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urethane

검색결과 1,600건 처리시간 0.03초

다호리 출토 칠초철검(漆鞘鐵劍)의 보존 (Conservation of Iron Dagger & Scabbard Excavated in Daho-ri, Changwon)

  • 심명보;임지현;마대완;김미도리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2권
    • /
    • pp.19-24
    • /
    • 2011
  • 국립김해박물관에서 발굴 조사가 이루어진 창원 다호리 유적에서 칠기검집에 철검이 끼워져 있는 상태의 칠초철검(漆鞘鐵劍)이 출토되어 이에 대한 보존처리 과정을 소개하고자 한다. 부식되어 상태가 취약한 청동제검심(劍鐔)은 강화제로 사용 중인 Incralac을 도포한 후 현미경을 이용하여 표면의 문양을 노출하였다. 칠기검집의 표면은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HPC 2% 수용액를 도포하여 피막을 보호하였다. 이물질 제거가 완료된 칠 표면에는 Caparol binder 5% 수용액를 2~3회 도포하여 보호피막을 형성한 다음 한지와 알루미늄 호일로 감싸 주었다. 이후 우레탄폼으로 유물을 안전하게 고정한 후 뒤집어 뒷면을 위와 같은 방법으로 보존처리를 실시하였다. 두께가 얇은 유물을 지지하기 위해 검집의 뒷면에 한지를 3겹으로 붙여 힘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내부의 철검은 검집에 도포한 HPC 2% 수용액를 주입하여 굳히는 정도로 마무리하였다. 이후 투명 아크릴 상자에 보관하여, 향후 전시 등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폴리우레탄-폴리비닐알콜 블렌드의 혈액적합성 (Blood Compatibility of Polyurethane-poly(vinyl alcohol) Polymer Blends)

  • 김승수;유영미;신재섭;정규식
    • 폴리머
    • /
    • 제24권1호
    • /
    • pp.82-89
    • /
    • 2000
  • 폴리우레탄(PU)과 폴리비닐알콜(PVA)의 고분자 블렌드를 제조하고 피브리노겐 흡착, 혈장 재칼슘화 시간, 혈소판 점착, 전혈 응고실험, 보체 활성도 측정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혈액적 합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PU/PVA 고분자 블렌드에서 PVA 분자의 운동성이 혈액적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PVA를 글루타알데히드를 이용하여 가교시킨 후, 혈액적합성을 조사하였다. PU/PVA 고분자 블렌드에서의 피브리노겐 흡착은 블렌드내의 PVA 양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10-50wt%의 PVA를 포함한 고분자 블렌드에서의 혈장 재칼슘화 시간은 PU, PVA 및 PVA 함량이 높은 고분자 블렌드들에 비해서 길게 나타났다. 또한 30-50 wt%의 PVA를 포함한 블렌드에서 혈소판 형태 변화와 점착량이 가장 적었으며 혈액응고와 보체 활성도도 가장 낮았다. 한편 가교된 고분자 블렌드의 혈액적합성은 가교되지 않은 것에 비하여 현저하게 저하되었다. 이와같은 결과로부터 PVA가 30-50 wt% 포함된 고분자 블렌드에서의 혈액적합성이 다른 것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우수함이 고찰되었고, PVA 가교실험의 결과에 의하면 고분자 블렌드에서의 혈액적합성은 재료 표면에 노출된 PVA 분자들의 운동성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PAC를 이용한 하수의 고도처리공정에서의 인 제거 (Phosphorus Removal from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Using PAC)

  • 박완철;이미애;성일화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96-102
    • /
    • 2014
  • 강화된 수질기준 이하로 인을 제거하기 위해, 혐기조, 무산소조와 Bio-clod와 다공성 폴리우레탄 여재가 충진된 접촉 산화조로 구성된 생물학적 고도처리 공정을 대상으로 PAC (Poly aluminium chloride, 10.4% as $Al_2O_3$)적용 시 인제거의 효율을 검토하였다. 접촉산화조 유출수를 대상으로 Jar-test를 실시하여 최적 PAC 주입농도를 15 mg/L로 선정 후, 2차 침전조 전단에 PAC를 주입하여 응집 침전 후 상등수를 분석하였다. PAC 주입 후 BOD와 COD의 제거율의 경우 각각 96.1%와 88.8%로, 주입 전의 95.4%와 72.4%로 효과가 크지 않았으나, TP의 제거율은 97%로 주입 전의 71.6%에 비해 18.4%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SP 제거율은 응집제 주입 전 59.5%에서 주입 후 98.6%로 분석되어, PAC의 적용으로 SP 제거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기간 동안의 유출수의 TP농도는 0.13 mg/L 이하로, 추가적인 총인처리시설 설치 없이도 수질기준 준수가 가능하였다.

