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st-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32초

대기질 영향평가와 예측방법에 대한 개선방향 (A Method of Improving Air Quality Impact Assessment and Prediction)

  • 박종길;원경미;김성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77-88
    • /
    • 1994
  • When we conduc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main contents consist of summary, project outline, environmental conditions, environmental impacts due to the project, mitigation devices, and alternative measures of harmful impact on environment. In this Paper, to understand how they really conduct air quality impact assessment and prediction and examine their effectiveness, we considered the provisions and actual case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n Korea with that in Japan. As a result, we propose a method of improving air quality impact assessment and Prediction, such as reflection of the result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detailed assessment focused on relatively important environmental impact elements, field measurement investigation over four season and seven sucessive days, the uniformity of units, the proper model development to predict environmental concentration and a biennial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for ex post management.

  • PDF

해역이용협의제도의 사후환경관리 개선방안 (Improvements of Post-Project Environmental Management for the System of the Sea Area Utilization Consultation)

  • 김귀영;이대인;엄기혁;전경암;강성경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21-129
    • /
    • 2013
  • 본 연구는 해역이용협의제도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해양 개발사업의 사후환경관리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협의내용 이행 및 점검 소홀, 사후관리조치 및 결과보고 미흡, 사후관리 인식저하 및 전문성 부족 등으로 개발사업의 사후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또한 사후 해양환경영향조사의 경우도 사업전후 결과의 검증이 매우 중요한 사항인데도 형식적으로 추진되는 등 사후환경관리에 많은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해역 이용협의제도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한 사후환경관리 개선방안으로 관계자들의 사후관리 인식제고 및 이행력 확보가 절실히 요구되며, 갈등해소를 위한 사후관리시스템 구축, 협의내용 미 이행 사항에 대한 제재 및 책임성을 강화해야 하고, 아울러 체계적인 사후 해양환경영향조사 모니터링방안이 정립되어야 할 것이다.

환경영향평가와 측정 : 환경처 업무 중심으로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Environmental Monitoring: Monitoring Factors and Organization)

  • 강인구;장준기;한의정;김명진
    • 환경영향평가
    • /
    • 제3권2호
    • /
    • pp.69-75
    • /
    • 1994
  •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s composed of screening, scoping, inventory survey, prediction, assessment, alternative assessment, mitigation measure, and post management. Environmental monitoring data is applied to EIA process such as prediction and post management. It must he collected and managed systematically for effective applying in EIA process. This article explains factors such as air quality, water quality, soil, ocean, odor, noise & vibration, ecosystem, etc. and organizations of environmental monitoring manag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 PDF

한국에서의 환경영향평가와 환경측정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Environmental Monitoring in Korea)

  • 강인구;김명진
    • 환경영향평가
    • /
    • 제4권3호
    • /
    • pp.31-39
    • /
    • 1995
  •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is composed of various procedures, such as screening, scoping, inventory survey, prediction, assessment, alternative assessment, mitigation measures, and post management. Environmental monitoring data for air quality or water quality, etc. is applied in the EIA process, especially in prediction and post management. As an effective tool of environmental monitoring, the remote sensing method, introduced recently, was used in collecting nationwide data concerning ecosystem and land use. This article explains the current monitoring status in Korea. Monitoring factors include air quality, water quality, soil, ocean, odor, noise, and ecosystems. This report explains the organization of the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 manag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 Furthermore, it shows the environmental criteria and environmental policies applied to EIA in Korea.

  • PDF

해양환경 평가지수를 활용한 환경영향평가서 및 사후환경영향조사결과 통보서 개선 방안 연구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Post-environment Impact Survey Reports Using Marine Environment Assessment Indices)

  • 이어진;김태윤
    • 환경영향평가
    • /
    • 제30권2호
    • /
    • pp.61-7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해양에서 진행되는 개발사업으로 인하여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효율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평가지수들을 비교·검토하였다. 해양수질 분야에는 수질평가지수(WQI), 해양저질 분야에는 유해화학물질 정화지수(CIHC), 부영양화 정화지수(CIET), 농축계수(EF), 해양저서생물 분야에는 저서건강도지수(BHI), 저서오염지수(BPI)를 선정하였다. 개발사업에서 관측된 자료를 각각의 평가지수에 적용하여 평가지수의 특성 및 효용성을 파악하였다. 수질평가지수, 유해화학물질 정화지수, 저서건강도지수가 평가방법 및 평가기준이 명확히 정의되어 있으며, 통합적인 환경영향 분석이 가능하였다. 동 연구에서 제시된 지수이외에도 해양환경을 평가하는 다양한 지수가 있으며, 사업별 특성에 따라 적합한 지수를 활용하는 것도 중요하다.

