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stoperative treatment

검색결과 2,623건 처리시간 0.025초

몸무게 차이가 큰 성인 공여자-소아 수용자간 심장이식에서의 좌심실 재형성 (Left Ventricular Remodeling in Pediatric Orthotopic Size Mismatched Heart Transplantation)

  • 이승철;윤태진;김영휘;박인숙;김종욱;서동만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3호
    • /
    • pp.226-229
    • /
    • 2006
  • 말기 심근병증이나 복잡 선천성 심기형을 가진 영유아나 소아에서 심장이식 수술은 유일의 치료 방법으로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공여자의 부족으로 공여자와 수용자의 몸무게 등에 있어 기존의 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에도 이식을 시행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 경우 이식 후 큰 심장으로 인해 고혈압과 그에 따른 뇌병증 등이 일시적으로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장기적인 관점에서 심장이 수용자에1 맞춰 재형성이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증례는 9세 남자 수용자와 그보다 몸무게가 약 두배인 39세의 여자 공여자 간의 심장이식에 관한 것이다. 이번 증례에서도 수용자에서 수슬 우 고혈압 및 뇌병증이 발생하였으나 성공적으로 치료되었다. 공여자의 심장은 심초음파를 통한 3년간의 추적 관찰 결과 재형성을 거쳐 정상적인 용적을 갖게 되었고, 이에 그 결과를 문헌고찰과 더불어 증례 보고하는 바이다.

하지 정맥류의 고식적 수술 방법과 광투시 전동형 정맥제거술의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f Conventional Phlebectomy and Transiliuminated Powered Phlebectomy in Varicose Veins)

  • 이충원;정성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6호
    • /
    • pp.415-420
    • /
    • 2005
  • 하지 정맥류의 수술적 치료방법 중에서 고식적 수술 방법과 최근 도입된 광투시전동형 정맥제거술을 비교 분석하여 문제점 및 개선점을 파악하고 두 방법 간의 장단점을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 2001년 3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46개월 간 부산대학교병원 흉부외과에서 하지 정맥류 수술을 받은 114명(167하지)을 대상으로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환자의 연령, 성별, 증상, 유병기간, 초음파 검사 결과, 수술절개창의 수, 수술시간, 재원일수, 합병증 등을 관찰 분석하였다. 결과: 고식적 수술을 받은 환자군과 광투시 전동형 정맥제거술을 받은 환자 군간에 연령, 증상, 유병기간, 초음파 검사 소견은 유의한 차이가 얼었으나 수술 절개창의 수, 수술시간, 재원일수는 광투시전동형 정맥제거술을 받은 환자군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적었다. 끌론: 하지 정맥류의 수술방법으로 광투시 전동형 정맥제거술은 수술시간과 수술 절개창을 줄여주는 장점이 있었다. 수술 후 반상출혈 등의 합병증이 있었으나 2개월 이내에 모두 소실되고, 환자의 만족도 도 높았다. 따라서 광투시전동형 정맥 제거술은 하지 정맥류 치료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생각된다.

원격 복부 림프절의 전이(M1LYN)를 동반한 식도암의 수술 (Surgery of Esophageal Cancer with Metastasis to Distant Abdominal Lymph Nodes(M1LYN))

