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pulus alba ${\times}$glandulosa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29초

현사시나무의 줄기 식입해충(害蟲) 포푸라하늘소의 분류동정(分類同定) (Identification of a Stem-borer, Compsidia populnea L.(Coleoptera; Cerambicidae) on Populus $alba{\times}glandulosa$)

  • 박규택;김광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91-194
    • /
    • 1986
  • 현사시나무(Populus $alba{\times}glandulosa$)의 줄기 식입해충중(害蟲中) 우점종은 포푸라하늘소(Compsidia populnea L.)였으며 황철나무하늘소(Compsidia balsamifera M.)는 확인되지 않았다. 본(本) 조사(調査) 통하여 상기 두 종(種)의 형태(形態), 분포(分布), 생활사등(生活史等)이 비교 검토됨으로서 포푸라하늘소의 정확한 분류동정(分類同定)이 가능(可能)하여졌다.

  • PDF

돈분침출수 처리에 의한 이태리포플러와 현사시나무의 생리적 특성 및 항산화효소 활성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y of Populus euramericana and Populus alba x Populus glandulosa under Livestock Waste Leachate Treatment)

  • 제선미;우수영;구영본;우관수;여진기;양수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3호
    • /
    • pp.369-375
    • /
    • 2007
  • 이태리 포플러와 현사시를 대상으로 야외에서 돈분침출수를 관수하고 광합성특성, 엽록소함량, 증산량, 세포내 이산화탄소농도, ascorbate peroxidase, glutathione reductase 효소의 활성을 조사, 분석하였다. 이태리 포플러의 경우 엽록소 함량, 광합성률, 증산률, 기공전도도, 엽육세포내 $CO_2$ 농도가 돈분침출수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현사시의 엽록소 함량은 돈분처리구에서 대조구와 비슷하였지만 광합성률과 증산률, 기공전도도가 돈분침출수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로 미루어 이태리포플러를 돈분침출수가 유출되는 지역의 phytoremediation으로 활용하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Visu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 Changes of Five Tree Species Exposed to SO2

  • Kwon, Ki-Won;Choi, Jeong-Ho;Woo, Su-Young;Lee, Jae-Cheon;Lee, Jeong Ho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2호
    • /
    • pp.216-219
    • /
    • 2006
  • After long exposure to low-density $SO_2$ the five tree species showed different changes in their visible damage: Ailanthus altissima showed no visible damage; Acanthopanax sessiliflorus, Populus alba ${\times}$ Populus glandulosa, and Platanus orientalis showed typical damage of yellow spots on their leaves; and Liriodendron tulipifera showed serious damage on the end of leaf tip. The photosynthesis rate of Liriodendron tulipifera and Acanthopanax sessiliflorus was usually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Ailanthus altissima, Populus alba ${\times}$ Populus glandulosa, and Platanus orientalis showed no difference from the control group, while Acanthopanax sessiliflorus and Liriodendron tulipifera showed large changes. In regard to the light compensation points, Ailanthus altissima showed similar values, Populus alba ${\times}$ Populus glandulosa and Platanus orientalis exposed to $SO_2$, showed 3 to $5{\mu}mol{\cdot}m^{-2}{\cdot}s^{-1}$ higher values than the control group, and Acanthopanax sessiliflorus and Liriodendron tulipifera exposed to $SO_2$ showed approximately twice higher light compensation points.

산복피복을 (山腹被覆) 위한 현사시 근맹아력의 (根萌芽力) 시험(試驗) 및 이의 이용(利用) (Study on Root Sucker of the Hybrid F1 Populus alba×P. glandulosa for the Use as a Fuel Wood and Erosion Control Species)

  • 노의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26-31
    • /
    • 1982
  • 현사시는 강력(强力)한 근맹아(根萌芽) 발생능력(發生能力)을 가지고 있는 수종(樹種)이므로 소밀도(疎密度)와 근맹아(根萌芽)와의 관계(關係)를 구명(究明)하고 그 외(外) 관련인자(關蓮因子)에 대하여 조사(調査)하였다. 또한 연료림(燃料林)과 사방지용(砂防地用) 지피조성(地被造成) 수종(樹種)으로서의 이용(利用) 가능성(可能性)을 검토(檢討)하였다.

