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ork and beef

검색결과 404건 처리시간 0.021초

국내 시판 육포류의 품질평가 - 외형, 식품첨가물, 영양조성분 및 위생적인 상태 조사 - (A Evaluation of Quality of the Marketing Jerky in Domestic - 1. Investigation of Outward Additives, Food Additives, Nutrient Content and Sanitary State -)

  • 양철영;이수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67-202
    • /
    • 2002
  • 유통 시판 중인 육포류를 수집하여 외형 상태, 성분 배합 및 첨가물 이용 상태, 영양 조성분 및 위생적인 상태를 조사, 분석하여 품질수준을 평가하였다. 1. 원료는 수입우육 국내 제조품에서, 형태는 strips형이, sealing은 무진공 상태, 포장 재료는 nylon/polyethylene적층 필름이 많았으며, 돈육포류는 국내산 원료육으로만 제조되고 있었다. 2. 조미·배합물과 첨가물 사용은 우육포류에서 국내산 육포류 16종, 수입육 국내 제조육포류 23종, 수입육포류 22종이며, 돈육 육포류는 13종으로 나타내었다. 수분 함량은 수입 우육포류에서, 조단백질 함량은 수입 우육포류와 돈육포류에서, 조지방은 돈육포류에서 각각 높았으며 조회분은 육포류간에 유사한 함량 수준을 보였다. 3. 염도는 3차 측정 평균값으로서 수입 우육포류가 높았으며 국내산 우육포류가 낮았다. pH 범위는 5.41∼6.11 사이로 수입 우육포류가 약간 높고, 국내산 우육포류가 낮게 보였다, 수분활성도는 돈육포류가 평균 0.743으로 높고, 국내산 우육포류가 가장 낮게 나타내었다. 4. VBN값은 육포류에서 평균 9.98∼12.36mg%범위로서 국내산 돈육포류가 가장 낮았고, TBA값은 육포류에서 평균 0.239∼0.367mg/kg으로 수입육 국내제조 우육포류가 높게 나타내고 국내산 돈육 포류가 낮은 수준이었다.

구제역 발생이 돼지고기 소비에 미친 영향분석 (An Impact Analysis of FMD News on Pork Demand in Korea)

  • 김은순;최세현;조재환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75-85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livestock diseases, including FMD(foot-and-mouth disease) and MCD(mad-cow disease), on pork demand in Korea. TV news stories about the livestock diseases were considered as negative advertising, and therefore the carry-over effect of negative advertising was combined with the pork demand model in conjunction with an exponential distributed lag function. The asymmetry hypothesis was imposed, however it was accepted that demand response does not show different sensitivities to increases and decreases in the livestock disease news. FMD news had a negative effect on pork demand, whereas MCD news had a positive effect, yet FMD news had a greater effect on pork demand than MCD news. The pork demand elasticity estimates for FMD and MCD news were -0.0071 and 0.0028, respectively. The cross-elasticity of the imported beef price to pork demand was highly inelastic, but it was elastic during the beef import embargo.

육수 개발을 위한 수조육류 및 부재료의 최적 배합비율에 관한 연구 (Study on Appropriate Mixing Ratios of Various Animal Meats with Other Ingredients to Improve the Palatability of Stock)

  • 신명은;이경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09-415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tock that can be used to make a variety of dishes. For this, stock was prepared with beef, chicken, and pork meat as animal meats as well as anchovy, mushroom, and sea tangle as other ingredients. The qualities of six[only four though] kinds of stocks made with beef only (B), beef and chicken (BC), beef and pork (BP), and beef added with chicken and pork (BCP), and seven kinds of stocks made with anchovy (A), mushroom (M), sea tangle (S), anchovy and mushroom (AM), anchovy and sea tangle (AS), mushroom and sea tangle (MS), and anchovy added with mushroom and sea tangle (AMS) were investigated by sensory evaluation. The most preferred stock made with animal meat was mixed with the most preferred stock made with other ingredients at a 5% level to test the synergistic effects of palatability. As a result, BCP stock and AMS stock obtained the highest scores for overall preference. BCP stock within the range of 30%-65% along with the mixed stock containing AMS (35%-70%) showed synergistic effects for palatability.

