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pulus davidiana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6초

사시나무 (Populus davidiana Dode)의 액아(腋芽)를 이용한 기내대량증식(器內大量增殖) (In Vitro Plant Multiplication from Axillary Buds of Populus davidiana Dode)

  • 정은주;이재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2호
    • /
    • pp.128-134
    • /
    • 1997
  • Populus davidiana는 종자의 활력이 짧고(약 3주), 삼목시 발근율이 저조하여 전통적인 유성 무성번식법의 어려움이 있어서 효과적인 기내증식법을 연구하였다. 10가지의 기본 배지를 이용하여, 1-2개의 액아를 포함한 잎이 붙어 있는 줄기절편체를 0.2mg/l의 BAP가 첨가된 배지에서 배양한 결과 MS 배지와 LP배지에서 가장 많은 신초를 생산하였다. 두 배지에서 5주간 배양한 결과 절편체당 9개 이상씩 신초를 생산하였다. 신초생산과 신초의 생장에 있어 클론간의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몇 클론은 생장조절물질을 첨가하지 않아도 신초를 생산하였다. 기내배양된 신초 중 60% 이상이 0.2mg/l의 IBA가 첨가된 1/2 GD배지에서 발근이 가능하였다.

  • PDF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Flavonoids from Populus davidiana

  • Zhang, XinFeng;Hung, Tran Manh;Phuong, Phuong Thien;Ngoc, Tran Minh;Min, Byung-Sun;Song, Kyung-Sik;Seong, Yeon-Hee;Bae, Ki-Hwa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9권12호
    • /
    • pp.1102-1108
    • /
    • 2006
  • An in vitro bioassay-guide revealed that the methanol (MeOH) extract of the stem bark of Populus davidiana showed considerable inhibitory activity against cyclooxygenase (COX-1, COX-2). Continuous phytochemical study of the MeOH extract of this plant led to the isolation of ten flavonoids; sakuranetin (1), rhamnocitrin (2), 7-O-methylaromadendrin (3), naringenin (4), eriodictyol (5), aromadendrin (6), kaempferol (7), neosakuranin (8), sakuranin (9) and sakurenetin-5,4'-di-${\beta}$-D-glucopyranoside (10). Their structures were identified on the basis of their physicochemical and spectroscopic analyses. The isolated compounds, 1-10, were tested for their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COX-1 and COX-2. Compound 7 was found to have potent inhibitory effect on COX-1 and a moderate effect on COX-2, meanwhile, compounds 1-6 showed moderate inhibition against COX-1 only. Moreover, compounds 5-8 exhibited suppressive effects on xanthine oxidase (XO). These results may explain, in part, the traditional uses of P. davidiana in ethnomedicine.

중부지방(中部地方) 주요활엽수(主要闊葉樹)의 직경성장(直徑成長)에 관한 조사연구(調査硏究) (A Study on the Diameter Increment of Major Hardwood in Middle Area of Korea)

  • 정성호;최문길;이근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24-29
    • /
    • 1983
  • 본(本) 연구(硏究)는 우리나라 중부지방(中部地方)에셔 자생(自生)하고 있는 활엽수(濶葉樹) 천연임분(天然林分)을 대상(對象)으로 몇 개의 주요(主要)한 수종(樹種)을 선택(選澤)하여 그들에 대(對)한 직경(直徑) 성장량(成長量)을 추정(推定) 비교(比較)하였는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흉고직경급(胸高直徑級)에 따른 연년직경(連年直徑) 생장량(生長量)은 가래나무, 층층나무, 자작나무, 피나무, 들메나무, 사시나무, 느릅나무 순(順)으로 나타났다. 2) 수령급(樹令級)에 따른 흉고직경(胸高直徑) 총성장량(總成長量)은 가래나무, 층층나무, 자작나무, 피나무, 들메나무, 사시나무, 느릅나무 순(順)으로 나타났다. 3) 타(他) 수종(樹種)에 비(比)하여 가래나무는 성장(成長)이 월등(越等)히 우수(優秀)하였으며, 특(特)히 느릅나무와 사시나무는 성장(成長)의 둔화현상(鈍化現象)이 빨리 나타났다.