발포 및 세척 공정 근로자의 공기중 Methylene Chloride 노출 농도와 혈중 Carboxyhemoglobin 수준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Relationship between Exposure Concentrations to Methylene Chloride in Air and Carboxyhemoglobin Levels in Blood of Workers Engaged in Blowing, and Cleaning Operations)

  • 신용철;김양호;이광용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87-98
    • /
    • 1999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exposures to airborne methylene chloride and postshift carboxyhemoglobin (COHb) in blood of workers engaged in processes using blowing or cleaning agents, and to investigate correlation between methylene chloride concentrations and the blood COHb levels of workers. The geometric mean (GM) of workers' exposures (8 hour-time weighted averages, TWA) to airborne methylene chloride during cleaning molds using rags wetted with the solvent in the manufacture of flexible polyurethane foam (GM = 61.4 ppm), during operating the dip tank for cleaning molds in the manufacture of lens (GM = 61.0 ppm), and during cleaning the blowing nozzles by spraying the solvent in the manufacture of shoes (GM = 117.2 ppm) were exceeded the American Conference of Governmental Industrial Hygienists (ACGIH) Threshold Limit Value ($TLV^{(R)}$)-Time Weighted Average (TWA) (50 ppm). The COHb level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groups (p<0.05). The average COHh levels in blood of non-smoking workers were 2.0% in. low-level (<50 ppm) exposure group, and 3.9 % in high-level (>50ppm) exposure group. The average COHb levels in smoking workers were 3.1% in low-level exposure group, and 4.8% in high-level exposure group. The blood COHb levels of no-exposed workers to methylene chloride were 1.8% in non-smoking group, and 2.8% in smoking group. It was found that the COHb level dependeds on the methylene chloride concentration and smoking habit, and was highly correlated with methylene chloride concentration in air.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81 among non-smoking workers. The estimated COHb level (3.6%) and 95% upper confidence limit (4.0%) corresponding to TLV-TWA of methylene chloride exceeded the current ACGIH Biological Exposure Index (COHb 3.5%) for carbon monoxide. The estimated COHb level (5.4%) at 100 ppm exceeded the standard (5%) recommended by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for preventing adverse cardiovascular effect. The estimated COHb value and 95% upper confidence limit at 25 ppm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stration (OSHA) Permissible Exposure Limit-TWA (PEL-TWA) were 2.6% and 3.0%, respectively. It is suggested that COHb in blood be kept below 3.0% to comply with OSHA PEL-TWA.

  • PDF

소변 중 디아민을 이용한 디이소시아네이트 노출 근로자의 생물학적 모니터링 (Biological Monitoring of Workers Exposed to Diisocyanates using Urinary Diamines)

  • 이종성;김부욱;신정아;백진이;신재훈;김지혜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78-187
    • /
    • 2016
  • Objectives: Diisocyanates are a potent inducer of diseases of the airways, especially asthma. In this study, toluenediamine(TDA) and methylenedianiline(MDA) in urine were evaluated as biomarkers of exposure to tolunenediisocyanate(TDI) and methylenediphenyl diisocyanate(MDI), respectively. Methods: Workers exposed to TDI and MDI, as well as non-occupationally exposed subjects, were studied and pre- and post-shift urin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8 control subjects and 8 workers from a factory which manufactures polyurethane products for reducing noise and vibration in automobiles. Airborne TDI and MDI(n=8) were sampled on solvent-free glass filters impregnated with n-butylamine and detected by liquid chromatography atmospheric pressure ionization tandem mass spectrometry. Urinary TDA and MDA were detected as pentafluoropropionic acid anhydride(PFPA) derivatives by liquid chromatography electrospray ionization tandem mass spectrometry. Results: The median levels of urinary 2,6-TDA(p<0.001), 2,4-TDA(p=0.001), and MDA(p<0.001) of workers in post-shift sampl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ontrols. The median levels of urinary 2,6-0TDA($0.63{\mu}g/g$ creatinine vs $0.34{\mu}g/g$ creatinine, p=0.017) and MDA($4.21{\mu}g/g$ creatinine vs $3.18{\mu}g/g$ creatinine, p=0.017) of workers in post-shift sampl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pre-shift sample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urinary 2,6-TDA, 2,4-TDA, and MDA of workers in post-shift samples and the airborne 2,6-TDI(rho=0.952, p<0.001), 2,4-TDI(rho=0.833, p=0.001), and MDI(rho=0.952, p<0.001). Conclusions: These urinary diamines, metabolites of diisocyanates, in post-shift samples were useful biomarkers to assess occupational exposure to diisocyanates.

