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pulation dynamics

검색결과 537건 처리시간 0.026초

거제도 연안에 서식하는 마루자주새우, Crangon hakodatei의 개체군 역학 (Population Dynamics of Crangon hakodatei from Coastal Area of Geoje Island, Korea)

  • 최정화;김정년;김성태;차형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80-385
    • /
    • 2002
  • 본 연구에 사용되어진 마루자주새우 (Crangon hakodatei)는 거제도 주변 해역에서 2000년 10월부터 2001년 10월까지 새우조망을 이용하여 매월 채집하였다. 이들 개체군의 구조, 성장, 사망 및 성 성숙에 관한 분석은 갑각장을 이용한 체장빈도 데이터를 이용 ELEFAN 프로그램에 의해 분석하였다. 성장계수의 추정은 변형된 von Bertalanffy 성장식을 이용하였다. 암컷이 수컷보다 성장이 빨라 성숙개체에 빨리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장변환 어획 곡선에 의해 구해진 전 사망계수는 $3.10yr^{-1}$로 나타났고, Pauly 식에 의해 산출된 자연사망계수는 $2.48yr^{-1}$로 나타났다. 또한 어획사망계수는 $0.62yr^{-1}$인 것으로 나타났다. 암컷의 성 성숙 개체의 크기는 갑각장 $11.00\~11.50$ mm 사이인 것으로 나타났다.

Past Trends and Future Estimation of Annual Breast Cancer Incidence in Osaka, Japan

  • Toyoda, Yasuhiro;Tabuchi, Takahiro;Nakayama, Tomio;Hojo, Shigeyuki;Yoshioka, Setsuko;Maeura, Yoshiich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6호
    • /
    • pp.2847-2852
    • /
    • 2016
  • Background: Although the breast cancer incidence rate in Japan is lower than in western countries, the age-specific rates have markedly increased in recent years, along with the problems of declining birth rate and an aging population. Materials and Methods: We examined past trends of age-specific breast cancer incidence using data from the Osaka Cancer Registry from 1976 to 2010, and estimated future trends until 2025 based on the changes observed and population dynamics using a log linear regression model. Results: The age-specific breast cancer incidence rate has increased consistently from the 1970s, and the rates have caught up with those of Japanese-Americans in the US. Assuming the increasing tendency of age-specific breast cancer incidence to be constant, the average annual incidence of breast cancer will increase 1.7-fold from 2006-2010 to 2021-2025. Furthermore, the number of patients aged 80 years should increase 3.4-fold. Conclusions: The medical demand for breast cancer care in Japan may increase explosively in the future, particularly among the elderly. We need to prepare for such a future increase in demand for care, although careful monitoring is needed to confirm these results.

Molecular evolutionary analysis reveals Arctic-like rabies viruses evolved and dispersed independently in North and South Asia

  • Yu, Xin;Zhu, Hongwei;Bo, Yongheng;Li, Youzhi;Zhang, Jianlong;Jiang, Linlin;Chen, Guozhong;Zhang, Xingxiao;Wen, Yongjun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2권1호
    • /
    • pp.5.1-5.16
    • /
    • 2021
  • Background: Arctic-like (AL) lineages of rabies viruses (RABVs) remains endemic in some Arctic and Asia countries. However, their evolutionary dynamics are largely unappreciated. Objectives: We attempted to estimate the evolutionary history, geographic origin and spread of the Arctic-related RABVs. Methods: Full length or partial sequences of the N and G genes were used to infer the evolutionary aspects of AL RABVs by Bayesian evolutionary analysis. Results: The most recent common ancestor (tMRCA) of the current Arctic and AL RABVs emerged in the 1830s and evolved independently after diversification. Population demographic analysis indicated that the viruses experienced gradual growth followed by a sudden decrease in its population size from the mid-1980s to approximately 2000. Genetic flow patterns among the regions reveal a high geographic correlation in AL RABVs transmission. Discrete phylogeography suggests that the geographic origin of the AL RABVs was in east Russia in approximately the 1830s. The ancestral AL RABV then diversified and immigrated to the countries in Northeast Asia, while the viruses in South Asia were dispersed to the neighboring regions from India. The N and G genes of RABVs in both clades sustained high levels of purifying selection, and the positive selection sites were mainly found on the C-terminus of the G gene. Conclusions: The current AL RABVs circulating in South and North Asia evolved and dispersed independently.