  • 이종목;임수빈;이현석;박종호;조재일;심영목;백희종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11호
    • /
    • pp.1248-1256
    • /
    • 1996
  • 원자력병원에서는 1987년 6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식도암으로 수술받은 372명중 병리학적으로 원격 복부 림파절의 전이가 확인된 병기 IV(M1LYN) 48명(12.9%)의 기록을 분석하였다. 원발 종양의 위치는 주로 하흉부 식도이었고, 전이된 림프절의 위치는 복강 동맥(n=45),총간 동맥(n=4), 대동맥 주위(n=1), 췌장하(n=1) 이었다. 대부분의 종양은 T3, T4(n=43)이고 국소 림프절 전이 (n=41)가 있었으나, T1, T2 종양(n=5)와 국소 림프절 전이없이 원격 림프절에 전이한 경우(n=7)도 일부있었다. 절제률과 완전 절제률은 각각 87.5%, 64.6%이었다. 절제 불가능과 불완전 절제의 원인의 대부분은 절제 불가능한 T4 병소(n=8), 림프절 막외 침습(n=7)이었으며, 전체 수술 사망률과 유병률은 각각 4.2%, 22.9%이었고, 절제 사망률은 4.8%이었다. 27명에서 수술후 보조 치료를 병행하였으며, 수술후 모든 생존 환자에서 추적이 가능하였다(추적 중앙값, 32개월). 수술 사망을 포함하여 식도암의 절제를 받은 환자(n=42)의 I년, 3년 생존률은 각각 54.0%, 18.1%(중앙값, 386일)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원격 복부 림프절의 전이를 동반한 식도암은 수술의 사망률과 유병률이 높지 않으며, 수술을 받지 않은 환자의 예후가 극히 나쁘므로 잘 선택된 환자에서는 원격장기로 전이된 환자에 비하여 절제술의 역할이 인정된다. 그러나 수술만으로는 장기 성적이 좋지 않으므로 항암제 치료나 방사선 치료 등의 복합 치료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PDF

다제내성 폐결핵 환자에서의 수술적 치료 (Surgical Management of Multidrug Resistant Pulmonary Tuberculosis)

  • 성숙환;강창현;김영태;김주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3호
    • /
    • pp.287-293
    • /
    • 1999
  • Isoniazid와 rifampin을 포함한 여러 항결핵약제에 내성을 보이는 다제내성 폐결핵의 경우 기존의 화학요법으로는 치료성공률이 낮고 장기생존율도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최근 들어 다제내성 페결핵환자에 대한 약물치료의 보조적인 요법으로 적극적인 수술적 치료에 대한 보고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좋은 치료성적을 보고하고 있다. 서울대학교병원 과에서는 1994년 1월부터 1998년 3월까지 다제내성 폐결핵으로 폐절제술을 시행 받은 27례의 임상기록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환자들의 평균나이는 40세였고 술전 병력기간은 평균 3.1년이었다. 모든 환자들은 술전 2차 약제를 투여 받고 있었으며 약물 감수성 검사상 평균 4.4개의 약물에 내성을 보였다. 방사선 검사상 대부분의 환자(96%)에서 주된 병변으로 공동을 발견할 수 있었고 양측성 병변은 19례 (70%)에서 발견되었다. 술전 객담검사상 11례 (41%)에서 객담균 음전화가 이루어졌다. 수술은 전폐적출술이 9례, 폐엽절제술을 16례, 구역절제술을 2례에서 시행하였다. 술후 사망은 없었으며 술후 합병증으로는 1주이상의 지속적인 공기누출이 3례, 출혈로 인한 재수술이 2례, 술후 4개월 후에 발생한 기관지늑막루로 인한 재수술이 1례, 일시적인 신경학적 이상소견이 1례에서 관찰되었다. 수술 직후 22례 (82%)의 환자에서 객담균음전이 이루어졌고, 술후 지속적인 약물치료로 나머지 4례 (14%)에서 균음전이 이루어졌다. 양측성 공동병변을 갖고 있던 1례(4%)에서 객담균음전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다제내성 폐결핵 환자에서 그 병변이 국한되어 있고 수술적 치료를 견딜 수 있는 경우 적극적인 수술적 치료와 내과적 치료를 병합한 경우 높은 치료성공률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식도-위 경계부위를 침범한 위암의 치료 (Treatment of Stomach Cancer Involving Esophagogastric Junction)

