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rt of Busan

검색결과 942건 처리시간 0.024초

선박 배기가스의 대기확산 패턴에 관한 연구 - 부산항을 중심으로 (A Study on Atmospheric Dispersion Pattern of Ship Emissions - Focusing on Port of Busan)

  • 이민우;이향숙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35-49
    • /
    • 2018
  • 부산항은 국내 물동량의 75% 이상을 처리하는 제1의 항만이며, 세계 글로벌 항만 중 6위를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부산항의 중추역할을 하면서 시내와 가까이 위치한 북항에 접안하는 선박들로부터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추정하고, 항만 주변으로 어떻게 확산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미국 환경보건국에서 제안한 배기가스산출모형을 적용하여 선박유형별 배출량을 산정하고, 대기확산모형인 CALPUFF Model를 통해 계절, 기상상태, 시간변화에 따른 배기가스의 대기확산 패턴을 분석한 후,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주요 오염원인 질소산화물, 이산화황, 미세먼지의 배출량은 각각 30,853톤, 36,281톤, 6,856톤이며, 유조선에서 42%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또한 맑은 날엔 대기오염이 항만주위에 정체되고, 바람 부는 날엔 넓게 확산되며, 비오는 날엔 가장 옅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기오염의 심각성을 인식하게 하며, 향후 공공보건을 위한 정책 수립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부산항부두관리공사 직원의 직무만족도 분석 (A Study on Job Satisfaction of Busan-port Pier Management Corporation's Employee)

  • 김상구;이원일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95-100
    • /
    • 2007
  • 세계 5위의 무역항인 부산항은 부산광역시의 세입확충 뿐만 아니라, 도시발전의 큰 매체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산광역시는 민선3기의 출범과 함께 해양특별시 설치를 가장 중요한 시정목표로 삼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목표는 항만관계자들의 직무만족도가 높아야만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1969년 이후 부산항을 실질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부산항부두관리공사(이하 '부공') 직원들의 직무만족도를 조사하고, 이들의 직무만족도를 저하시키는 요인들을 발굴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의 조사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직무만족의 영향요인으로 업무내용, 승진, 보수, 감독, 책임감, 동료와의 관계, 신분보장, 업무량, 근무환경, 제직기간, 성별, 연령, 교육수준 등을 채택하였다. 분석의 결과, 승진과 보수 등의 요인이 직무만족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만족 요인들의 평균값을 구한 결과, 승진만족도는 2.05, 보수만족도는 1.88, 신분보장 만족도는 1.93, 업무량 만족도는 2.85, 근무환경 만족도는 2.24 등으로 나타나 부공 직원들의 직무만족도는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황에서 항만발전의 주도적 역할을 담당하는 부공 직원들의 투철한 직업관과 의식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이는 곧 부산광역시의 현안문제인 해양특별시 설치라는 시정목표를 달성할 수 없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부산광역시의 현안문제를 해결하고 부산항의 발전을 가져오기 위해서는 적어도 항만관계자인 부공 직원들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 PDF

일본을 타겟시장으로 하는 환적화물 유치방안 연구 - 화물 O/D 및 물류비용을 중심으로 - (Plans to Attract Transshipment Cargoes Targeting Japan - Focused on the Cargo O/D and Logistics Costs -)

  • 송용석;윤미선;남기찬;허윤수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제1권)
    • /
    • pp.309-314
    • /
    • 2006
  • 지금까지 중국의 경제 급성장에도 불구하고 중국 항만의 시설 부족으로 인해 한국은 환적화물의 증가세가 뚜렷했었다. 그러나 상해 신항만 개발과 중국항으로의 선사 직기항으로 인해 최근 환적화물의 증가세가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국내 항만개발 계획의 대폭적인 수정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특히 동북아물류중심 국가로의 추진에 큰 장애요인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항만의 급속한 성장 단계에 있는 중국보다 일본시장을 타겟으로 하여 국내 항만과 일본항만간 O/D 및 물류 흐름상의 물류비 구조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일본의 화물을 국내로 유치했을 때의 일본 물류비 절감효과에 대하여 분석함으로써 일본화물 유치 전략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

국내 컨테이너항만의 경쟁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etition Structure among Domestic Container Ports)