활동기준원가와 메뉴엔지니어링을 이용한 외식업체 메뉴 분석 (Using Activity-Based Cost in Menu Engineering for Restaurant Menu Analysis)

  • 이봉식;신서영;최미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642-649
    • /
    • 2006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methods of applying activity-based cost to menu engineering and to examine the feasibility. A total of 6 menu items of XYZ restaurant in Seoul were selected and the ledger of September 2005 was used for menu analysis. The menu mix percent of beef sirloin steak (61.95%) and beef tenderloin steak (17.13%) were labeled as high, whereas BBQ pork ribs (4.94%), salmon fillet (2.66%), seafood platter (5.77%), and teriyaki chicken (7.56%) showed low menu mix percent. In addition, the contribution margin for BBQ pork ribs (29,000 won), salmon fillet (25,810 won), seafood platter (22,400 won), and teriyaki chicken (22,000 won) were higher than the average contribution margin (21,957 won), and those for beef sirloin steak (21,200 won) and beef tenderloin steak (21,900 won) were lower than average. When popularity and contribution margin were applied in menu engineering, BBQ pork ribs, salmon fillet, seafood platter and teriyaki chicken were classified as puzzles and beef tenderloin steak and beef sirloin steak as plowhorses. Menu engineering using popularity and operating profit, which was calculated from activity-based cost, also gave the same results, whereas the additional label for activity cost placed BBQ pork ribs and salmon fillet in the brain teaser category. Ranking analysis on variables estimating menu profitability using Spear-man's ${\rho}$ reveal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which means the estimation of menu item profitability could differ by methods of analysis. With thes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activity-based cost would help to establish more detailed marketing strategy for a restaurant.

우육과 돈육의 냉동저장 중 품질변화에 대한 냉동변성 방지제의 첨가효과 (The Effect of Cryoprotectants on the Quality Changes of Pork and Beef during Frozen Storage)

  • 양승용;김영호;이무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64-369
    • /
    • 1989
  • 본 실험은 냉동저장 중에 법동변성 방지제의 첨가가 우육과 돈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것으로 냉동변성 방지제 종류는 sorbitol, mono sodium glutamate와 sodium tripolyphosphate를 혼합하여 사용한 CP-A, sorbitol, sucrose와 sodium tripolyphosphate를 섞은 CP-B 그리고 sorbitol, sucrose, sodium citrate와 sodium tripolyphosphate를 사용한 CP-C세 종류이었고 시료는 $-20^{\circ}C$에서 12주간 저장되었으며 분석항목으로는 pH변화, TBA가, 유리지방산 함량의 변화, 수용성 및 염용성 단백질의 추출성이었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냉동변성 방지제 첨가구의 pH는 무첨가구의 pH보다 0.2-0.5unit 정도의 상승효과를 보였으며 TBA가 및 유리지방산 함량은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무첨가구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2. 수용성 단백질의 추출성은 냉동변성 방지제를 처리할 때 돈육이 우육에 비해 높은 추출율을 보였는데 특히 돈육의 CP-B 처리구에서 무첨가구에 비해 우수하였다. 3. 염용성 단백질의 추출성에 대한 냉동변성 방지제의 효과는 우육의 CP-A 처리구와 돈육의 CP-B 처리구에서 무첨가구에 비해 약 10-25%의 높은 추출성 향상을 나타내었다.