Simulation of Sustainable Co-evolving Predator-Prey System Controlled by Neural Network

  • Lee, Taewoo;Kim, Sookyun;Shim, Yoonsi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9호
    • /
    • pp.27-35
    • /
    • 2021
  • 인공생명체 연구는 자연 생명과 관련된 시스템이나 그 과정들, 진화 등을 평가해 다양한 응용과학 분야에 활용된다. 이러한 인공생명체의 원활한 활동을 위해 물리적 신체 설계와 행동 제어전략을 진화시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그러나 형태와 신경망을 공진화시키는 것은 어렵기에 최적화된 움직임을 가진 인공생명체는 한 가지 형태에 한 가지 움직임만을 가지며 주변 환경 상황은 고려하지 않는 것이 대부분이다. 본 논문에서는 포식자-피식자 모델을 이용하여 형태와 신경망을 공진화하는 인공생명체가 환경적응형 움직임을 갖게 한다. 그런 다음 포식자-피식자 계층 구조를 최상위 포식자-중간 포식자-최하위 피식자 3단계로 확장하여 초기 개체군 밀도에 따라 시뮬레이션의 안정성을 판별하며 형태 진화와 개체군 역학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Maternal, infant, and perinatal mortality statistics and trends in Korea between 2018 and 2020

  • Hyunkyung Choi;Ju-Hee Nho;Nari Yi;Sanghee Park;Bobae Kang;Hyunjung Jang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48-357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maternal, infant, and perinatal mortality using the national population data of South Korea between 2018 and 2020, and to analyze mortality rate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such as age, date of death, and cause of death in each group. This study updates the most recent study using 2009 to 2017 data. Methods: Analyses of maternal, infant, and perinatal mortality were done with data identified through the supplementary investigation system for cases of death from the Census of Population Dynamics data provided by Statistics Korea from 2018 to 2020. Results: Between 2018 and 2020, a total of 99 maternal deaths, 2,427 infant deaths, and 2,408 perinatal deaths were identified from 901,835 live births. The maternal mortality ratio was 11.3 deaths per 100,000 live births in 2018; it decreased to 9.9 in 2019 but increased again to 11.8 in 2020. The maternal mortality ratio increased steeply in women over the age of 40 years. An increasing trend in the maternal mortality ratio was found for complications related to the puerperium and hypertensive disorders. Both infant and perinatal mortality continued to decrease, from 2.8 deaths per 1,000 live births in 2018 to 2.5 in 2020 and from 2.8 in 2018 to 2.5 in 2020, respectively. Conclusion: Overall, the maternal, infant, and perinatal mortality statistics showed improvements. However,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women over 40 years of age and specific causes of maternal deaths, which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Korea's maternal and child health policies.

멸종위기야생식물인 갯봄맞이꽃(Glaux maritima var. obtusifolia Fernald)의 분포특성과 개체군의 지속에 관여하는 요인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Related to the Population Persistence, an Endangered Plant Glaux maritima var. obtusifolia Fernald)

  • 김영철;채현희;오현경;이규송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939-961
    • /
    • 2016
  • 멸종위기야생식물의 효과적인 보전을 위해서는 종이 소유하는 특성과 더불어 각 분포지에서 나타나는 환경요인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먼저 분포특성을 조사하였고 석호의 분포지를 중심으로 4년간에 걸친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또한 토양과 빛 조건에 따른 월동아, 열매 및 종자 생산특성을 비교하였다. 다음으로 재배실험에서 생산된 종자를 이용한 발아실험을 통해 종에 대한 정보를 확보하였다. 갯봄맞이꽃은 우리나라가 세계적인 분포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며 4개의 분포지는 서로 먼 거리에 격리되어 분포하였다. 2개의 분포지는 해안의 바위지대에 형성된 소규모 습지와 미사 퇴적지에 위치하였고 다른 2개 분포지는 하구가 바다와 연결되어 있는 석호에서 모래로 구성된 입지에 분포하였다. 갯봄맞이꽃은 염분과 주기적인 침수 그리고 낮은 토양층에 따라 경쟁관계에 있는 식물의 침입과 생육이 억제되는 공간에 분포하는 것으로 보였다. 갯봄맞이꽃은 월동아에 의한 보충과 종자에 의한 유묘 보충에 의해 개체군이 유지되었다. 월동아의 생산은 토양의 유기물과 더불어 모래의 입자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종자에 의한 유묘 보충은 호수의 가장자리에 있는 모래언덕 배후에 위치한 염습지에서만 관찰되었다. 갯봄맞이꽃 개체군 마다 서로 다른 위협요인이 존재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포항의 개체군은 해안도로의 개설로 월동아의 보충에 영향을 미치는 미사의 퇴적현상이 제거된 것으로 보였다. 울산의 개체군은 분포지로 유입되는 용출수의 단절로 경쟁종의 급격한 확대와 갯봄맞이꽃 분포 면적의 축소가 나타났다. 반면에 석호의 분포지는 비교적 안정적인 개체군을 유지하였다. 특별히 송지호의 개체군은 가장 안정적인 개체군으로 판단되었다. 석호에 분포하는 갯봄맞이꽃 개체군의 지속을 위해서는 석호가 소유하는 바닷물의 유입과 주기적인 침수를 포함하는 기작이 잘 유지되도록 광역적인 규모에서의 보전활동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한반도 특산식물 개느삼의 개체군 특성 (Population Characteristics of Echinosophora koreensis (Nakai) Nakai, a Endemic Plants in Korea)