  • 이지훈;김율성;신창훈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91-98
    • /
    • 2009
  • 부산항은 과거 싱가포르, 홍콩항에 이어 세계 3위의 컨테이너항만에서 상해항과 선전항의 급부상으로 세계 5위로 순위가 하락했다. 이처럼 중국항만의 성장으로 동북아 중심항만을 목표로 하는 우리나라 항만에게 위협이 되고 있다. 따라서 국내 항만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항만의 경쟁전략 수립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항만의 경쟁전략 수립에 앞서 '나의 경쟁상대는 누구인가?' 라는 질문으로 시작하였다. 경쟁에 관한 주제는 과거 많은 항만관련 연구들이 경쟁의 요인(factor)이나 항만의 효율성(efficiency)에 관해 다루고 있다는 점과 차이가 있다. 연구에 앞서 기존의 문헌연구 고찰을 통해 항만가치 경쟁의 의미를 재정의 하였다. 다음으로 항만의 경쟁을 부산항을 비롯한 5개의 국내 주요 항만 수출입물동량을 바탕으로 국내 항만간 경쟁구조를 파악하였다.

부산 컨테이너 부두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에 관하여 (On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Busan Container Terminal)

  • 이병국;이철영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9-65
    • /
    • 1987
  • Since the middle of 1950's, containerization has been rapidly spread over the world in virtue of great merits providing to interensts, and the fundamental changes in port management and prot operations are resulted. As the container terminal is a complex system which is consisted of various subsystems, the treatment for improving the productivity is required in a comprehensive fashion, both in each of its parts and as an integrated system. This paper aims to make an intensive analysis of the Busan Container Terminal system, especially focusing on its subsystems such as ship operation system, storage system and transfer system. First of all, the intrinsic capacity of various subsystems is calculated and it is checked whether the current operation is being performed effectively through the formal analysis. Secondly, the suggestion is presented to improve the operation by considering the throughput that the port of Busan will have to accept in the near futu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s the inefficiency is due to the imbalance between various subsystems at Busan terminal, transfer equipment level must be up to 31% for straddle carrier and 67% transfer crane above all. 2) The yard capacity must be increased by reducing the free dwell time of containers in order to accept the traffic volume smoothly in the near future. 3) The better way to reduce the port congestion is to change berthing rule from the FIFP to the Pre-allocated system by considering the ship arrival pattern.

  • PDF

부산신항 용원수로에서의 퇴적물 용출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diment Release Characteristics in Yongwon Channel, Busan New Port)

  • 권재현;김영도;조영하;정태진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03-512
    • /
    • 2012
  • In Yongwon channel, its natural flow of seawater is blocked by the construction of Busan New Port including the container berth. The channel was transformed into a narrow and long one, where it is possible that ships are only allowed to pass through the north-side channel of Gyeonmado located at the point of river mouth to Songjeongcheon. In addition, Yongwon channel is approximately 100 m wide on average and 3,600 m long, and has the highest slenderness ratio (length/width = 36). So it is considered that the changes in the terrain characteristics of Yongwon channel is likely to alter the circulation of sea water, thereby changing its water quality. In this study, the bottom sediment were collected from the 48 points of the Yongwon channel and the long-term leaching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hus, changes in sediment and water quality were analyzed through the sediment release test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contamination. The sediment release from the inside region was higher than the outer region, which is due to the pollutant that comes form the downtown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predict the water quality in the future and prepare the economically optimized countermeasures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Yongwon channel, Busan New Port.

부산 북항 주변지역에서 포집된 PM2.5의 개별입자 특성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Particles for PM2.5 Collected around Busan North Port)

  • 현상민;천성우;김원년;강나연;박정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1권9호
    • /
    • pp.781-791
    • /
    • 2022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ffects of various emission sources such as ships around the Busan North Port area, PM2.5 samples were analyzed by SEM/EDS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with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meter). In the port city Busan, the main emission source of PM2.5 is ships, and soot was observed as the main exhaust particles of a ship diesel engine. As a result of the individual particle analysis of PM2.5 at the sampling site, carbonaceous particles such as soot and water droplet-shaped, which are considered to be exhausted from ships, were constantly observed. And some spherical Fe-rich particles also appeared.