  • PDF

저지방 소시지 제조를 위한 쇠고기와 돼지고기의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f Beef and Pork for Low Lipid Sausage Manufacturing)

  • 권영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306-311
    • /
    • 2000
  • 저지방, 저콜레스테롤 소시지의 제조에 이용하기 위하여 원료로 사용되는 쇠고기와 돼지고기의 지방과 콜레스테롤을 초임계 이산화탄소로써 추출하였다. 추출 온도의 범위는 $35-55^{\circ}C$이었으며, 추출압력은 103-373bar를 이용하였다. 쇠고기의 지방은 압력이 높을수록 추출이 잘되었으나, 콜레스테롤은 압력에 대한 영향보다는 온도가 높을수록 추출이 잘 이루어졌다. 여러 가지 수분 함량을 가지는 동결 건조된 쇠고기의 지방 및 콜레스테롤은 쇠고기의 수분함량이 낮을수록 추출이 잘 되었다. 아울러 지방에 대한 콜레스테롤의 추출 비율도 쇠고기의 수분 함량이 낮을수록 높았다. 돼지고기의 지방과 콜레스테롤 추출도 쇠고기와 비슷한 양상의 초임계 유체 추출 특성을 보였다. 또한 시료 쇠고기의 형태가 잘게 부수어진 것에 비하여 작은 육면체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 것이 지방 및 콜레스테롤의 추출량을 증가시켰다. 추출 후 쇠고기와 돼지고기는 육색소의 추출이 함께 이루어지므로 추출 전의 쇠고기와 돼지고기에 비하여 옅은 색을 나타내었는데 육색소의 양이 많은 쇠고기의 경우 그 차이가 훨씬 컸다. 지방과 콜레스테롤이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제거된 쇠고기와 돼지고기는 재수화한 후, 지방과 콜레스테롤이 제거되지 않은 고기와 섞어 저지방 소시지를 제조하였다. 두 종류의 고기를 섞는 비율이 50 : 50이 될 때까지 소시지의 품질에 큰 영향이 없었으며, 이화학적 성질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Changes in the quality of pork loin after short-term (ten-day) storage in a supercooling refrigerator

  • Park, Chun Ho;Park, Hye Sook;Yoon, Kyungah;Choe, Jeehwan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3권4호
    • /
    • pp.884-891
    • /
    • 2021
  • The study aimed to evaluate pork loin quality after short-term (ten-day) storage in a supercooling refrigerator. Pork loin samples were stored for 10 days in a traditional refrigerator (control) and a commercially available supercooling refrigerator (SC). Pork quality measurements included meat pH, meat color, water holding capacity (drip loss and cooking loss), tenderness (hardness), and a sensory evaluation. Temperature changes of 0.45 ± 0.2℃ and 0.02 ± 0.25℃ occurred in the control and the SC, respectively, during 10 days of storage. The temperature in the SC chamber did not remain below freezing point, failing to meet expectations. Regarding the pork quality measurements, only the drip losses in the control and the SC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4.45% vs. 2.59%, p < 0.01) after 10 days of storag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ypes of refrigerator in terms of the other measurements. Additionally, the overall acceptability of the pork loin did not vary significantly between the control and the SC when the sensory evaluation was performed. Therefore, a commercial SC could prove beneficial in terms of water holding capacity during the short-term storage of meat. Further research should be performed to evaluate quality changes that occur during long-term storage of meat in SC s and evaluate a wide range of meat, such as beef and chicken.

시판 육류중의 Tetracycline계 항생물질 잔류량과 가열분해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ontent and Heat Decomposition of Residual Tetracycline in Meats on the Market)