다세대주택의 화재안전평가에 대한 수치해석 연구 -계단실 개구부의 개폐가 화재특성에 미치는 영향- (A Numerical Study for Fire Safety Evaluation of the Multi-story Residential Buildings -The Effects of the Openings of Stairwell on Fire Characteristics-)

  • 전흥균;최영상;추홍록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15-23
    • /
    • 2007
  • 일반주택 화재시 가연성이 높은 폴리우레탄폼 소재의 소파가 연소될 때 다량의 독성가스가 포함된 연기가 발생한다. 이 경우 실내거주자는 고온의 연기와 독성가스로 인해 피난의 어려움을 겪고, 극단적인 경우 사망에 이르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다세대주택 화재시 계단실 개구부의 개폐조건이 화재실과 계단실의 화재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CFD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화재실험에서 얻어진 유동장의 온도, 일산화탄소 농도 및 연기가시거리의 자료를 분석하여 화재안전한계 기준값과 부분유효량에 근거한 화재위험평가를 하였다. 화재실의 경우, 온도와 일산화탄소 농도는 각각 최대 $290^{\circ}C$와 4,740 ppm이며, 온도에 의한 거주자의 불능상태 도달시간은 발화 후 약 144초이다. 계단실의 경우, 창문이 개방된 경우의 온도와 일산화탄소 농도는 화재안전한계 기준 값 이하로서 개방되지 알은 경우 보다 크게 감소되었다. 또 계단실의 연기가시거리는 개방된 경우가 개방되지 않은 경우보다 화재안전한계 기준 값에 더 빨리 도달되었다. 결론적으로 다세대주택 계단실의 개구부를 개방할 경우 거주자의 화재위험 가능성은 낮아진다.

PVC 바닥상재용 광경화형 내오염 코팅액의 제조 및 응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ufacture and Application of UV-Cured Anti-stain Coating Compounds for PVC Tile)

  • 윤현정;하진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741-1746
    • /
    • 2010
  • 본 연구는 건축자재로 널리 사용되는 PVC 바닥상재 표면을 오염성 및 정전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기존에 사용하는 광경화형 우레탄-아크릴 수지에 내오염/대전성을 향상시킨 광경화형 내오염 코팅액 개발에 관한 것이다. PVC 바닥상재용으로 사용되는 내오염성이 없는 우레탄-아크릴 수지에 4가 암모늄을 사용한 수용성 대전방지제와 아크릴용 대전방지제, 폴리우리탄용 대전방지제를 수지의 양 대비 함량(wt%) 5~20%로 변화하여 첨가한 후 배합하여 수지의 내오염/대전성을 향상시킨 내오염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내오염 코팅액은 코팅 층의 두께조절이 가능한 코팅(Bar-coating)을 사용하여 PVC 바닥상재에 코팅 한 후 내오염성, 대전성, 부착력, 코팅두께 등의 코팅 층 표면물성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수지에 수용성대전방지제 15%를 혼합하여 제조한 코팅액을 Bar-coater No.12로 코팅한 코팅표면이 전기저항($3.24{\times}10^9{\Omega}/cm^2$), 내오염도(매직 Test, 먼지부착 Test) 및 부착력(100%) 모두 가장 좋은 물성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함량이 많을수록 전기저항과 오염도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전방지제가 과량으로 들어간 경우 migration 현상이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열처리 조건에 따른 목재의 계면과 기계적 물성 및 돌침대용 석재/목재간 접착제에 따른 접착력 평가 (Interfaci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Different Heat Treated Wood and Evaluation of Bonding Property between Stone and Wood for Rock Bed)