환경영향평가 협의 내용 분석을 통한 데이터 수요 도출방안 - 수환경 분야를 중심으로 - (Derivation of Data Demand through Analysis of Agreed Terms and Conditions o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Focusing on the Water Environment -)

  • 황진후;김윤지;전성우;최유영;성현찬
    • 환경영향평가
    • /
    • 제32권1호
    • /
    • pp.29-40
    • /
    • 2023
  • 환경영향평가에 대한 문제점으로 인한 개선 필요성이 제기되고, 데이터 기반의 환경영향평가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영향평가의 수환경 분야(수질, 수리·수문, 해양환경)의 협의 내용 분석을 통해 데이터 수요를 도출하였다. 수환경 분야의 환경영향평가 협의 내용 총 400건(4,180문장)을 평가항목(수질, 수리수문, 해양환경) 및 환경영향평가 단계(현황조사 추가, 영향예측 및 평가, 저감대책 수립, 사후환경영향조사)별로 분류 후 유형화하였고, 해당하는 협의 내용 유형 별 데이터 수요를 연계하였다. 협의 내용 유형화 결과 수질 분야 18개, 수리·수문 분야 14개, 해양환경 분야 17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데이터 수요 연계 결과 수질 분야 254개, 수리·수문 분야 102개, 해양환경 분야 74개의 데이터 수요가 도출되었다. 평가항목으로는 수질 분야, 환경영향평가 단계 상으로는 저감대책 수립 분야에서의 협의 내용 유형 및 데이터 수요가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으며, 세부 협의 내용 유형으로는 비점오염 저감 대책이 가장 많은 빈도로 나타났다. 이는 항목의 상대적 중요도와, 환경영향평가의 주요 목적과 연계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환경영향평가 협의 내용 분석을 통한 데이터 수요의 도출은 환경영향평가서 작성의 고도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환경영향평가 데이터 체계화를 통해 다양한 의사결정자의 데이터 활용도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해양에너지개발사업 환경영향평가 검토유형 및 중점평가사항 진단 (Diagnosis of Scoping and Type of Review on the Marin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for Ocean Energy Development Project)

  • 이대인;김귀영;탁대호;이용민;최진휴;김혜진;이지혜;윤성순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79-188
    • /
    • 2015
  • 본 연구는 연안 육역 및 해역에서 일어나고 있는 해양 신재생에너지 개발계획 및 추진사업을 분석하고, 해양환경 및 생태계와 관련된 중점평가사항을 진단하여 효율적인 스코핑(Scoping) 방안과 정책제언을 제시하였다. 주요한 사업유형으로는 공유수면에는 조력, 해상풍력 및 파력발전이 많았으며, 연안 육역에는 태양광발전사업이 주로 계획되었다. 조력발전 등 대규모 개발사업 추진 시, 상위계획에 따른 전략환경영향평가(SEA)와 공유수면매립기본계획 등 사전평가단계에서는 입지의 타당성과 계획의 적정성 측면에서 연안관리지역계획에 따른 용도구역 등 다른 계획과의 조화, 실질적인 대안분석, 그리고 해양수산 규제지역 분포와 어장이용 등 기 해양공간계획과의 상호 연관성 진단 등이 중요하다. 또한, 해역이용협의나 환경영향평가 등 실시단계에서의 구체적인 평가에서는 사업유형별로 중점평가사항에 대한 철저한 진단, 실효적인 사후모니터링 및 저감방안의 제시가 핵심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순수하게 해양공간에서 일어나는 에너지발전사업일 경우에는 해양공간계획 방향과 연계되는 사전평가방안 도입 및 통합 "해양환경영향평가" 체제로의 전환 등 해양수산부가 주도하는 평가제도의 개선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환경영향평가 개선을 위한 무인항공기 기반의 산림공간정보 활용 방안 연구 (Study on Application Plan of Forest Spatial Informaion Based on Unmanned Aerial Vehicle to Improv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성현찬;주용언;전성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3-76
    • /
    • 2019
  • UAVs are unmanned, autonomous or remotely piloted aircraft. As UAVs become smaller, lighter and more economical, their applications continue to expand. Researches on UAVs in the field of remote sensing show development methods and purposes similar to those on satellite images, and they are widely used in studies such as 3D image composition and monitoring.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EIA), satellite information and data are mainly used. However, only low-resolution images covering long distances and large-scale data allowing for rough examination are being provided, so their uses are seriously limited. Therefore, in this paper, we construct spatial information of forest area by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and seek efficient utilization and policy improvement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s a result, high-resolution images and data from UAVs can be used to identify the location status of SEIA, EIA, and small scale EIA project plans and to evaluate detailed environmental impact analysis. In addition, when provided together with infographics about Post-environmental impact investig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ossibility of periodic spatial information construction and evaluation can be used throughout the entire project contents and project post-process.In order to provide sophisticated infographics for the EIA, drone photography and GCP surveying methods were derived.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basis for improving high-resolution monitoring 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n the forest sector.