  • 배기철;이영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83-87
    • /
    • 1991
  • 육류중의 Tetracycline계 항상물질의 잔류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시판 중인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3종을 각각 3개시료씩 구입하여 Tetracycline(TC), Oxyteracycline(OTC) , Chlortetracycline(CTC) 의 잔류량을 분석하였으며, 아울러 잔류 항생물질의 조리가열에 의한 분해감소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판 육류중의 OTC 및 CTC 잔류량: OTC 잔류량은 닭고기의 경우 A 시료에서 흔적정도, B시료에서 불검출 , C시료에서는 0.09mg/kg이 검출되었다. 쇠고기 3개 시료에서는 C 시료에서만 돼지고기 A 및 B에서는 흔적정도로 검출되었다. CTC은 닭고기 A,C시료에서 0.14, 0.02mg/kg으로 각각 검출되었으며, 쇠고기와 돼지고기의 경우에는 쇠고기 B에서만 0.01mg/kg의 잔류량이 확인되었다. 2. TC 잔류량 : 쇠고기와 돼지고기의 Tc 분석에는 육류 자체에서 유래된 성분의 peak와 TC의 peak가 중복되어 잔류량의 판단을 방해하였으나, 닭고기의 경우에는 이러한 방해 성분이 없었으며, 3개중 A 시료에서만 0.01mg/kg의 잔류량이 검출되었다. 3. 가열방법별 항생물질의 분해정도 : 가장 고온가열인 굽기에서, 특히 TC 및 OTC의 분해가 많았다.. 4. 가열시간에 따른 분해정도 : 자불에서는 상당시간이 경과하여도 미량의 분해가 있었으나, 굽기에서는 시간경과에 따라 분해량의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 굽기와 같은 조리 효과를 가진 전자오븐 가열에서는 덜 분해되었다. 가열에 대한 각 항생물질의 내열성은 CTC>OTC>TC 의 순으로 나타났다.

  • PDF

신선도표시계를 이용한 쇠고기 및 돼지고기의 저장 중 신선도 측정 및 품질 변화 (Use of Freshness Indicator for Determination of Freshness and Quality Change of Beef and Pork during Storage)

  • 신희영;구경주;박상규;송경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25-330
    • /
    • 2006
  • 식육의 신선도를 판정 할 수 있는 신선도표시계를 제작하여 냉장 저장 중 돼지고기의 삼겹살과 쇠고기의 등심의 신선도 및 품질 변화를 측정하고자 저장 중 표면 pH, VBN, TBARS, 총균수 전자코 측정 및 관능검사를 수행하였다. 저장기간 중 삼겹살과 등심 모두 저장 6일 경과 후 신선도표시계의 색이 변하였다. 저장 기간 중 품질의 변화를 측정 한 결과 신선도표시계의 반응 시점과 같은 저장 6일에 VBN, TBARS, 총균 수의 값도 부패 시점 기준에 도달하는 값을 나타내었고 관능검사 결과도 저장 6일 이후에는 이취 등에 의하여 가식이 불가능 하였다. 전자코 분석에서도 저장 0일째, 저장 6일째, 저장 10일째의 향기 분석에 있어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저장 중 식육의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관능적 변화를 고려할 때, 제작된 신선도표시계의 시료 부착을 통하여 유통 중인 식육의 선선도 측정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근육식품에서 지방산화에 대한 피틴산, 저장기간 및 온도의 영향 (Effects of Phytic Acid Content, Storage Time and Temperature on Lipid Peroxidation in Muscle Foods)

  • 이범준;김영철;조명행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7-33
    • /
    • 1999
  • Phytic acid, making up 1~5% of the composition of many plant seeds and cereals, is known to form iron-chelates and inhibit lipid peroxidation.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as an indication of lipid peroxidation, were measured in beef round, chicken breast, pork loin, and halibut muscle after the meats were stored for 0, 1, 3, 5, and 7 days at various temperatures [frozen (~2$0^{\circ}C$), refrigerator (4$^{\circ}C$), and room temperature ($25^{\circ}C$)]. Phytic acid effectively inhibited lipid peroxidation in beef round, chicken breast, halibut, and pork loin muscle (p<0.05). The inhibitory effect of phytic acid was dependent on concentration, storage time, and temperature. At frozen temperature, the inhibitory effect of phytic acid was minimal, whereas at room temperature, the inhibitory effect of phytic acid was maximal, probably due to the variation of the control TBARS values. At the concentration of 10 mM, phytic acid completely inhibited lipid peroxidation in all the muscle foods by maintaining TBARS values close to the level of the controls, regardless of storage time or temperature (p<0.05). The rate of lipid peroxidation was the highest in beef round muscle, although they had a close TBARS value at 0 day. Addition of phytic acid to lipid-containing foods such as meats, fish meal pastes, and canned seafoods may prevent lipid peroxidation, resulting in improvement of the sensory quality of many foods and prolonged shelf-lif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