  • PDF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PMET3a from Populus alba${\times}$Populus glandulosa

  • Lee Jun-Won;In Jun-Gyo;Lee Bum-Soo;Choi Yong-Eui;Kim Jin-Ju;Yang Deok-Chun
    • Plant Resources
    • /
    • 제8권1호
    • /
    • pp.1-8
    • /
    • 2005
  • A type 3 metallothionein cDNA (PMT3a) from ozone-treated Populus alba${\times}$Populus glandulosa cDNA library has been isolated and characterized. A PMT3a cDNA is 459 nucleotides long and has an open reading frame of 201 bp with a deduced amino acid sequence of 66 residues (pI 4.94).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of PMT3a matched to the previously reported metallothionein genes.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of PMT3a showed the $86\%$ identity with P. balsamifera ${\times}$P. deltoides. Expression of PMT3a by the RT-PCR was increased 60 min than 30 min after drought treatment. The ozone treated poplar increased at 30 min in the early time and then decreased at 60 min.

  • PDF

Molecular Characterization and Expression of CuZn-superoxide Dismutase (PSOD1) from Populus alba${\times}$Populus glandulosa

  • Lee Jun-Won;In Jun-Gyo;Lee Bum-Soo;Choi Yong-Eui;Kim Jin-Ju;Yang Deok-Chun
    • Plant Resources
    • /
    • 제8권1호
    • /
    • pp.52-59
    • /
    • 2005
  • A cDNA, PSOD1, encoding cytosolic copper/zinc superoxide dismutase (CuZn-SOD) was cloned and characterized from a full length cDNA library prepared from Populus alba${\times}$Populus glandulosa cultured in vitro. A PSOD1, is 725 nucleotides long and has an open reading frame of 459 bp with 152 amino acid residues (pI 5.43).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of PSOD1 perfect matched to the previously reported CuZn-SOD (CAC33845.1). Consensus amino acid residues (His-45, -47, -62, -70, -79, -119) were involved in Cu-, Cu/Zn-, and Zn- binding ligands.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of PSOD1 exhibited the high level of similarity from 100 to $85\%$ among previously registered SOD genes. The expression of PSOD1 in poplar increased at the 1 mM $H_{2}O_2$ and drought stress during 30 min and 60 min, but the ozone treated poplar increased at 30 min in the early time and then decreased at 60 min.

  • PDF

토양(土壤)의 물리적(物理的) 조건(條件)이 은수원사시나무(Populus alba × P. glandulosa)의 생장(生長) 및 근계발달(根系發達)에 미치는 영향(影響) - 용적중(容積重)을 중심(中心)으로 - (Influence of Soil Bulk Density on Growth and Root Development of Populus alba × P. glandulosa)

  • 민일식;이수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6권1호
    • /
    • pp.45-53
    • /
    • 1984
  • 본(本) 연구(硏究)는 경사부위별(傾斜部位別) 토양별(土梁別)로 토양(土壤)의 물리적(物理的) 성질(性質) 중(中) 용적량(容積量)과 공극률(孔隙率)이 은수원사시나무의 생장(生長)과 근계발달(根系發達)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분석(分析)한 것으로서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용적중(容積重)과 공극률(空隙率)은 경사부위(傾斜部位)와 밀접(密接)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토심(土深)에 따라서 유의적(有意的)인 차이(差異)를 갖는다. 2) 용적중(容積重)은 하부(下部)에서 평균(平均) $1.17g/cm^3$(1.05~1.40), 상부(上部)에서 평균(平均) $1.43g/cm^3$(1.36~1.60)이었으며, 공극률(空隙率)은 하부(下部)에서 평균(平均) 52.65%(55.05~45.50), 상부(上部)에서 평균(平均) 41.20%(43.81~37.21)이었다. 3) 용적중(容積重)은 수고(樹高), 흉고직경(胸高直徑), Total biomass 및 임목(林木)의 각(各) 부위별(部位別) Biomass와 회귀분석결과(回歸分析結果) 부(負)의 상관(相關)을 나타내었다. 4)은수원사시나무의 근계(根系)는 천근성(淺根性)으로서 주로 Al속(屬)에 분포(分布)하였으며, 한계용적중(限界容積重)은 $1.40g/cm^3$이었다.

  • PDF

밀식재배(密植栽培)한 제일대(第一代) 잡종(雜種)포플러, Populus alba × Populus glandulosa F1 우량(優良)클론의 형태학적(形態學的) 형질(形質)에 관한 연구(硏究) (Morphological Characters of Superior Populus alba × Populus glandulosa F1 Clones under Intensive Culture)