  • PDF

기내(器內)에서 배양(培養)된 5수종(樹種)의 Populus류(類)에 대(對)한 Aluminium 내성비교(耐性比較) (Variation in Aluminium Tolerance Among 5 Species of In Vitro Cultured Populus)

  • 정경호;전영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9권1호
    • /
    • pp.26-32
    • /
    • 1990
  • 기내(器內)에서 배양(培養)된 5수종(樹種)의 Populus 류(類)(P. davidiana, P. maximowiczii, P. nigra, P. alba ${\times}$ P. glandulosa, P. nigra ${\times}$ P. maximowiczii)의 줄기를 Aluminium-EDTA가 0, 0.1, 0.2, 0.5, 1.0mM씩 첨가(添加)된 배지(培地)에 배양(培養)시켜 뿌리, 줄기, 잎의 생육(生育)상태를 조사(調査)하여 aluminium 내성(耐性)을 비교 분석하였다. 수종간(樹種間) Aluminium내성(耐性)의 차이(差異)는 비교적(比較的) 심(甚)하게 나타났고, 조사(調査)한 5수종중(樹種中) 사시나무가 가장강한 내성(耐性)을 지닌것으로 나타났다. Al-EDTA가 낮은 농도(濃度)로 첨가(添加)된 배지(培地)에서는 줄기와 뿌리생장에 촉진효과를 나타내는 종도 있었다. 1.0mM의 고농도(高濃度)에서는 사시나무 이외의 수종(樹種)에서는 발근(發根)이 억제되었다. 양버들, 황철, 현사시와 같은 내성(耐性)이 약(弱)한 수종(樹種)에서는 0.1mM의 낮은 농도(濃度)에서도 잎과 줄기에 형태적(形態的)인 변이현상이 나타났다. 양황철은 그 양친(兩親)인 양버들이나 황철보다 줄기생장(生長)에서 내성(耐性)이 증가했다.

  • PDF

Populus tomentiglandulosa와 P. glandulosa의 분류학적(分類學的) 연구(硏究) (Studies on the Taxonomical Characters in Populus tomentiglandulosa and P. glandulosa)

  • 김삼식;김정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1-21
    • /
    • 1981
  • 자연잡종(自然雑種)으로 알려진 Populus glandulosa와, P. tomentiglandulosa에 대(対)하여 그의 잡종성(雑種性)과 분류학적(分類學的) 위치(位置)를 구명(究明)하기 위(為)하여, 형태(形態), 생리(生理), 및 핵학적(核學的)인 조사(調査)를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접(接), 삽목(揷木)의 활착력(活着力)은 잡종간(雑種間)에 차이(差異)있고, 삽목발근력(揷木発根力)은 불완전(不完全) 우성(優性)이다. 2. 개엽성(開葉性)은 부완전(不完全) 우성(優性)이고 착엽성(着葉性)은 P. alba ${\times}$ glandulosa와 P. tomentiglandulosa가 강(強)하다. 3. $KClO_3$에 대(対)한 항독성(抗毒性)은 잡종간(雑種間)에 차(差)가 있다. 4. 엽(葉)의 많은 외부(外部) 형질(形質)들은 불완전(不完全) 우성(優性)이고, P. tomentiglanaulosa는 P. alba ${\times}$ glanaulosa와, 그리고, P. glandulosa는 P. davidiana와 P. alba와의 정(正), 역(逆) 또는 back cross hybrid와 유사(類似)하다. 5. 웅화수(雄花数)는 불완전(不完全) 우성(優性) 또는 잡종강세(雑種強勢) 현상(現象)을 하고, P. tomentiglandulosa는 P. alba ${\times}$ glandulosa와 그리고, P. glandulosa는 P. alba ${\times}$ davidiana 또는 P. davidiana ${\times}$ alba와 수(数)가 근사(近似)하다. 6. male catkin의 포(苞)의 형태(形態)와 대색(帶色)은 불완전(不完全) 우성(優性)이고, P. glandulosa는 P. alba ${\times}$ davidiana에, 그리고 P. tomentiglandulosa는 P. alba ${\times}$ glandulosa와 유사(類似)하다. 7. 엽병(葉炳)의 유관속(維管束)의 수(数)와 배열형(配列型)은 잡종간(雑種間)에 차이(差異)가 있고 잡종(雑種)들은 복잡(複雜)한 형(型)을 하고 있다. 8. 유경(幼莖)의 해부학적(解剖學的) 성질(性質)은 잡종간(雑種間)에 차(差)가 없으나, 목섬유(木纖維)의 크기는 차(差)가 있다. 9. metaphase I과 II에 있어, 인공(人工) 잡종(雑種)과 P. glandulosa 또는 P. tomentiglandulosa는 염색체(染色體) 행동(行動)이 불규칙(不規則)하였다. 10. metaphase I에서 잡종(雑種)과 P. glandulosa 그리고 P. tomentiglandulosa는 19II의 핵판(核板)이 적고, 일가(一価) 염색체(染色体)가 다수(多数) 출현(出現)한다. 11. anaphase I과 II에 있어, laggard chromosome과 chromosome bridge가 있는 이상핵판(異常核板)이 잡종(雑種)과 P. glandulosa 그리고 P. tomentiglandulosa에서 다수(多数)히 출현(出現)하였다. 12. pollen tetrad와 임성화분(稔性花紛)의 출현율(出現率)이 잡종(雑種)과 P. glanaulosa, 그리고, P. tomentiglandulosa에서 낮았다.

