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re shape

검색결과 293건 처리시간 0.025초

깁사이트를 원료로 한 고온촉매용 담체의 제조 II, 비정질 알루미나의 담체 전구체로서의 특성 (Preparation of High-Temperature catalytic Support from Gibbsite II. Properties of Amophous Alumina as Precursor of Catalyst Support)

  • 김성연;김연식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92-100
    • /
    • 1996
  • Amorphous alumina(AA) the precursor of ${\gamma}$-alumina for catalyst support was made in the newly designed ball filled heating column. Some properties of AA as precursor were investigated. In observation of microstruc-ture and pore structure of AA and its derivatives scanning electronic microscope(SEM) and transmission electronic microscope(TEM) were used. It was found that the width of one particle in AA was 45~60$\AA$ and the average distance among the particles ranged 9~12 $\AA$ which suggested a micropore structure. When AA was reacted with water the shape of the surface was found to be altered and acicular bioehmite was formed inside AA which contributed inproved formability. Pore distribution was evaluated for the three samples of AA ground and granulated lump and La2O3 coated alumina. Acid sites were quantitatively determined by ammonia TPD method and the effect of impurity of Na on acid sites was discussed. Water adsorption capacity was evaluated in terms of a desiccant.

  • PDF

Preparation of MgO with High Surface Area, and Modification of Its Pore Characteristics

  • Lee, Moon-Hee;Park, Dong-Go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4권10호
    • /
    • pp.1437-1443
    • /
    • 2003
  • Thermal decomposition of hydrated surface layer of $Mg(OH)_2$ at $500^{\circ}C$ in vacuum turned non-porous MgO into porous one with high surface area of around $270 m^2$/g. Most of its surface area, 74 %, was from micropores, and rest of it was from mesopores in wedge-shaped slits, exhibiting bimodal size distribution centered around 30 and 90${\AA}$. Rehydration followed by subsequent dehydration at $300 ^{\circ}C$ in dynamic vacuum further raised the surface area to 340 $m^2$/g. Fraction of microporous surface area was increased to 93%, and the shape of the mesopores was modified into parallel slits with a specific dimension of 32 ${\AA}$. Application of $Fe_2O_3$ over MgO via iron complex formation did not alter the pore characteristics of MgO core, except slightly increased pore dimension. Over the course of the modification, $Fe_2O_3$ stayed on the surface possibly via spill-over reaction.

One-Pot Electrochemical Synthesis of Hierarchical Porous Niobium

  • Joe, Gihwan;Shin, Heon-Cheol
    • Journal of Electrochem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2권2호
    • /
    • pp.257-265
    • /
    • 2021
  • In this study, we report niobium (Nb) with hierarchical porous structure produced by a one-pot, HF-free electrochemical etching process. It is proved experimentally that a well-defined hierarchical porous structure is produced from the combination of a limited repetition of pulse etching and high concentration of aggressive anion (i.e., SO42-), which results in hierarchical pores with high order over 3. A formula is derived for the surface area of porous Nb as a function of the hierarchical order of pores while the experimental surface area is estimated on the basis of the electrochemical gas evolution rate on porous Nb. From the comparison of the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surface areas, an in-depth understanding was gained about porous structure produced in this work in terms of the actual pore shape and hierarchical pore order.

355nm UV 레이저를 이용한 선택적 하이브리드 구조 필름의 제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lective hybrid-structure film fabricated by 355nm UV-pulsed laser processing)

  • 김명주;이상준;신보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2979-298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발포제를 이용하여 형성된 기공을 확대하는 방식의 공정으로써, 선택적 하이브리드 구조의 폴리머 필름의 제작을 위한 새로운 발포기술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발포제만을 이용한 폐쇄형 기공보다 큰 기공을 형성하기 위해서 PP에 발포제와 구리분말(Copper powder)을 혼합하여 만든 필름 내부에 355nm파장의 UV 펄스레이저를 이용하여 LAMO(Laser Aided Micro pore Opening) 공정 방식을 통한 기공의 크기를 확장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발포공정만 수행된 기공의 크기보다 추가적인 LAMO 공정을 통해 형성된 기공의 크기가 훨씬 더 크게 관찰되었다. 본 실험의 결과를 통해 LAMO 공정에 의한 기공의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기존의 UV laser를 이용하여 원하는 부위에 선택적으로 폐쇄형 기공을 형성하는 것 이상으로 기공의 크기를 제어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질산에 의한 중.저탄소페로망간제조분진에 함유된 망간의 침출 (The Extraction of Manganese from the Medium-Low Carbon Ferromanganese Dust with Nitric Acid)

