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pularization of Science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21초

과학 대중화를 위한 메일매거진 콘텐트 전략 -'Kisti의 과학향기'를 중심으로- (E-Mail Magazine Content Strategy for Popularization of Science)

  • 신수미;이상환;김명일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5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38-441
    • /
    • 2005
  • 급변하는 과학기술의 시대에서 국가 경쟁력의 향상을 위한 요인으로 혁신적인 과학기술의 발달만큼이나 일반인의 과학에 대한 이해도인 과학의 대중화도 중요하게 인식되어야 한다. 과학의 대중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과학기술 콘텐트가 일반인이 활용하기 쉬운 매체를 통해 확산되어야 하며, 아울러 이러한 일반인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대중이 관심 있어 하는 분야의 것이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으로 조사된 과학기술정보 이용자의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과학기술 대중화를 위한 콘텐트 전략을 메일매거진 형태의 서비스 중심으로 수립한다.

  • PDF

전통음식에 대한 신세대의 인지도가 대중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Next Generation's Recognition of Traditional Food on the Popularization of Foodservice Industry)

  • 진양호;조정옥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11
    • /
    • 2007
  • This study aims at inquiring into new generations' recognition of traditional foods to present the alternatives and suggestions of simplification, popularization and processed food for popularizing the foods suited to them. The findings on survey showed that they had a preference for development of simple food-oriented menu suited to new generation's way of thinking, under the maintenance of flavor and nutrition so that they can simply eat traditional foods through the simplification of cooking and the development of processed food.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significant influences that the first result is the knowledge on the cooking method in simplification, the second result is the knowledge on the flavor and nutrition in popularization of traditional food, and the third is the knowledge on the cooking method, the flavor and nutrition in the processed food.

  • PDF

스님들을 대상으로 한 사찰음식의 대중화에 대한 인식도 조사 분석 (Awareness analysis for popularization of temple food in monks)

  • 황은경;김수정;김병기;이제영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6권6호
    • /
    • pp.1217-1224
    • /
    • 2015
  • 최근 성인병 예방 등에 효과가 있는 건강식으로 알려진 사찰음식 대중화에 대한 스님들의 인식도를 알아보고자 대구경북 및 부산경남 지역의 사찰에 거주하는 스님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이다. 대체로 스님들은 사찰음식을 건강식 (42.2%)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사찰음식이 대중화될 경우에 성인병 예방 등 인체 건강증진에 기여 (74.7%)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나 사찰음식의 대중화를 위한 조리방식은 옛날의 '전통방식 그대로 (45.9%)'가 가장 좋으며, 앞으로 '영양가 보완 (36.7%)' 부분에서 다소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사찰음식의 대중화를 위해 사용금지 재료인 육류와 오신채를 사용해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필요 없다'가 각각 68.8%와 57.8%로 가장 높게 나타나 났으며, 오신채의 사용에 대해서는 성별과 함께 기거하는 스님 수에 따라 의견의 차이가 있었다 (p <0.01).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스님들도 사찰음식의 대중화에는 크게 동감하지만 오신채와 육류사용 금지와 옛날 전통 조리 방식은 고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항 향토음식의 품질속성과 대중화 및 관광상품화 방안의 중요도와 만족도 분석연구 (Analysis of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Quality Attribute, Popularization and Tourism Commercialization Strategy of Pohang Local Food)

  • 백서영;이연정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27-241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quality attribute, popularization and tourism commercialization of Pohang local f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efficient marketing direction that serves the popularization and the activation of the Pohang local food. On the prospects and improvement of Pohang local foods and its use, 86.1% of subjects stated that the status quo was being maintained or only a portion of the foods was being transmitted. On the dissemination of local foods as world foods, subjects stated 'cooking methods' and 'simplified cooking methods' were required. In the IPA result of Pohang local food quality attributes, it is important to continuously keep 'health', 'nutrition', 'hygiene', 'preference (taste)', 'freshness', and 'credibility toward the ingredients', while 'service' needs to do intensive care and operation.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attributes regarding plans for popularizing local foods and commercializing tourism differed, with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n average being high, although attributes on plans for popularizing local foods and commercializing tourism was lower than the expectation of customers. Such results mean that residents have high expectations for Pohang local foods, on the other hand, the quality of local foods fails to satisfy the expectations of resident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quality of local foods overall.

혁신정책의 확산측면의 과학기술전시회의 전략적 발전방안 : ${\ulrcorner}$미래 성장동력 연구성과 전시회${\lrcorner}$ 의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Diffusion and Popularization of the innovation policy in korea : Focused on the Case of ${\ulcorner}$Future Tech Korea 2006${\lrcorner}$)

  • 황두희;이순영;정선양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83-494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framework for innovation policy that the approach to popularization, diffusion, and S&T culture through the science and technology(S&T) fair. The innovation policy has a role which suggests direction to do behavior and concerns to social members. According to, this point of the diffusion of the S&T culture emerges the reasonable and adoptable innovation policy. Korean S&T fair have many problems, for example, a short historical background, lack of the fund and special human resource, so on. In this aspect,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reviews and several issues for publicity of the innovation policy and S&T popularization and culture through the representative case-Future Tech Korea2006. Also, this study argues that "How to build and improve S&T fair", and "What the figure of S&T is that communicate and approach to people". Finally, the research for the S&T fair gives detailed and realized strategies for improving them.

