위장관 운동촉진제의 가능한 부작용과 연관된 위험인자를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병적 위산역류는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게 드물지 않으며, 위산분비억제제는 많은 부분의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게 위장관 운동촉진제 만큼 효과적이다.

전향적 연구에 의한 Helicobacter pylori 재감염률 및 관련요인 (Prospective Study of Helicobacter pylori Reinfection Rate and Its Related Factors)

  • 강복수;이경수;김창윤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8권1호
    • /
    • pp.79-92
    • /
    • 2003
  • 1998년 3월 경상북도 경주시에 거주하는 30세 이상의 소화불량 증상이 있는 주민 중 내시경 검사를 통한 신속 요소분해 반응검사(CLO검사) 상 양성으로 확진된 사람에 대하여 H. pylori에 대한 3제 요법(tripotassium dicitrato bismuthate 600mg bid, amoxicillin 500mg qid, metronidazole 250mg qid 복합제제)을 실시하였다. 1년 후 요소호기검사에서 음성이었던 사람 87명 중 추적 가능하였던 86명을 대상으로 H. pylori에 대한 성공적인 제균 치료 1년 후(2000년 4월), 2년 6개월 후(2001년 10월)의 재감염률을 파악하고, 재감염과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였다. 재감염을 판정하기 위하여 요소호기검사와 재감염 관련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설문내용에는 위암 및 위궤양 등에 대한 가족력, 위장관계 관련 증상, 사회경제적 및 인구학적 특성, 투약 및 건강관련행위 등이 포함되었다. 2년 6개월 동안 추적조사가 완료된 77명을 대상으로 H. pylori 제균 후 1년 후의 재감염률은 15.6%였고, 2년 6개월 후의 요소호기검사에서 양성으로 판정 받은 대상자는 77명중 13명으로 재감염률은 16.9%였다. 연령, 성별, 사회경제적 특성, 교육수준, 가족력 등은 재감염과 관련성이 없었고, 요소호기검사에서 음성이라고 판정 받고 난 후 1년 간 연구 대상자 본인이 느끼는 주관적 소화불량 증상 중 '식후 포만감'이 있는 경우와 '상복부 팽만감' 증상여부는 재감염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단변량분석에서 치료순응도와 음주가 유의한 변수였으며,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에서는 최근 1년 동안의 소화불량 증상 점수가 2-3점인 경우만이 교차비가 4.5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다. 식사 중 소금 섭취량이 많은 경우 교차비가 8.7이었지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결론적으로 1년 재감염률은 15.6%, 2년 6개월 재감염률은 16.9%이었으며, 개인의 주관적인 소화불량 증상 호소 정도와 치료순응도는 지역사회에서 H. pylori 재감염을 예측할 수 있는 근거로써 H. pylori 감염에 대한 추적검사시 추적검사 대상자 선별을 위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위마비증과 만성 구역 구토 증후군 환자에서 Aprepitant의 효과 (Effect of Aprepitant in Patient with Gastroparesis and Related Disorders)