  • 김소담;문애라;안종빈;정지영;박완근;손성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8-26
    • /
    • 2020
  • 개느삼은 한반도의 일부 지역에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특산식물이며, IUCN Red List의 'Endangered'로 지정된 희귀식물이다. 본 연구는 자생지의 환경변화로 쇠퇴 위협이 있는 개느삼의 분포 패턴과 개체군 구조를 조사 분석하여 향후 개느삼 개체군의 동태 및 지속성 파악을 위한 기초 자료 활용에 목적이 있다. 개느삼 개체군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양구, 춘천, 홍천 3개 지역에 각각 2~3개의 대방형구(20m×30m)를 능선을 기준으로 설정하고, 대방형구 안에 4~7개 Transect상의 소방형구(1m×1m)를 2m 간격으로 각각 10개씩 총 530개를 설정하여 출현 개체 수 및 결실 개체 수, 개체 높이 등을 측정하였다. 확보된 종발생정보를 IUCN Red List ver 3.1의 평가기준 B를 적용하여 기존 IUCN에 평가된 범주와 비교분석하였다. 조사된 세 개 지역의 평균 개체 밀도는 3.47본/㎡로 나타났으며, 지역별로 양구 3.95본/㎡, 춘천 3.37본/㎡, 홍천 2.87본/㎡이었다. 한편, 개체군의 결실률(결실 수/개체 수)은 0.0038으로 전체 출현 개체 1,837본 중에 7본만이 결실된 것으로 나타나 생식생장(sexual reproductive) 보다는 영양생장(vegetative reproduction) 비율이 매우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조사된 세 지역의 소방형구 개체 밀도의 분포 경향을 분석한 결과, 개느삼은 수관 열림이 높은 산지 능선을 중심으로 수관 열림이 낮은 숲 중심부로 갈수록 개체 밀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줌으로써, 광량이 개느삼 개체의 생육에 매우 중요한 요소일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방형구내 출현하는 전체 개체의 높이를 분석한 결과 2.3~68.5cm로 나타났으며, 평균 20.1cm로 조사되었다. 개체 높이를 바탕으로 개느삼 개체군의 stage-structure를 분석한 결과 15~20cm를 기점으로 개체 높이가 높아질수록 점차 출현빈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으며, seedling으로 추정되는 10cm 이하의 개체들의 비율도 매우 낮게 나타남으로써 향후 모니터링 자료를 바탕으로 개체군의 지속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확보한 종발생정보를 바탕으로 산출된 점유면적은 200㎢로 나타나 IUCN Red List 기준(criteria) B 적용 시 EN 범주를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시장의 동태성 분석을 위한 시스템 사고의 적용에 관한 연구 - 인과순환지도를 중심으로 - (Analyzing Dynamics of Korean Housing Market Using Causal Loop Structures)

