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sitive Parenting Attitude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25초

유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Parental Stress of Working Mothers with 3-6 aged Children)

  • 박성옥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37-45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arental stress of working mothers with young children and to fine its rented variables. subjects were consisted of 108 working mothers who had children from 3 to 6 ages. The measurement instruments are the questionnaire which consisting the following parts; Parenting Daily Hassles, Employment Subjective Expected Utility, Beck Depression Inventory, Emotionality, Activity, Sociablity Temperament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method based on frequency, percentile, t-test, F-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1. Parental stress of working mother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working mothers' negative attitudes for their occupations. 2. The higher working mothers' depression resulted in the higher working parental stress. 3.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difficult temperament and parental stress of working mothers. 4. The influential variables on parental stress of working mothers were mothers' attitude to her occupations and children's temperament.

  • PDF

남여 대학생들의 부모기에 대한 인식과 예비 부모교육 프로그램 요구도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Perception of Parenthood and the Needs for a Pre-Parental Educational Program for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 이수기;박희숙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625-639
    • /
    • 2010
  • This study compared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parenthood and their need for pre-parental educational program. Responses of 579 university students in 5 universities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Data were analyzed using a T-test and Pearson's chi squared test. Results showed that (1) systematic and pre-parental education may increase opportunities for university students to prepare parent and child rearing skills. (2) Any pre-parent educational program developed should cover practical and such as communication skills, child-rearing techniques and ways of disciplining children. In this way an educational program could provide university students suitable guidance and give them a positive and proper attitude toward parenting should they become parents in the future.

자녀의 의사결정을 존중하는 부모태도가 인권의식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Respect your child's decisions Effect of parental attitude on human rights awareness: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 정영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2호
    • /
    • pp.77-82
    • /
    • 2022
  • 본 연구는 초등학생(4~6학년)을 대상으로 부모의 태도와 인권의식,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토대로 자녀의 의사결정을 존중하는 부모의 태도가 인권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자아존중감이 부모의 태도와 인권의식 관계를 매개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결과 자녀의 의사결정을 존중하는 부모태도와 인권의식,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 모두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녀의 의사결정을 존중하는 부모태도와 인권의식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녀의 의사결정을 존중하는 부모의 양육태도나 인권의식의 관계를 자아존중감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아동의 기본 권리에 자녀의 의사결정과 참여를 존중하는 부모의 역할이 필요하며, 인권의식을 높이는데 자아존중감의 매개적 역할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간호대학생의 동성애에 대한 태도 영향요인; 성적 자기주장과 성역할 고정관념 중심으로 (Factors Influencing on Attitude toward Homosexuality among Nursing Students: Focusing on Sexual Assertiveness and Sex Stereotypes)

  • 박서아;신경숙;김혜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68-77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성적 자기주장, 성역할 고정관념 및 동성애에 대한 태도 정도를 확인하고, 간호대학생의 동성애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D광역시에 소재하는 2개 대학교 간호대학생 253명을 대상으로 2019년 4월 11일부터 4월 2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징, t-test, ANOVA 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적 자기주장은 평균 평점은 $4.44{\pm}0.37$점, 성 역할 고정관념은 $2.08{\pm}0.58$점, 동성애 태도는 $2.75{\pm}0.37$점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동성애 태도는 종교(F=13.32, p<.000), 종교생활(F=20.43, p<.000), 부모님의 양육태도(F=2.74, p<.044)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성적 자기주장과 동성애의 태도(r=-0.13, p=.034)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성역할 고정관념과 동성애의 태도(r=0.24, p<.000)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종교, 종교생활, 성역할 고정관념이 동성애 태도에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영향요인의 설명력은 23.1%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동성애 태도와 관련된 중재전략이 필요하고, 건강한 성 정체성을 위한 실천 방안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청소년 가정환경요인이 폭력행동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Youth Home Environment on Violent Behavior and Suicidal Thoughts)

  • 김덕조;조성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300-307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가정환경 요인과 폭력행동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거제시 ${\bigcirc}$동의 청소년 남녀 430명을 대상으로 2014년 3월5일 부터 7월 2일 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유의수준 5%에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는 가족의 지지 정도에 따라 폭력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 모의 지지와 의사소통, 모의 민주적 양육태도는 자살생각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 폭력행동은 자살생각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청소년의 폭력행동이 자살생각으로 이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정책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 된다.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스마트폰의존 영향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Influencing Factors of Smartphone Dependence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 권혜민;김보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827-839
    • /
    • 2022
  • 스마트폰중독에 가장 취약한 집단으로 알려져 있는 초기청소년의 스마트폰의존에 대한 심각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기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 영향요인을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구분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해 2018년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의 1차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초등학교 4학년 2,607명과 중학교 1학년 2,590명이 최종적으로 분석에 활용되었다.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스마트폰의존도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자아존중감, 공격성, 부모와 함께 보내는 시간, 부정적 양육태도로 나타났다. 한편 지역(규모), 경제수준, 건강상태, 학교생활만족도, 교사관계는 초등학생의 스마트폰의존도에는 유의하였으나 중학생에게는 유의하지 않았다. 중학생에게서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유의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초기청소년들의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을 장려하기 위한 정책수립 및 사회서비스제공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영유아 부모의 놀이참여태도 척도 타당화 연구 (The Validation of the Play Participation Attitude Scale for Parents of Preschoolers)