  • PDF

대중과 과학기술: 이론적 흐름과 정책적 이슈 (Science in Public: Theoretical Trends and Policy Issues)

  • 송성수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37-158
    • /
    • 2003
  • This paper examines theoretical trends and policy issues concerning science and public. The dominant perspective about it was changed from “popularization of science” to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PUS)”. PUS pays attention to active roles of public in the understanding of science based on the contextual model. And recently various concepts are attempted to complement PUS such as “heterogeneous PUS”, “quantitative PUS”, “public understanding of research”, and “public participation in science”. PUS related activities in Korea can be analyzed using the concept of “science and technology culture system”.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and technology culture system in Korea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ts purpose is confined to support existing national innovation system; Its constituents have been unevenly and separately developed; Its material and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is not sufficiently prepared; Its organizing mechanism is strongly influenced by government's execution power.

  • PDF

울산향토음식의 대중화 및 관광상품화를 위한 중요도와 만족도 연구 -울산시민을 대상으로- (A Comparison of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for the Popularization and Merchandising of Local Foods in the Ulsan Area)

  • 최수근;하미옥;이연정;변광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3호통권93호
    • /
    • pp.346-354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ather useful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an efficient marketing direction by investigating the performance (satisfaction) and importance for the quality, popularization and merchandising of local foods in the Ulsan area. A questionnaire was answered by 500 citizens over 16 years old living in the Ulsan area. The study data were analyzed by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method(IPA),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ANOVA. The analysis of the quality attributes of local foods for tourist merchandising showed that importance was generally higher than performance. 'Sanitation', 'taste', 'freshness', 'healthfulness', 'nutrition' and 'service' were revealed to be significant ones in the quality attributes. The respondents thought that a lot of emphasis needs to be placed on 'generalizing and globalizing local cuisine', 'passing down traditional recipes','hosting various cultural events related with traditional foods', and 'increasing the number of restaurants specializing in local traditional foods'.

독서 대중화 운동 연구 - 1960년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Reading Popularization Movement : Focus in 1960's)

  • 윤금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71-294
    • /
    • 2007
  • 이 연구는 1960년대 독서 대중화 운동과 독서 경향을 조명하려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시기는 공교육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서 교양으로서의 '독서'에 대한 학문적이며 정책적인 관심이 고조되었던 시기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1960년대 독서 및 독서 교육의 제반 현상들을 주로 신문 자료를 토대로 기술함으로, 일종의 '독서 사회'의 형성 과정을 사회학적인 측면에서 살폈다. 구체적인 연구 내용을 제시하면 첫째, 1960년대의 독서 경향으로써 1) 일반 독서 경향 2) 학생 독서 실태를 둘째, 독서 대중화 운동으로서 1) 도서관의 독서 운동 2) 마을문고와 독서 운동을 등으로 대별하여 그 양상을 고찰했다.

  • PDF

1990년대 초 독서 대중화 운동과 독서교육 (A Study on Reading Popularization Movement and Reading Education in the Early Period of 1990's)

  • 윤금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377-407
    • /
    • 2008
  • 이 연구는 1990년대 초기 독서운동과 독서교육의 양상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특히 본고는 근현대 독서 대중화 운동을 전반적으로 검토하기 위한 시론으로서 일제 강점기, 건국기, 1950년대,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독서 대중화 운동 연구에 이은 후속 연구에 속한다. 이러한 일련의 연구 목적은 시기별 독서 현상의 변화상을 비교 분석하여, 오늘에 이르는 독서운동과 독서교육의 현주소를 찾아보려는 데 있다. 제반적인 독서 현상에 대한 분석은 그에 따른 향후 독서운동과 독서교육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개시키는 토대를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본론에서는 첫째, 1990년대 초기 독서 대중화 운동의 양상, 둘째, 1990년대 초기 독서경향 등으로 대별하여 고찰하였다. 특별히 독서경향에서는 사회 전반적인 독서운동의 양상과 공교육 내에서의 독서교육 현상을 비교하려는 목적에서, 일반독서와 학생독서를 구별하여 살폈다.

  • PDF

생명과학 지식의 가공과 콘텐츠화 과정에 대한 연구 (Considerations on the Making of Scientific Content and Processing of Biological Knowledge)

  • 안선영;김산하;장이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503-513
    • /
    • 2011
  • 일반인들의 자연에 대한 감상과 생명과학의 이해는 오늘날 과학의 대중화에서 큰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일반인의 관심이 높은 전시와 같은 비형식 과학교육은 생태학, 동물행동학, 환경학 등 거시생물학적 분야의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렇지만 전문가의 참여 부재, 자연 현상의 피상적인 기술 등의 이유로 대중에게 효과적으로 전달되고 있지 않다. 정보와 지식은 그 자체로는 수용자가 곧바로 이해하고 받아 들일 만한 형태 및 구조를 가지지 못하다. 생명과학 지식을 일반인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콘텐츠를 유형별로 분류하고 콘텐츠화 하는 가공 과정이 필요하다. 주제의 선정 단계에서부터 내용의 편집 및 표현 단계까지의 일련의 과정으로서 관련 분야의 전문가인 과학자의 적극적인 역할이 강조된다. 콘텐츠화 과정은 과학적, 논리적 사고방식과 더불어 예술적 표현 및 소통 능력을 필요로 한다. 과학의 대중화를 위한 이론적 및 실천적 틀로서 통역의 개념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