  • 정경원;박무인
    • 대한소화기학회지
    • /
    • 제72권6호
    • /
    • pp.325-328
    • /
    • 2018
  • 위마비증(gastroparesis)이나 만성 구역 구토 증후군(chronic unexplained nausea and vomiting)으로 인한 구역과 구토에 대한 치료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위장관 촉진제에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가 많고, 여러 부작용으로 인하여 장기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워 보다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 필요하다. 최근 미국에서 발표된 본 연구는 위마비증이나 연관 증후군 환자에서 구역과 구토 증상을 줄이기 위한 aprepitant(neurokinin-1 receptor antagonist) 치료의 효과를 분석한 것으로, 향후 일반적인 치료에 불응성 위마비증 환자에서 새로운 약제 사용을 시도해볼 수 있어 소개하고자 한다. 본 Aprepitant for the Relief of Nausea (APRON) 연구는 기질적 질환을 배제하기 위하여 최근 2년 이내 위내시경이 정상이며, 적어도 6개월 이상 조기 포만감(early satiety), 식후 만복감(postprandial fullness), 팽만감(bloating) 그리고 명치부 통증(epigastric pain)을 유발하는 증상과 함께 만성적인 구역이 있는 18세 이상의 성인 중 4시간의 위배출 검사를 시행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객관적인 지표로 0점에서 45점까지 보이는 9-증상 Gastroparesis Cardinal Symptom Index(GCSI)가 2주 이상 총 21점 이상이며, 0-100 mm의 visual analog scale (VAS)의 7일간의 구역 증상 평균 25 mm 이상인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일주일에 3일 이상 narcotics를 사용하였거나 와파린이나 pimozide, terfenadien, astemizole, cisapride를 복용하였던 환자, 2배 이상으로 간 효소 수치상승을 보이거나 Child-Pugh score 10점 이상, aprepitant에 알레르기를 보이는 환자는 제외되었다. 그렇지만 metoclopramide나 erythromycin을 안정적으로 사용 중인 환자는 제외되지 않았다. 위배출 검사는 2시간에서 60% 이상 남아 있거나 4시간에서 10% 이상 남아 있는 경우에 지연된 것으로 정의되었으며, 지연된 위배출 검사 결과 자체는 환자의 등록 기준에 포함되진 않았다. 등록 기준에 포함된 환자는 1:1로 무작위 배정되어 하루 한 번 125 mg의 aprepitant 복용군과 위약군으로 나누어져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약제 복용 4주간 2주 간격으로, 그리고 복용 후 2주 뒤까지 구역 증상의 호전 정도와 약제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효과를 판정하기 위하여 환자가 방문하는 동안 GCSI를 포함한 Patient Assessment of Upper GI Symptoms (PAGI-SYM), Gastrointestinal Symptom Rating Scale, daily VAS, daily diary version of the GCSI 그리고 정신 측정 도구와 삶의 질 도구인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15와 Short Form 36 version이 측정되었다. 구역에 대한 aprepitant와 위약의 치료 효과의 일차적 판정은 이전 항암 요법에 대한 aprepitant 연구와 같이 28일 평균 VAS 25 mm 미만이거나 치료 전 7일간의 VAS와 비교하여 28일 치료 기간 동안 25 mm 이상 감소한 경우로 정의하였고, 이차 결과는 구역의 매일 시간, 치료 중 구역이 없는 날짜의 퍼센트, PAGI-SYM score의 개선 등으로 확인하였다. 2013년 4월부터 2015년 7월까지 총 126명의 환자가 등록되어 aprepitant군 63명, 위약군 63명으로 무작위 배정되었다. 전체의 57%인 72명에서 위배출 지연이 보였으며, 나머지 43%에서는 정상 또는 빠른 위배출 소견을 보여 만성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구역과 구토에 포함된 환자군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29%에서 당뇨를 가지고 있었으며, 8%에서 수면제를 사용하고 있었다. 최종적으로 aprepitant군은 59명, 위약군은 63명이 연구를 끝까지 종료하였다. 일차 결과에서 aprepitant 군 46%, 위약군 40%의 구역 호전을 보여 두 치료군 간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상대 위험도 1.2, 95% CI: 0.8-1.7; p=0.43). 그러나 일차 분석의 두 가지 척도(28일 평균 VAS 25 mm 미만과 기저 VAS보다 평균 28일 VAS의 25 mm 이상 감소)를 모두 함께 고려한 민감도 분석에서는 aprepitant군이 37% (22/59)로 위약군의 17%(11/63)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구역의 호전을 보였다(상대 위험도 2.1, 95% CI: 1.1-4.1; p=0.01). 또한 이차 분석을 살펴보면 aprepitant군에서 PAGI-SYM 중증도 지수로 확인하였을 때, 구역(1.8 vs. 1.0; p=0.005)과 구토(1.6 vs. 0.5; p=0.001)의 중증도 및 매일 구역 시간의 감소를 보였고, 28일 동안 구역이 없는 날짜의 퍼센트 증가 소견을 보였다. 다른 이차 결과 분석에서 aprepitant군이 PAGI-SYM 중증도 지수의 GCSI 종합 점수(1.3 vs. 0.7; p=0.001), 상당한 증상호전, 구역 구토의 세부 점수, 팽만감 세부 점수 그리고 위식도 역류 증상 점수에서 호전을 보였고, 매일 일기로 표현한 daily diary version of the GCSI에 상복부 통증 중증도, 전체 증상 그리고 Gastrointestinal Symptom Rating Scale의 종합 점수에서 호전을 보였다. 연구 중 발생한 부작용은 주로 경증과 중등도 정도의 부작용이 주로 발생하였지만, aprepitant군(35% vs. 17% 위약군, p=0.04)에서 더 많이 발생하였다. 결론적으로 위마비증 또는 위마비증 유사 증후군으로 인한 만성 구역 및 구토 환자의 무작위 시험에서 aprepitant는 VAS 점수를 통한 주요 결과를 분석하였을 때는 구역의 중증도를 호전시키지 못하였지만 다른 이차적 결과에 대해서는 위약군에 대하여 호전 소견을 보였다. 따라서 aprepitant에 효과적인 반응을 보이는 위마비증 환자를 감별하는 추가 임상시험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