  • PDF

RAPD 표식자(標識者) 분석(分析)에 의한 사시나무속(屬) Leuce절(節) 포플러의 유연관계(類緣關係) (Genetic Relationships among the Poplars of Section Leuce (Genus Populus) revealed by RAPD Marker Analysis)

  • 홍강낙;현정오;홍용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2호
    • /
    • pp.153-163
    • /
    • 1998
  • 사시나무속(屬)(Genus Populus) Leuce절 수종중 우리나라에 식재되어 있는 사시나무, 수원사시나무, 은백양, 은사시나무와 인공교배종 수개 클론에 대한 분자유선학적 유연관계를 RAPD PCR 방법을 이용하여 구명하였다. 88개의 arbitrary primer중 재현성과 다형성을 기준으로 선발하고, 유연관계분석을 위하여 22개의 primer에서 181개의 RAPD marker를 이용하였다. 유연관계를 위한 조사는 5개 수종, 14개 클론 몇 천연집단의 개체목에 대하여 181개의 다형성 RAPD marker를 가지고, UPGMA와 Neighbor-joining 방법으로 유연관계도를 구했다. 방법을 달리하여 그런 유연관계도에서 각각의 분지에서의 차이는 현 사시 클론간에 미미한 위치변화만 있을 뿐 전체적인 계통수에는 변화가 없었다. 유연관계도에서 수원사시나무는 은백양과 같은 분지군을 형성하였고, 주성분분석에서는 사시나무와 같은 계열을 이루고 있어서 수원사시나무는 이 들 두 종의 1대 교잡종으로 추정되며, 은사시나무는 자연교잡종과 인공교배종이 동일한 유전적 배경을 갖는 것으로 나다났다.

  • PDF

포플러로부터 고밀화연료의 제조 (Densified Fuels from Poplars)