  • 이종목;백희종;박종호;임수빈;조재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12호
    • /
    • pp.930-936
    • /
    • 2001
  • 배경 : 식도-위 경계부위에 발생되는 암의 원발병소에는 하부식도의 편평상피세포암, 바렛씨 식도에서 발생한 선암, 위의 분문부에서 발생한 선암, 그리고 상부 위암에서 하부식도를 침범하는 경우들이 있다. 이중 국내에서는 식도-위 경계부위를 침범하는 선암의 대부분은 상부위암의 경계부 침범으로 생각된다. 대상 및 방법 : 저자등은 식도-위 경계부위를 침범하는 위암중 1988년부터 1999년까지 원자력병원에서 수술적 절제를 시행받은 환자를 조사하였다. 결과 : 총 212명이 수술을 받았고 남녀비는 156:56 이었다. 나이는 22세에서 78세였고 정중복부절개, 좌 우 흥부절개 및 복부절개, 그리고 흉-복부 동시절개 등이 이용되었다. 술후 병기는 IA가 7명, IB가 11명, II가 26명, IIIA가 75명, IIIB가 35명, 그리고 IV기가 58명 이었다. 199명에서 근치적 절제를 할 수 있었고 200명에서 위의 전절제를 시행하였다. 164례 에서 하부식도의 침습이 있었다(77.4%). 74.1%는 복부 임파절에 전이가 있었고 17례(8%)에서 종격동 임파절의 침범이 있었다. 수술 사망률은 3.3%였고 전체환자의 5년 생존율은 35%였다. 결론 : 또 여러 가지 수술 접근방법이나 수술시 고려해야 할 점들이 많지만 식도-위 경계부위를 침범한 위암의 수술시 충분한 절제길이와 적절한 임파절의 절제를 위하여 흉부 및 복부의 동시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Video-Assisted Thoracic Surgery (VATS) Lobectomy for Pathologic Stage I Non-Small Cell Lung Cancer: A Comparative Study with Thoracotomy Lobectomy

  • Park, Joon-Suk;Kim, Kwhan-Mien;Choi, Min-Suk;Chang, Sung-Wook;Han, Woo-Sik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4권1호
    • /
    • pp.32-38
    • /
    • 2011
  • Background: Surgical treatment of stage I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can be performed either by thoracotomy or by employing video-assisted thoracic surgery (VA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VATS lobectomy for pathologic stage I NSCLC. Material and Methods: Between December 2003 and December 2007, 529 patients with pathologic stage I NSCLC underwent lobectomies (373 thoracotomy, 156 VATS). Patients in both groups were selected after being matched by age, gender and pathologic stage using propensity score method, to create two comparable groups: thoracotomy and VATS groups, and the overall survival, recurrence-free survival, complication and length of hospitalization were compared between these two groups. Results: After the patients were matched by age, gender and pathologic stage, 272 patients remained eligible for analysis, 136 in each group (mean age of 59.5 years; 70 men, 66 women; 80 stage IA, 56 stage IB).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other preoperative clinic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wo groups. No hospital mortality was observed in both groups. Overall 3-year survival rate was 97.4% in thoracotomy group and 96.6% in VATS groups (p=0.76). During the follow-up, 20 patients (14.7%) developed recurrence in thoracotomy group, including loco-regional recurrence in 7, distant metastasis in 13. In VATS group, 13 patients (9.6%) developed recurrence, including loco-regional recurrence in 4, distant metastasis in 9. Three-year recurrence-free survival rate was 81.8% in thoracotomy group and 85.3% in VATS groups (p=0.4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toperative complications between thoracotomy and VATS groups (30 cases in 22 patients vs. 19 cases in 17 patients, p=0.65, odds ratio=1.19). The mean hospital stay of VATS group was 2 days shorter than that of thoracotomy group ($8.8{\pm}6.5$ days vs. $6.3{\pm}3.3$ days, p<0.05). Conclusion: VATS lobectomy for pathologic stage I lung cancer is a feasible operation with shorter hospitalization, while surgical outcome is comparable to thoracotomy lobectomy.