한국항만도시의 입지, 인구성장과 화물집중도연구 (A Study on the Location, Population Growth, and Cargo Concentration of Korean Port-Cities)

  • 박노경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61-87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location, population growth. and cargo concentration of Korean port-cities. In the location theory, Sommer (1976) and McGee (1967) models are newly introduced, as are the Rimmer (1967), Bird (1965), Hoyle (1981) models. which were already introduced in previous studies from Korea. Analysis of population growth in the Korean port-cities is conducted using data from 1966 to 1998. Rimmer and Hoyle's concentration models are used to measure cargo concentration from 1966 to 2000. The main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Korean ports are concentrated on the East Sea, the Southern Sea, and the West Sea. Their locations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hinterland. the inland city, and growth of port-cities. In considering the foreign countrys' cases, Korean port-cities are similar to the models of Bird and Hoyle. Second, the populations of Ulsan and Pohang grew at the fastest rate in 1966-1998, while the port cities in the Honam and Jeiu region grew at much lower ratios. Most port cities are located near large industrial complexes. Third the growth rates of Gwangyang, Daesan, Pohang, Pyungtaeg, and Samchunpo increased, while those of Busan. Mukho, Masan, Mogpo, Yeosu, and Sokcho declined. Of particular note, the growth rate of Busan remained negative after the late 1980s. Fourth. empirical results using the Rimmer (1967) model indicate that Gwangyang, Daesan, Pyungtag, and Pohang have shown the concentration. But the deconcentration was shown from the Busan, Mukho, Janghang, Gunsan, Mogpo, Yeosu, Masan, Sokcho. and Jeju. Fifth, the concentration of ports located in West coast region has shown the mixed results between concentration and deconcentration except the concentration of early 1970s and 1990s. The concentration of ports located in East coast region has shown the concentration before the middle of 1980s. And deconcentration after the middle of 1980s have appeared. The Southern coast region has shown the continuous deconcentration except the partial concentration of early 1986. and 1991. Planners of Korean ports should find out the factors of concentration and deconcentration of each ports and should determine factors such as investment priority level. size and scope in order to ensure the balanced development of regional ports and port-cities.

  • PDF

항만선택기준에 대한 실증연구 - 내적.외적 요인의 구분과 외적요인의 중요성 - (An Empirical Study on Port Selection Criteria - Classification of Internal/External factors and Importance of External factors -)

  • 김율성;이홍걸;신창훈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57-362
    • /
    • 2004
  • 중국항만의 급속한 성장으로 말미암아, 최근 부산항의 경쟁력 제고에 관한 연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대부분은 동북아 주변항만의 경쟁력을 다양한 방식으로 분석/평가하여, 부산항의 위상을 제시하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 것으로 요약된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학술적인 의미보다는 우리나라가 당면한 현안자체에 큰 비중을 두고 있는 연구들로써, 이와 관련한 기초연구의 필요성은 오히려 간과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항만의 경쟁력을 올바르게 평가하고 분석하는데 기초가 되는 항만선택요인에 대한 철저한 고찰은 매우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로 말미암아, 기존연구들은 각기 다른 요인들을 척도로 하여 항만들을 평가/분석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기존연구의 분석결과들로부터 일관성을 확보하기 곤란한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항만의 선택 요인을 실증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실증데이터를 분석하여 항만선택 요인을 내적요인과 외적요인으로 구분하고, 그 동안 그 중요성이 실증적으로 부각되지 않았던 외적요인에 주목하여 이러한 요인이 항만 선택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한다.

  • PDF

항만선택 기준에 관한 실증연구 - 내적ㆍ외적 요인의 구분과 외적요인의 중요성 - (An Empirical Study on Port Selection Criteria -Classification of Inter/External factors and Importance of External factors-)

  • 김율성;이홍걸;신창훈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525-530
    • /
    • 2004
  • 중국항만은 급속한 성장으로 말미암아, 최근 부산항의 경쟁력 제고에 관한 연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대부분은 동북아 주변항만의 경쟁력을 다양한 방식으로 분석/평가하여, 부산항의 위상을 제시하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 것으로 요약된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학술적인 의미보다는 우리나라가 당면한 현안자체에 큰 비중을 두고 있는 연구들로서, 이와 관련한 기초연구의 필요성은 오히려 간과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항만의 경쟁력을 올바르게 평가하고 분석하는 데 기초가 되는 항만선택요인에 대한 철저한 고찰은 매우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로 말미암아, 기존연구들은 각기 다른 요인들을 척도로 하여 항만들을 평가/분석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기존연구의 분석결과들로부터 일관성을 확보하기 곤란한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항만의 선택 요인을 실증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실증데이터를 분석하여 항만선택 요인을 내적요인과 외적요인으로 구분하고, 그 동안 그 중요성이 실증적으로 부각되지 않았던 외적요인에 주목하여 이러한 요인이 항만 선택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