덕유산 국립공원 무주리조트개발 환경영향평가서 문제점 고찰 - 생태계, 수문, 토지이용 항목을 대상으로 - (The Inquiry into EIS for Muju Resort Development in Mt. Teogyu National Park - Focused on Ecology, Hydrology, and Landuse -)

  • 이규석;안승만
    • 환경영향평가
    • /
    • 제9권3호
    • /
    • pp.229-238
    • /
    • 2000
  • Muju Resort Development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EIS) in Mt. Teogyu National Park are evaluated with the results of post-environmental evaluation. Three EIA items (ecosystem, hydrology, landuse) are investigated. In terms of ecosystem and hydrology, the environment during construction period was compared with post-construction and it was also true of hydrology section. The land use surrounding the resort area have been changed seriously, and the wildlife in large patch are endangered with the fragmentation by road and resort construction. The three items in the Muju Resort EIS was not assessed properly. So, in order to assess properly accurate data, appropriate approach, and periodical post evaluation are required.

  • PDF

개발 사업에 의한 수질영향조사 및 사후환경영향조사 수질결과에 대한 비교·분석 -토석채취사업 및 체육시설 조성사업을 중심으로- (Effects on Water Quality in the Development and the Comparative Analysis of Water Quality Results in Post-environmental Impact Investigation - Focused on a Quarry Mine and Sports Facilities -)

  • 이세용;노영희;조한나;맹준호
    • 환경영향평가
    • /
    • 제26권6호
    • /
    • pp.524-537
    • /
    • 2017
  • 사후환경영향조사 결과의 신뢰도 제고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어 왔으나 조사결과에 대한 객관적인 검증을 수행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 사업에 의한 수질영향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사후환경영향조사 시 수질분야에 결과와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토석채취사업장 내 오수처리시설 최종방류수에 Biochemical oxygen demand(BOD), Suspended solid(SS), Total nitrogen(T-N), Total phosphorus(T-P)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사후환경영향조사 결과와 비교한 결과, 오수처리시설 최종방류수의 BOD, SS, T-N, T-P 농도가 사후환경영향조사 시 분기별 농도의 사분범위(Interquartile range, IQR)와 최소값과 최대값의 농도범위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체육시설(훈련원) 조성사업의 경우에는 오수처리시설 최종방류수에 BOD, SS, T-N, T-P가 높은 농도로 검출되었고 BOD와 SS 농도는 협의기준을 초과하였다. BOD와 SS 농도는 사후환경영향조사 시 오수처리시설 최종방류수의 농도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5). 이러한 연구결과, 개발 사업 시 오수처리시설 최종방류수에 대한 체계적인 수질 모니터링과 적절한 수질관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사후환경영향조사결과의 신뢰도 제고를 위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