  • 이계승;한기천;송영준;신강호;조동성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9권1호
    • /
    • pp.21-26
    • /
    • 2000
  • 고탄소페로망간을 중.저탄소페로망간으로 제조하는 AOD공정의 Bag filter에 포집된 분진은 약 90%가 $Mn_3O_4$인 망간산화물이다. 분진의 입도는 5$\mu\textrm{m}$이하이고, 입자들은 직경이 10nm정도인 미립자들의 응집체로서 구형이다. 분진에서 망간을 질산으로 침출할 때의 최대침출율은 약 67%이며,비정질의 $MnO_2$가 잔류한다. 침출속도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빨라지고 고농도의 질산에서는 늦어졌다. 침출속도를 여러 침출모델에 적용한 결과는 pore diffusion model에 일치하였다.

  • PDF

CO2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slit-pore shaped activated carbon prepared from cokes with high crystallinity

  • Park, Mi-Seon;Lee, Si-Eun;Kim, Min Il;Lee, Young-Seak
    • Carbon letters
    • /
    • 제16권1호
    • /
    • pp.45-50
    • /
    • 2015
  • High crystallinity coke-based activated carbon (hc-AC) is prepared using a potassium hydroxide solution to adsorb carbon dioxide ($CO_2$). The $CO_2$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the prepared hc-AC are investigated at different temperatures. The X-ray diffraction patterns indicate that pitch-based cokes prepared under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have a high crystal structure. The textural properties of hc-AC indicate that it consists mainly of slit-like pores. Compared to other textural forms of AC that have higher pore volumes, this slit-pore-shaped hc-AC exhibits higher $CO_2$ adsorption due to the similar shape between its pores and $CO_2$ molecules. Additionally, in these high-crystallinity cokes, the main factor affecting $CO_2$ adsorption at lower temperature is the pore structure, whereas the presence of oxygen functional groups on the surface has a greater impact on $CO_2$ adsorption at higher temperature.

Silicone Rubber Membrane의 제조 및 기공특성 (Preparation of Silicone Rubber Membrane and its Porosity)

  • 이승범;김형진;홍인권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0권3호
    • /
    • pp.185-194
    • /
    • 1995
  • Membrane process has been employed to separate a specific substance from gas or liquid mixture, and treat wastewater.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substance of mixture can be permeated and separated selectively by membrane. Since Initial equipment and operation costs are not expensive, membrane process has been adopted in various fields such as petroleum Industry, chemistry, polymer, electronics, foods, biochemical industry and wastewater treatment. In this study, $CaCO_3$ particles impregnated in silicone rubber network were extracted by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and pore distribution of silicone $rubber-CaCO_3$ was investigated with varying amount of extract. Silicone rubber has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heat-resistance, cold-resistance etc. and $CaCO_3$ has microporous structure. It is possible to make silicone $rubber-CaCO_3$ composite sheets via work-intensive kneading processes. In so doing $CaCO_3$ particles become distributed and impregnated in silicone rubber network.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diffuse through composite sample, then sample is swollen. $CaCO_3$ in silicone rubber network Is dissolved in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and its sites become pores. Pore distribution, pore shape and surface area are observed by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micrograph and BET surface area analyzer examination respectively. Pore characteristics of membrane suggest the possibilities that the membrane can be used for process of mixture separation and wastewater treatment.