소형견에서 전 십자인대 단열의 치료를 위한 경골 고평부 평탄 골절단술의 평가 (Tibial Plateau Leveling Osteotomy for Treatment of Naturally Occurring Cranial Cruciate Ligament Rupture in Small Breed Dogs - Case Series)

  • 김충섭;허수영;김민수;김남수;이해범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483-489
    • /
    • 2014
  • 본 연구는 소형견에서 전 십자인대 단열에서 경골 고평부 평탄 골절단술로 치료된 증례의 예후와 수술적 기법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5 kg 미만의 7 마리의 성견에서 편측 전 십자인대 단열에서의 경골 고평부 평탄 골절단술을 이용한 증례를 본 연구에서 이용하였다. 임상적 관찰, 파행 지수, 관절의 운동 범위, 대퇴 둘래 길이를 측정하고 수술 후 부작용에 대해 기록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수술 후 1주에 파행 지수 1을 8주 이후에는 파행 지수 0를 보여 주었다. 수술한 다리의 펴짐각은 다른 쪽 정상 다리와 비교하여 4주에 98.11%로 8주에 99.07%로 12주에 98.73%로 측정되었고 굽힘각은 4주에 98.07%로 8주에 95.88%로 12주에 96.35%로 측정되었다. 수술 후 대퇴 둘레 길이는 다른쪽 정상 다리와 비교하여 4주에 92.95%를 8주에 93.68%를 12주에 95.44%를 보여 주었다. 우리가 수술 한 결과는 이전에 보고된 대형견에서 경골 고평부 평탄 골절단술의 이용 결과들과 비교하여 나쁘지 않은 결과를 보여 주었다. 본 증례를 바탕으로 대형견에서와 같이 소형견에서도 경골 고평부 평탄 골절단술이 전 십자인대 단열에서 성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심부하복벽동맥 천공지 유경 피판을 이용한 이영양성 수포성 표피박리증에 합병된 서혜부 편평 세포 상피암의 치료 - 증례 보고 - (Pedicled Deep Inferior Epigastric Perforator Flap for Treatment of Dystrophic Epidermolysis Bullosa-Associated Squamous Cell Carcinoma in the Groin - Case Report -)

  • 김경필;김지훈;김의식;황재하;김광석;이삼용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19권2호
    • /
    • pp.97-100
    • /
    • 2010
  • Purpose: Epidermolysis bullosa is a rare genetic disease,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xtremely fragile skin and formation of recurrent blister resulting from even a minor mechanical injury. Squamous cell carcinoma (SCC) is recognized as a complication of the chronic scarring associated with dystrophic epidermolysis bullosa (DEB). When a soft tissue defect happens in a patient with epidermolysis bullosa, it is difficult to cover it with a skin graft or a flap. We describe the successful use of a pedicled deep inferior epigastric perforator flap for the reconstruction of SCC associated with DEB in the groin. Methods: A 29-year-old man diagnosed with DEB at birth sustained an ulcer increasing in the right groin for the last 7 months. Under general anesthesia, the mass lesion and lymph nodes were removed and the resulting defect was covered with a pedicled deep inferior epigastric perforator flap. Results: The flap survived completely and his postoperative course was uneventful.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revealed a SCC in the right groin and malignant tumor cells in the removed lymph nodes as well. Additional positron emission tomogram showed a malignant lesion in the ileocecal area with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The patient was referred to an oncologist for chemotheraphy, but the patient refused to take it. During a 4-month follow-up period, there was no recurrence in the right groin. Conclusion: We suggest that perforator flaps can be considered as a reliable alternative for the reconstruction of soft tissue defects in a patient with DEB.

  • PDF

슬관절 외측 및 후외측 불안정성에 대한 외측 보강술 및 슬와근 건고정술 (LCL Augmentation and Popliteal Tenodesis for Lateral and Posterolateral Instability Of The Knee)