  • 한규성;최돈하
    • 임산에너지
    • /
    • 제21권3호
    • /
    • pp.59-65
    • /
    • 2002
  • 최근 들어, 북미와 유럽에서는 바이오매스로부터 제조한 고밀화연료가 재생가능하며 청정한 바이오에너지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고밀화연료를 얻기 위한 현사시(Populus tomentiglandulosa)와 수원포플러(Populus davidiana) 톱밥의 압밀화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들 수종의 연료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열량 및 원소분석을 하였다. 고밀화를 위해 전분접착제를 첨가한 열압공정을 채택하였으며, 압밀화는 120-l60℃에서 50kgf/㎠ 압력으로 소정시간(정확한 시간?) 시행하였다. 고밀화연료의 특성은 비중, 압축강도 및 미세분 발생량으로 평가하였다. 유접착제 공정에서는 160℃에서 7.5분 이상의 열압에 의해 미세분 발생량이 5% 미만인 고밀화연료를 얻을 수 있었다. 한편, 열압조건과 톱밥의 함수율을 조절함으로써, 무접착제 조건에서도 미세분 발생량이 5% 미만의 고밀화연료를 얻을 수 있음이 밝혀졌다.

  • PDF

AFLP 마커를 이용한 소규모 사시나무림의 공간적 유전구조 구명 (Fine-scale Spatial Genetic Structure of a Small Natural Stand of Populus davidiana in South Korea using AFLP markers)

  • 이민우;홍경낙;박유진;이제완;임효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5권3호
    • /
    • pp.309-314
    • /
    • 2016
  • 변화하는 자연환경에서 식물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유전다양성을 유지할 뿐 아니라 지역적응성을 갖추어야 세대를 성공적으로 이어나갈 수 있다. 만약 유전다양성이 급격히 감소하게 된다면 집단이 쇠퇴하고 소멸 위험성이 커지게 된다. 본 연구는 주변 집단으로 부터 화분이나 종자의 유입이 어려운 소규모 사시나무 집단의 유전구조를 구명하였다. 월악산 미륵리의 사시나무림은 전체 분포면적 $14,000m^2$에 성목은 350개체로 추정되며, 임분내에 설정한 $70m{\times}70m$ 조사구에 출현하는 123개체 중 61개체를 대상으로 AFLP 마커를 이용하여 유전변이를 분석하였다. 조사구내 사시나무의 수령은 평균 16년 최고 32년생이었으며, 개체의 공간적 분포는 약한 밀집 형태를 이루고 있었다. AFLP primer 6조합에서 196개 증폭산물을 확인하였으며, 이 중 151개는 다형성을 보였다. primer 조합당 평균 유전자좌수는 32.7(표준편차=7.2), 이형접합도 기대치($H_e$)는 0.154, Shannon의 다양성 지수(S.I.)는 0.254로 나타나서, 월악산 사시나무는 우리나라 사시나무 집단 평균에 비하여 매우 낮은 유전다양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적 유전구조는 24 m 이내에서 분포하는 개체들 간에 유전적 유사성이 나타났으며, 소규모 면적과 고립된 분포지 특성으로 인하여 비교적 작은 유전군락이 형성된 것으로 생각된다.

Populus glandulosa U.에 유사(類似)한 교잡종(交雜種)의 엽특성(葉特性) (Identification of Leaf Characteristics from Various Crosses in Relation with Populus glandulosa U.)