  • 이경학;이돈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4권1호
    • /
    • pp.1-10
    • /
    • 1984
  • 본(本) 연구(硏究)는 biomass 생산(生産)을 위(爲)한 밀식재배(密植栽培)에 적합(適合)한 수종(樹種)으로 우리 나라에서 개발(開發)된 제일대(第一代) 잡종(雜種) 포플러, Populus alba ${\times}$ Populus glandulosa $F_1$ 클론들 중(中) 우수(優秀)한 생장(生長)을 보이는 2개(個)의 클론과 그렇지 못한 2개(個)의 클론, 1, 2년생(年生)을 대상(對象)으로 어떠한 형태적(形態的) 특성(特性)이 빠른 생장(生長)에 관련(關聯)되는가를 알아보기 위(爲)하여 실시(實施)되었다. 본(本) 실험(實驗)은 수원에 있는 서울대학교(大學校) 묘포장(苗圃場)에 ha당(富) 20,000 본(本)을 식재(植栽)한 후 시험구(試驗區)를 설치(設置)하여 생장(生長), 엽특성(葉特性), 가지 특성(持性) 등(等)을 시기별(時期別)로 조사(調査), 비교(比較)하였다. 개체당(個體當) 건물질(乾物質) 생산량(生産量)에 있어서 2년생(年生) 클론간에는 유의차(有意差)가 인정(認定)되었으나, 1년생(年生)은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2년생(年)生에 있어서 개체당(個體當) 엽면적(葉面積)과 건물질(乾物質) 생산량(生産量), 그리고 개체당(個體當) 총(總) 가지의 길이와 건물질(乾物質) 생산량간(生産量間)에 고도(高度)의 상관(相關)이 나타났으며, 특(特)히 주목(注目)할 만한 것은 이러한 상관(相關)이 생장기(生長期) 후반기(後半期)인 8월(月)과 9월(月)에 더욱 뚜렷하였다. 높은 물질(物質) 생산량(生産量)을 보이는 클론의 형태학적(形態學的) 특성(特性)은 다음과 같았다. 즉, 높은 shoot-root ratio를 보이며, 엽생장(葉生長)에 있어서는 광합성기관(光合成器官)의 크기를 대표(代表)할 수 있는 개체당(個體當) 엽면적(葉面積)이 많았고, 엽보유기간(葉保有期間)이 길어 생장(生長)을 더 오래할 수 있었다. 또한 수관(樹冠) 상부(上部)에 작은 엽(葉)이 많아서 광합성(光合成)에 필요(必要)한 빛을 효율적(效率的)으로 이용(利用)할 수 있었고 가지의 특성(特性)으로는 길이가 길고 가지수(數)는 많아서 조밀(粗密)한 수관형태(樹冠形態)를 보이는 것 들이었다.

  • PDF

제1대(第一代) 잡종(雜種)포플러, Populus alba × Populus glandulosa F1 클론의 과산화효소(過酸化酵素), 질산환원효소(窒酸還元酵素)의 활성변이(活性變異) 및 생장(生長)에 관(關)한 연구(硏究) (Variations in Peroxidase and Nitrate Reductase Activities and Growth Populus alba × Populus glandulosa F1 Clones)

  • 이돈구;김갑태;이경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0권1호
    • /
    • pp.63-71
    • /
    • 1985
  • 제1대(第一代) 잡종(雜種) 포플러 Populus alba ${\times}$ Populus glandulosa $F_1$의 우량(優良) clone을 선발(選拔)하기 위해, 서울대학교(大學校) 농과대학(農科大學) 묘포장(苗圃場)에서 밀식재배(密植栽培)(20,000본(本)/ha)한 2, 3년생(年生) 각각(各各) 13, 15 clones을 대상(對象)으로 생장(生長)과 이에 관련(關聯)된 과산화효소(過酸化酵素) 및 질산환원효소(窒酸還元酵素)의 활성(活性)을 조사(調査) 비교(比較)하였다. 개체당(個體當) 건중량(乾重量) 개체당(個體當) 엽면적(葉面積)에 있어서는 clone간(間) 유의차(有意差)가 인정(認定)되었으나, 엽단위생중량당(葉單位生重量當)의 과산화효소(過酸化酵素) 및 질산환원효소(窒酸還元酵素)의 활성치(活性値)는 유의차(有意差)가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개체당(個體當) 건중량(乾重量)과 개체당(個體當) 엽면적(葉面積)과의 상관관계(相關關係)는 r=0.875, 개체당(個體當) 건중량(乾重量)과 개체당(個體當) 엽(葉)의 과산화효소(過酸化酵素)의 활성치(活性値)와는 r=0.854, 개체당(個體當) 건중량(乾重量)과 개체당(個體當) 질산환원효소(窒酸還元酵素)의 활성치(活性値)와는 r=0.914로 고도(高度)의 상관(相關)을 보였다. 1년생(年生) clone의 엽부위별(葉部位別) 엽단위생중량당(葉單位生重量當)의 과산화효소(過酸化酵素)와 질산환원효소(窒酸還元酵素)의 활성치(活性値)는 엽순서(葉順序)가 위에서부터 아래로 내려옴에 따라 증가(增加)하여 18번째와 33번째에서 각각(各各) 최대치(最大値)를 보였으며, 그 후 아래로 내려올수록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2년생(年生) clones 65-29-19, 66-15-3, 65-22-11, 66-14-93, 66-26-55 등과 3년생(年生) clones 64-6-44, 66-14-99, 66-26-55, 65-22-11, 68-1-54 등이 개체당(個體當) 엽면적치(葉面積値), 엽단위면적당(葉單位面積當) 과산화효소(過酸化酵素) 및 질산환원효소(窒酸還元酵素)의 활성치(活性値)가 다른 clone들보다 높아서 양호(良好)한 생장능력(生長能力)을 가졌다고 말할 수 있다. 제1대(第一代) 잡종(雜種) 포플러, Populus alba ${\times}$ Populus glandulosa $F_1$의 유시생장(幼時生長)을 개체당(個體當) 엽면적(葉面積), 개체당(個體當) 엽(葉)의 과산화효소(過酸化酵素) 및 질산환원효소(窒酸還元酵素)의 활성치(活性値)로 추정가능성(推定可能性)을 보였으며, 이러한 사실(事實)로 보아, 엽면적(葉面積)과 엽(葉)의 과산화효소(過酸化酵素) 및 질산환원효소(窒酸還元酵素)의 측정치(測定値)는 본(本) 잡종(雜種) 포플러의 우량(優良) clone을 선발(選拔)하는 하나의 기준(基準)으로 이용(利用)될 가능성(可能性)을 보인다.