  • 박진욱;이주협;손승원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98-102
    • /
    • 2004
  • 목적: 외상으로 인한 슬관절 외측 및 후외측 불안정성을 보이는 환자에게 있어 동시 외측 보강술 및 슬와근 건고정술을 시행하는 방법으로 그 치료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7월부터 2003년 7월까지 슬관절 외측 및 후외측 불안정성으로 진단 받고 외측보강술 및 슬와근 건고정술 후 1년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했던 2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15예, 여자가 6예이었으며 평균연령은 38.5세였다. 손상 후 수술까지의 평균기간은 6.8개월이었다. 슬관절 외측 및 후외측 불안정성의 치료에 있어 본원에서는 대퇴부 외상과에서, 3예에서는 아킬레스 동종건 이식을 시행하였고 18예에서 내측부 인대용 ABC인조인대(Active Bioprosthetic Composite Polyester Ligament, Surgicraft, U. K. )를 이용하여 외측 측부인대의 보강 및 슬와근 건고정술을 동시에 시행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상 슬관절 90도 굴곡 후방 부하 방사선 촬영상 후방 전위의 정도는 건측에 비해 평균 5.6 mm에서 2.5 mm로 개선되었다. 슬관절 30도 굴곡상태의 내반 검사는 전위정도가 건측에 비해 수술 전 평균 8.2 mm의증가소견을 보였으나, 수술 후에는 평균 2 mm의 증가소견만을 보였다. Lysholm score는 수술 전 평균 52.5점에서 수술 후 평균 86.7점으로 34.2점 증가하였고 자가건 이식과 ABC 인조인대를 사용한 군에서 결과는 유의한 차이점은 없었다. 결론: 슬관절의 외측 및 후외측 불안전성에 대한 외측 보강술 및 슬와건 건고정술은 수기 및 수술 후 치료방법이간단하며, 임상적, 방사선학적 평가 결과로 미루어 보아 효과적인 치료 방법 중의 하나로 판단된다.

  • PDF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of Foraminal Decompression Using Unilateral Biportal Endoscopic Spine Surgery for Lumbar Foraminal Stenosis

  • Kim, Ju-Eun;Choi, Dae-Jung;Park, Eugene J.
    • Clinics in Orthopedic Surgery
    • /
    • 제10권4호
    • /
    • pp.439-447
    • /
    • 2018
  • Background: Since open Wiltse approach allows limited visualization for foraminal stenosis leading to an incomplete decompression, we report the short-term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unilateral biportal endoscopic foraminal decompression using $0^{\circ}$ or $30^{\circ}$ endoscopy with better visualization. Methods: We examined 31 patients that underwent surgery for neurological symptoms due to lumbar foraminal stenosis which was refractory to 6 weeks of conservative treatment. All 31 patients underwent unilateral biportal endoscopic far-lateral decompression (UBEFLD). One portal was used for viewing purpose, and the other was for surgical instruments. Unilateral foraminotomy was performed under guidance of $0^{\circ}$ or $30^{\circ}$ endoscopy. Clinical outcomes were analyzed using the modified Macnab criteria, Oswestry disability index, and visual analogue scale. Plain radiographs obtained preoperatively and 1 year postoperatively were compared to analyze the intervertebral angle (IVA), dynamic IVA, percentage of slip, dynamic percentage of slip (gap between the percentage of slip on flexion and extension views), slip angle, disc height index (DHI), and foraminal height index (FHI). Results: The IVA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6.24^{\circ}{\pm}4.27^{\circ}$ to $6.96^{\circ}{\pm}3.58^{\circ}$ at 1 year postoperatively (p = 0.306). The dynamic IVA slightly decreased from $6.27^{\circ}{\pm}3.12^{\circ}$ to $6.04^{\circ}{\pm}2.41^{\circ}$,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375). The percentage of slip was $3.41%{\pm}5.24%$ preoperatively and $6.01%{\pm}1.43%$ at 1-year follow-up (p = 0.227),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preoperative dynamic percentage of slip was $2.90%{\pm}3.37%$; at 1 year postoperatively, it was $3.13%{\pm}4.11%$ (p = 0.720),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DHI changed from $34.78%{\pm}9.54%$ preoperatively to $35.05%{\pm}8.83%$ postoperatively, whic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837). In addition, the FHI slightly decreased from $55.15%{\pm}9.45%$ preoperatively to $54.56%{\pm}9.86%$ postoperatively, but the resul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705). Conclusions: UBEFLD using endoscopy showed a satisfactory clinical outcome after 1-year follow-up and did not induce postoperative segmental spinal instability. It could be a feasible alternative to conventional open decompression or fusion surgery for lumbar foraminal steno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