  • 권동준;신평수;최진영;문선옥;박종만
    • 접착 및 계면
    • /
    • 제16권2호
    • /
    • pp.69-75
    • /
    • 2015
  • 돌침대에 사용되는 석재의 무게를 줄여 경량화를 추구하려면 석재의 두께를 줄이고 보강재료로 석재의 강도를 유지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돌침대용 석재/목재 보드 개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돌침대에 삽입될 돌의 무게를 줄이기 위해 석재와 목재를 접합하였다. 목재의 강도 향상과 표면개질을 위하여 열처리 조건에 따른 목재의 물성변화를 관찰하였다. 대기 조건에서 열처리한 목재의 경우 고온의 온도에 따라 목재의 강성이 높아졌다. 열처리 최적조건은 표면에너지와 인장, 굴곡 강도변화 경향을 바탕으로 $100^{\circ}C$ 조건임을 확인하였다. 석재와 목재간 높은 접착력을 확보하기 위해 최적의 접착제 조성을 연구하였다. 아민계 에폭시 접착제, 폴리우레탄(PU)계 접착제, 염화고무계(CR) 접착제 마지막으로 염화비닐초산계 접착제에 따른 석재와 목재간 랩 전단실험을 진행하였다. 랩 전단 실험 후 파단면을 관찰해볼 때 에폭시 접착제를 이용할 때 목재 기지의 인열 파괴가 발생되었다. 접착면에서의 전단력이 목재 자체의 파괴 강도보다 높다는 결과를 바탕으로 최적의 접착제 조건이 에폭시계 접착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양한 폴리올을 갖는 수분산 폴리우레탄의 특성 비교 (Comparison of Properties of Waterborne Polyurethanes Containing Various Polyols)

  • 서석훈;이영희;박차철;김한도
    • 청정기술
    • /
    • 제24권3호
    • /
    • pp.190-197
    • /
    • 2018
  • 3-Methyl-1,5-pentanediol (MPD)/1,6-hexane diol (HD)/1,4-butanediol (BD)과 adipic acid (A)로부터 얻어진 에스터 폴리올(A/BD/MPD 및 A/BD)과 카보네이트 폴리올(C/HD/MPD, C/HD, C/BD)과 에터 폴리올 [poly(tetramethylene oxide glycol), PTMG]과 같은 3 종류의 폴리올을 사용한 수 분산 폴리우레탄(WPU) 에멀젼(평균 입도: 59 ~ 71 nm)을 제조하였다. 본 연구는 폴리올 분자구조(소프트 세그먼트의 분자구조)가 WPU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초점을 맞추었다. 소프트 세그먼트 Tg (Tgs), 100% 탄성률 및 인장강도는 카보네이트 폴리올을 사용한 경우가 가장 높고 그 다음이 에스터 폴리올이며 에터 폴리올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나, 신도의 경우는 이와 반대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MPD가 함유된 폴리올을 이용하여 합성된 WPU의 경우가 MPD를 함유하지 않은 경우보다 Tgs, 100% 탄성률 및 강도는 낮고 신장률은 보다 높게 나타났다. MPD 성분을 함유한 WPU 필름의 투명도는 MPD 성분을 함유하지 않은 WPU 필름보다 광 투광도 및 투명도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으며, 카보네이트 폴리올 기반의 WPU 필름의 광 투광도 및 투명도가 에스터 폴리올 및 에터 폴리올 기반의 WPU 필름보다 약간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흡음재의 연소 생성물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적 연구 및 법률 개정 제언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s of Combustion Products on the Human Body and Suggestion of Law Revision)

  • 강정기;최돈묵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4호
    • /
    • pp.28-34
    • /
    • 2019
  • 점화원이 무엇이든 화염의 확산과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적인 요소는 가연물이다. 음악학원, 노래방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마감재인 흡음재는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되며 연소 시 다량의 유독가스를 발생한다는 것은 알려진 사실이다. 그럼에도 현행법은 학원의 경우 수용인원 100명 미만의 경우 난연 마감재를 사용해야 한다는 강행규정이 없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음악학원에 설치된 흡음재를 수거하여 실화재 연소실험을 통해 화염확산 속도를 측정하였으며, MultiRaelite 복합가스 측정기(타겟물질 VOC, HCHO, SO2, CO2, CO, HCN, NO2)를 이용하여 유독가스를 측정한 결과 Time weighted average (TWA)와 Short term exposure limit (STEL)의 허용농도를 초과하여 기기한계값이 측정되었다. 또한 시중에 판매중인 난연 흡음재와 비난연 흡음재를 비교 연소 실험한 결과, 착화 및 확산에 있어 현격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수용인원 100명 미만의 학원에도 난연 마감재 사용을 강제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