  • 신혜성;손정락;김재준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6권3호
    • /
    • pp.144-155
    • /
    • 2005
  • 1950년대 이후 주택수요의 급격한 증가와 낮은 주택투자로 인한 만성적 주택부족 사태는 정부 주도의 주택공급정책에 의존해 오고 있다. 주택시장이 수요와 공급에 의한 자율적 가격결정구조를 가지지 못하고 정부 정책에 따라 인위적으로 움직임으로써 주택가격은 폭등과 폭락을 반복하고, 아파트 미분양 등에 의한 건설사의 수익성 악화나 중소건설업체의 부도와 같은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다. 이는 건설기업이 주택시장의 구조적 문제점을 파악하고 정부의 정책에 시기 적절히 대처하지 못함으로써 주택시장적응력을 상실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또한 정부도 주택시장의 가격에 의존한 단기적 정책 효과만을 의존함으로써 주택시장의 가격결정시스템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한 것이다. 즉, 주택시장의 동태적 환경시스템이라는 숱을 보지 못하고 정부 정책에 의한 단기적 영향요인이라는 나무만을 봄으로써 나타난 결과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택 시장을 주택수요 영향변수와 주택공급 영향변수 그리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거시 환경적 영향변수들을 분류하고, 이들 간의 상호작용을 시스템 사고와 전통적 소비자 선택이론에 입각하여 연결함으로써 이에 의해 구성되는 인과순환구조를 구축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주택시장이 가지는 동태성의 장기적인 형태를 피드백 루프의 존재를 통해 확인해 줌으로써 주택시장의 역동적 변화 원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CD5 Expression Dynamically Changes During the Differentiation of Human CD8+ T Cells Predicting Clinical Response to Immunotherapy

  • Young Ju Kim;Kyung Na Rho;Saei Jeong;Gil-Woo Lee;Hee-Ok Kim;Hyun-Ju Cho;Woo Kyun Bae;In-Jae Oh;Sung-Woo Lee;Jae-Ho Cho
    • IMMUNE NETWORK
    • /
    • 제23권4호
    • /
    • pp.35.1-35.16
    • /
    • 2023
  • Defining the molecular dynamics associated with T cell differentiation enhances our understanding of T cell biology and opens up new possibilities for clinical implication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dynamics of CD5 expression in CD8+ T cell differentiation and explored its potential clinical uses. Using PBMCs from 29 healthy donors, we observed a stepwise decrease in CD5 expression as CD8+ T cells progressed through the differentiation stages. Interestingly, we found that CD5 expression was initially upregulated in response to T cell receptor stimulation, but diminished as the cells underwent proliferation, potentially explaining the differentiation-associated CD5 downregulation. Based on the proliferation-dependent downregulation of CD5, we hypothesized that relative CD5 expression could serve as a marker to distinguish the heterogeneous CD8+ T cell population based on their proliferation history. In support of this, we demonstrated that effector memory CD8+ T cells with higher CD5 expression exhibited phenotypic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resembling less differentiated cells compared to those with lower CD5 expression. Furthermore, in the retrospective analysis of PBMCs from 30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s, we found that patients with higher CD5 expression in effector memory T cells displayed CD8+ T cells with a phenotype closer to the less differentiated cells, leading to favorable clinical outcomes in response to immune checkpoint inhibitor (ICI) therapy.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dynamics of CD5 expression as an indicator of CD8+ T cell differentiation status, and hav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predictive biomarker for ICI therapy.

농공지구 입지분석 : 전라북도의 경우 (Locational Analysis of Rural Industrial Estates and Chonbuk Economic Development Strategies)

  • 박임구;백영기;장재우
    • 지역연구
    • /
    • 제9권2호
    • /
    • pp.103-119
    • /
    • 1993
  • This research examines the spatial development of rural industrial estates (Nong-gong Jigu) in Chonbuk province and gives insight into the strategies for economic development in the entire region. Selected location factors which are likely to pull new investment into the estates are examined by using questionnaires. Few loction factors except nonlocal factors can be found in explaining why location choices are made. The irrelevance of the analysis based on location factors suggests that an alternative approach should analyze changes in the spatial development of the rural industrial estates. Such an alternative is to understand the dynamics of the spatial organization of production by focusing on characteistics of plant closing in the rural industrial estates. To take into account of the characteristics of plant closing we provide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between employment size, organizational structure, inter and intra industrial linkage, characteristics of production processes, and availability of local labor market and the likelihood of closing. A logit model is then made to identify the selected factors which might influence the probability of plant closing. The results from the logit analysis and their implications suggest that the policy should be more concern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firms, such as size and ownership, as well as of the local labor markets. Given that the Chonbuk region has experienced rapid population decline, together with its poor industrial base, it seems that the success of the policy in the declined rural areas in less certai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