  • 손두식;임경빈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10
    • /
    • 1979
  • P. alba${\times}$glandulosa 교잡종(交雜種)의 지속적(持續的)인 개량(改良)을 위하여 교배양친수(交配兩親樹)의 gene population의 규모가 커야 할 것이나 현재(現在) P. glandulosa는 몇 그루만이 존재(存在)하고 또한 이 수종(樹種)은 P. alda와 P. davidiana의 자연잡종(自然雜種)에서 분리(分離)된 P. davidiana에 가까운 개체(個体)로 인식(認識)하고 있는바 P. glandulosa의 gene population을 넓힐려면 P. alba와 P. davidiana의 여러 교잡종(交雜種)을 만들어 우선 잎의 특성(特性)을 비교(比較)하여 P. glandulosa에 가까운 개체(個体)를 선발(選拔)코저 본시험(本試驗)을 실시(實施)한바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P. glandulosa는 엽리면(葉裏面)의 털이 약간 있고 잎 가장자리는 serrate. 엽기부(葉基部)에 gland가 있다. 교잡(交雜)에서 이 특성(特性)에 유사한 개체(個体)는 P. alba davidiana${\times}$P. davidiana에서 44%, P. davidiana alba${\times}$P. davidiana에서 90%가 나타났고 2. 잎의 크기의 비(比) 즉 엽장(葉長), 엽폭(葉幅), 엽기부(葉基部)에서 장폭(帳幅)까지 길이, 엽병장(葉柄長)을 비교(比較)한 결과(結果) P. glandulosa와 유사하여 선발(選拔)한 개체(個体)들은 잎크기의 비(比)가 P. glandulosa와 비슷 하였으며 3. 엽리면(葉裏面)의 은모(銀毛)가 차대(次代)에 유전(遺傳)하는 정도(程度)는 교배양친수종(交配兩親樹種)의 중간(中間) 정도(程度)의 형질(形質)을 나타내며 P. alba를 교배모수(交配母樹) 혹은 화분수(花粉樹)로 사용했을 때 그 차대(次代)에 털의 밀도(密度)는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즉 화분수(花粉樹)로 사용했을 때 그 차대(次代)에 털의 밀도(密度)가 높았다. 4. P. glandulosa의 엽기부(葉基部)에 gland는 P. davidiana의 gland가 있는 개체(個体)에서 유전(遺傳)된 것으로 생각된다. 즉 P. alba에는 gland가 없고 P. davidiana는 gland가 있는 개체(個体)도 있고 없는 개체(個体)도 있으므로 gland가 있는 P. davidiana로부터 유전(遺傳)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Populus alba × P. glandulosa 및 교배양친수(交配兩親樹)의 기공빈도(氣孔頻度), 기공(氣孔)크기 및 수분증산(水分蒸散)의 변이(變異)와 유전(遺傳) (Variation and Heredity of Stomatal Frequency, Stomatal Size and Transpiration in Populus alba × P. glandulosa and Its Parents)

  • 손두식;김광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5권1호
    • /
    • pp.51-54
    • /
    • 1986
  • P. alba ${\times}$ P. glandulosa는 산록부(山麓部)에서는 잘자라나 토양수분(土壤水分)이 부족한 산복(山腹) 이상(以上)에서는 잘자라지 않는 것은 수분요구도(水分要求度)가 높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수분요구도(水分要求度)와 기공빈도(氣孔頻度), 기공(氣孔)크기 및 수분증산량(水分蒸散量)과 일치(一致)하는지를 조사(調査)하고 이러한 형질(形質)이 차대(次代)에 어느 정도 유전(遺傳)하는지를 알고저 본 시험을 실시하였다. 엽리면(葉裏面)의 기공빈도(氣孔頻度)(number/$mm^2$), 기공(氣孔)길이 및 폭과 수분증산량(水分蒸散量)($g/dm^2$)은 P. alba 는 높고 P. davidiana가 가장 낮았으며 P. alba ${\times}$ P. glandulosa 는 교배양친수(交配兩親樹)의 중간수치(中間數値)를 나타내었다. P. alba ${\times}$ P. glandulosa의 기공빈도(氣孔頻度)는 교배양친평균(交配兩親平均)인 이론치(理論値)와 일치(一致)하므로 교배양친(交配兩親)의 중간(中間)을 나타내고, 수분증산량(水分蒸散量)에서도 교배양친평균(交配兩親平均)과 P. alba ${\times}$ P. glandulosa 간에 회귀계수(回歸係數) $b_{yx}=0.97$로서 높은 회귀계수(回歸係數)를 나타내어 P. alba ${\times}$ P. glandulosa 의 수분증산량(水分蒸散量)은 교배양친수(交配兩親樹)의 중간(中間)을 나타내며 기공(氣孔)크기에서도 교배양친(交配兩親)의 중간(中間)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특성(特性)은 불완전우성(不完全優性)으로 간주된다. P. alba ${\times}$ P. glandulosa와 교배양친수(交配兩親樹)에서 기공빈도(氣孔頻度), 기공(氣孔)크기 및 수분증산량(水分蒸散量)은 토양수분(土壤水分)의 요구도(要求度)와 일치(一致)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