  • PDF

Streptanthus tortus 조직배양 세포에서 사공의 형성시기와 사공 영역과 사공의 크기 결정 (Determination of the Period of the Formation and Size of Sieve Element Area and Sieve Pore)

  • 조봉희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29권1호
    • /
    • pp.41-44
    • /
    • 2002
  • Streptanthus 조직배양 세포에서 유조직 세포로부터 사부 세포의 발달 동안 설탕 운반자는 유도되었고, 단당류인 포도당의 운반자는 사라졌다 (Cho 1998). Streptanthus 조직배양 세포에서 유도된 사부영역과 사공은 sieve endoplasmic reticulum (SER)과 p-protein 합성이 거의 완성되는 시기에 형성되며, SER이 새로 합성된 세포벽을 에워싼 후에 세포벽이 분해되기 시작하였다. 세포벽의 분해와 사공의 형성은 비교적 규칙적으로 진행되었다. 사공의 모양은 계란형이었고, 사공의 외부크기는 세로 1.2 $\mu\textrm{m}$~l.6 $\mu\textrm{m}$, 가로 0.8 $\mu\textrm{m}$~l.3 $\mu\textrm{m}$, 다양하고 사공의 내부크기는 별모양과 유사한 불규칙한 형태였다. 두 사부세포 사이에서 사공의 수는 $\mu\textrm{m}$$^2$당 2개~7개였고, 육상체를 포함한 사공벽에 두께는 0.05 $\mu\textrm{m}$~0.07 $\mu\textrm{m}$,의 두꺼운 벽으로 구성되었다. 사공영역과 사공의 형성에 필요한 에너지는 세포벽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는 미토콘드리아에서 얻을 것으로 추측하며, 사공 형성에 대한 SER의 역할은 아직까지 설명할 수 없었다.

격자 볼츠만 방법에 의한 지반 내 오염물질의 거동 분석 (Analysis of Contaminant Transport in the Ground using the Lattice-Boltzmann Method)

  • 강동훈;윤태섭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6C호
    • /
    • pp.267-274
    • /
    • 2012
  • 오염물질의 거동은 간극 배열과 연결망에 의해 결정되지만 흙에서 오염물질의 이동을 계산하는 전통적인 접근은 거시 스케일에서 적용된다.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을 풀기 위해 소요되는 컴퓨팅 비용 때문에 간극 스케일에서 이동과 결과를 관찰하기 쉽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단일상 다성분 유체유동에서 국부적인 유속과 밀도를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격자 볼츠만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오염물질의 시공간적 거동은 유체 유동의 이송에 의해 명시적으로 결정된다. 두 가지 형태의 이상화된 간극은 유체의 경로를 제공한다. 또한 오염물질 이동, 유속장, 오염물질의 평균 농도는 정상상태의 유동에서 계산된다. 굴곡비와 같은 간극 형상은 오염물질 거동의 영향을 준다. 이는 흙이나 암반의 불연속면에서 동일한 간극률를 가져도 간극의 배열과 형상의 중요함을 강조한다.

SOFC 음극의 기공구조가 음극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Pore Structure on the Anodic Property of SOFC)

  • 허장원;이동석;이종호;김재동;김주선;이해원;문주호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86-91
    • /
    • 2002
  •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Solid Oxide Fuel Cell; SOFC)는 무공해 청정에너지원으로서 기존의 발전방식을 대체할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구성요소는 크게 음극(anode), 양극(cathode), 전해질(electolyte)로 나뉘어 지는데 그 중 음극은 전극으로서의 역할은 물론 음극지지형인 경우 지지체 역할가지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아주 다양한 특성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연료전지 성능의 최대 감쇄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분극저항을 줄이기 위해서는 높은 전기전도도와 높은 가스투과도가 요구되고있다. 본 연구에서는 음극 제조과정 중 첨가하는 기공 전구체의 종류에 따라 기판의 기공구조가 어떻게 바뀌는지 또 그로 인해 기판의 미세구조 및 전기전도도가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 관찰하였다. 결과 음극기판의 미세구조 및 전기전도도는 기공전구체의 종류에 따라 크게 달라졌으며 특히 이방성을 가지는 기공전구체의 사용은 전도성상의 단락 및 비효율적인 기공의 양산을 가져와 결과적으로 연료전지 성능을 악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