  • PDF

몇 생리적(生理的) 특성(特性)을 이용(利用)한 제일대(第一代) 잡종(雜種) 포플러, Populus alba×Populus glandulosa F1의 우량(優良) clone 선발(選拔)에 관(關)한 연구(硏究) (A Technique for Selecting Superior Populus alba×Populus glandulosa F1 Clones with Some Physiological Characters)

  • 김갑태;이돈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15-30
    • /
    • 1983
  • 제일대(第一代) 잡종(雜種) 포플러 Poulus alba${\times}$Populus glandulosa $F_1$의 우량(優良) clone을 선발(選拔)하기 위해, 서울대학교(大學校) 농과대학(農科大學) 묘포장(苗圃場)에서 밀식재배(密植栽培)(20.000본(本)/ha)한 1,2년생(年生) 각각(各各) 13,15 clones을 대상(對象)으로 생장(生長)과 생장(生長)에 관련(關聯)된 몇 생리적(生理的) 특성(特性)을 조사(調査), 비교(比較)하였다. 개체당(個體當) 건중량(乾重量), 엽면적(葉面積), 단위엽면적당(單位葉面積當) 엽록소(葉綠素) 함량(含量)에 있어서 2년생(年生) clone들 간(間)에는 고도(高度)의 유의차(有意差)가 인정(認定)되었으나, 1년생(年生) clone들에 있어서는 유의차(有意差)가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개체당(個體當) 건중량(乾重量)과 개체당(個體當) 엽면적(葉面積)과의 상관관계(相關關係)는 r=0.865, 개체당(個體當) 건중량(乾重量)과 개체당(個體當) 엽록소함량(葉綠素含量)과의 상관관계(相關關係)는 r=0.888로 고도(高度)의 상관(相關)이 인정(認定)되었으며, 개체당(個體當) 건중량(乾重量)과 개체당(個體當) 광합성능력(光合成能力)과의 상관관계(相關關係)에서는 r=0.745로 비교적(比較的) 높은 상관(相關)이 인정(認定)되었다. 1년생(年生) clone의 엽부위별(葉部位別) 엽단위면적당(葉單位面積當) 광합성능력(光合成能力)과 엽록소함량(葉綠素含量)은 엽순서(葉順序)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증가(增加)하여 28번째와 33번째 엽(葉)에서 각각(各各) 최대치(最大値)를 보였으며 그후 아래엽(葉)으로 내려올수록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Clone 68-1-54, 66-26-55, 65-22-11 등(等)은 개체당(個體當) 엽면적(葉面積), 단위면적당(單位面積當) 엽록소함량(葉綠素含量) 및 광합성능력(光合成能力)으로 보아 다른 clone들 보다 양호(良好)한 생장능력(生長能力)을 보였다. 제일대잡종(第一代雜種) 포플러, Populus alba${\times}$Populus glandulosa $F_1$ 유시(幼時) 생장량(生長量)은 개체당(個體當) 엽면적(葉面積)이나 개체당(個體當) 엽록소함량(葉綠素含量)으로 추정(推定)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사실(事實)로 보아, 엽면적(葉面積)과 엽록소함량(葉綠素含量)의 측정치(測定値)는 본(本) 잡종(雜種) 포플러의 우량(優良) clone을 선발(選拔)하는 하나의 기준(基準)으로 사용(使用)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