  • 이소연;위영희;유재령;정윤주;이영애;김리진
    • 한국놀이치료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91-507
    • /
    • 2018
  • 본 연구는 영유아 부모를 위한 놀이참여태도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질문지는 영유아 자녀의 놀이에 대한 부모의 참여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본 연구자들이 델파이 조사를 통해 개발한 33개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예비조사를 거쳐 문항의 가독성과 의미전달 정도를 파악하였다. 본 조사는 서울 및 인천 지역에 위치한 9곳의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영유아 부모 447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최종적으로 339명의 자료를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 부모를 위한 놀이참여태도 척도의 구인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민감하게 놀기(7문항),' '반응적으로 놀기(6문항),' 그리고 '즐겁게 놀기(7문항)'의 3개 요인 총 20문항으로 정리되었고, 3요인 모형의 적합도는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영유아 부모를 위한 놀이참여태도 척도의 내적일관성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유아 부모를 위한 놀이참여태도 척도의 공인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본 척도와 부모의 놀이성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내어 공인타당도가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영유아 부모를 위한 놀이참여태도 척도는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을 예측하는 준거타당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타당화된 영유아부모를 위한 놀이참여태도 척도는 자녀의 놀이에 참여하는데 있어 부모의 어떠한 태도가 적합한지를 제안하는 부모교육자료로 활용되거나 자녀와의 놀이 참여 태도 개선 및 향상을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이나 놀이치료의 효과성을 평가하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육아휴직 후 직장에 복귀한 간호사의 적응과정 (Adaptation Process of Nurses Who Return to Work after Parental Leave)

  • 정효주;정향인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3-45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enerate a grounded substantive theory of the adaptation process of nurses who return to work after taking parental leave. Methods: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13 participants were conducted between June and September 2014.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1~3 times; interviews were continued until the data became satura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trauss and Corbin's grounded theory method. Results: The core category of experience of the process of adaptation as a nurse who returned to work after parental leave was 'trying to regain one's previous position'. Participants used five interactional strategies: 'preparing in advance', 'initiating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keeping a positive attitude', 'understanding parenting helpers', 'Taking burden off one's mind'.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the adaptation process of nurses returning to work after taking parental leave. The importance of improving nurses' attitudes to their co-workers who take parental leave is highlighted along with the necessity of providing a family-friendly work environment.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develop supportive policies and programs for nurses who return to their work after parental leave.

신증후군 환아의 극복력과 우울의 관계분석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Resilience among Children with Nephrotic Syndrome)

  • 김동희;유일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534-540
    • /
    • 2004
  •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resilience and to identify variables associated with depression among children with nephrotic syndrome. Method: Data was collected from 45 children who were registered at one hospital in Seoul. The criteria for sample selection were 10 to 15 year-old children who were diagnosed at least 6 month prior. The instruments included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on resilience by Kim, CDI by Beck, and MBRI by Kwak. Descriptive,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done. Result: The mean score of depression was 11.44 (range:0-54) and resilience was 97.47 (range:32-128).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depression and age (r=0.302, p<.005) and academic achievement (r=-0.318, p<.005). In addition, negative relationships between depression and maternal attitude (r=-0.412, p<.001) and resilience (r=-0.649, p<.001) occurred.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maternal behavior (${\beta}$=-0.421, p<.005) and resilience (${\beta}$=-0.639, p<.001) were related to depression. Conclusion: Children with higher resilience and with an affectionate mother were less depressed. Thus, it is important to identify strengths of children and help them to increase resilience and implement parenting and counseling programs for parents' of these children. Similar studies with children with other chronic illnesses are needed.

「부모 참 역량」 컨설턴트 양성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유아와 아동 어머니의 역량을 중심으로 (Effectiveness of 「Authentic Parental Competence」 Consultant Development Program: Focusing on Parental Competence of Mothers with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Age Children)

  • 정계숙;견주연;최은아;김지연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29-151
    • /
    • 2015
  • 본 연구는 유아기와 아동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준전문가로서 "부모 참 역량" 컨설턴트를 양성하는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고 프로그램에 참여한 어머니들의 "부모 참 역량" 증진 효과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아와 아동 어머니 14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부모 참 역량" 척도를 활용하여 이들의 "부모 참 역량"을 프로그램 사전, 사후에 측정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적용 후 어머니들의 "부모 참 역량"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양적 분석 결과, "부모 참 역량" 컨설턴트 양성 프로그램은 어머니의 발달적 양육 역량을 비롯한 "부모 참 역량"의 5개 하위요인 모두의 증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나타났다. 질적으로는 어머니들은 대부분 본 프로그램에 참여 후 자신의 양육 역량(양육지식의 변화, 부모 역할에 대한 반성적 태도의 태동), 자기체계 역량(어머니 자신에 대한 이해 및 존중적 태도, 남편에 대한 배우자로서의 자기 인식, 부모로서의 부드러운 시선 및 따뜻한 이해), 사회적 역량(지인에 대한 공감적 이해의 움직임, "부모 참 역량" 컨설턴트로서의 역할 시도하기) 등의 변화를 이야기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부모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