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sulfone

검색결과 272건 처리시간 0.034초

The Preparation of Quaternized Triethylamine Polysulfone and its Permeation Behaviours

  • 현진호;김윤조;탁태문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4년도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66-67
    • /
    • 1994
  • Polysulfone은 물리적, 화학적 성질이 우수하고 내열성과 내유기용매성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로서 투과성능도 좋고 배제율도 높아 한외여과막이나 역삼투막, 기체분리막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소수성 물질이기 때문에 처리과정에 있어서 fouling 발생이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fouling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화학적인 개질을 통하여 친수성을 높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실험에서는 친수성 고분자를 얻기 위하여 $-R_3N^+$기를 치환을 통하여 도입하였다. quaternary polysulfone의 치환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NMR, FT-IR를 이용하였고, 투과도와 용질배제율을 측정하여 개질의 효과를 살펴 보았다. 그리고 이온반발력을 이용하여 염료용액의 배제율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 PDF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Alternating Block Copolycarbonates Containing Constituent Groups of Polysulfone

  • Lee, Jung-Ah;Yoo, Seung-Hoo;Jho, Jae-Young;Lee, Jong-Chan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1권6호
    • /
    • pp.437-443
    • /
    • 2003
  • A series of alternating and alternating block copolycarbonates containing the constituent groups of polysulfone was synthesized through a multi-step solution condensation method. For the regulation of block length, monodisperse oligomers were prepared by using a large excess of the bisphenols and were subsequently incorporated into the copolymer chains. Separating the unreacted bisphenols from the oligomers by dissolution/precipitation steps took advantage of solubility differences. The structures of the monomers, oligomers, and copolymers were characterized and confirmed by GPC, NMR spectroscopy, mass spectrometry, and elemental analysis. Monodispersity of the oligomers, which is critical for control over the block length in the copolymers, was confirmed by GPC and mass spectrometry. Of the two constituent groups of the polysulfone, the sulfone linkage stiffens the polycarbonate copolymer chain, while the ether linkage softens it.

표면처리 한 polysulfone 막으로 오일/물 에멀젼의 한외여과 특성 (The Ultrafiltration Characteristics of Oil/Water Emulsion Using Modified Polysulfone Membrane)

  • 정경환;이근우;김길정;정기정;김철
    • 에너지공학
    • /
    • 제8권1호
    • /
    • pp.119-126
    • /
    • 1999
  • 본 연구는 polysulfone 막을 표면처리 하여 오일 폐수를 한외여과 처리하였고 이때 fouling의 감소효과를 실험하였다. 고분자나 계면활성제를 polysulfone막에 흡착시켜 표면처리를 하였다. 다양하게 표면처리된 막으로 dodecane(0.1 v%)/물 에멀젼과 dodecane-계면활성제/물 에멀젼을 회분식 실험방법으로 수행하였다. SDS로 개질한 막으로 dodecane-계면활성제/물 에멀젼을 환외여과 처리하였을 때 fouling이 가장 작게 나타났고, 재사용에 좋은 방법으로 나타났다.

  • PDF

Development of sulfonated polysulfone composite membranes for ammonium rejection

  • Bastos, Edna T.R.;Barbosa, Celina C.R.;Silva, Jaciara C.;Queiroz, Vanessa B.C.;Vaitsman, Delmo S.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4권2호
    • /
    • pp.83-93
    • /
    • 2013
  • In the present investigation, were synthesized composite membranes prepared by simultaneous casting of two polymer solutions using the technique of phase inversion by immersion / precipitation. The support layer was prepared using polyethersulfone and polysulfone as base polymer and for the top layer was used sulfonated polysulfone (SPSU) with 50% sulfonation degree. The morphology of the resulting membranes were characteri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The final results showed that it is possible to prepare composite membranes by simultaneous casting of two polymer solutions with adherence between the two layers. Regarding the permeation tests, the developed membranes presented values of hydraulic permeability within the range of commercial nanofiltration (NF) membranes. Values rejection of 80% ammonium ions can be increased by using a SPSU with a greater degree of sulfonation.

브롬화된 Polysulfone막에 의한 기체 투과 특성에 관한 연구 (Gas Permeation Properties of Brominated Polysulfone Membranes)

  • 임지원;이보성;김태영;김대훈;이병성;윤석원;임현수
    • 멤브레인
    • /
    • 제19권2호
    • /
    • pp.150-156
    • /
    • 2009
  • Polysulfone막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막에 브롬화 시킨 후 막의 구조 및 기체투과 특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막의 특성은 FT-IR, 1H-NMR, TGA, Contact angle 등을 사용하여 조사하였고, 브롬화된 막의 기체투과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He, $N_2,\;CO_2,\;O_2$를 사용하였다. 브롬화된 Polysulfane막의 기체투과결과 브롬의 양이 증가할수록 투과도는 감소하고 투과 선택도는 증가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 중 질소는 불소화에 따라서 가장 큰 영향을 받아 투과도가 최고 36%까지 낮아지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이산화탄소에 대한 질소의 투과선택도는 15% 이상의 매우 향상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비이온계 첨가제에 의한 폴리술폰계 중공사 막의 모폴로지 조절과 기체투과 특성 (Effect of Non-ionic Additive on Morphology and Gas Permeation Properties of Polysulfone Hollow Fiber Membrane)

  • 이혜진;고미진;김득주;남상용
    • 멤브레인
    • /
    • 제22권3호
    • /
    • pp.224-233
    • /
    • 2012
  • 기체분리용 분리막의 투과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비이온성 첨가제로 Triton X-100을 사용하여 건습식 상분리법에 의하여 polysulfone 중공사 막을 제조하였으며, 첨가제에 따른 기체투과 거동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또한 에어갭, 고분자의 농도, 도프탱크 온도와 같은 다양한 방사 조건을 조절하여 그 영향을 관찰하였다. 제조된 중공사 막은 전자주사현미경(SEM)과 bubble flow meter를 통해 각각 모폴로지와 기체투과 특성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SEM 분석을 통해 Triton X-100이 첨가된 막은 다양한 에어갭에서도 매끄러운 외부 스킨층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중공사 막의 거대기공은 에어갭이 4에서 90 cm로 증가함에 따라 더욱 발달하며, 높은 투과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대적으로 낮은 고분자 농도(30 wt% polysulfone)와 높은 첨가제 농도(15 wt% Triton X-100) 조건에서 높은 투과도를 나타내었다. 도프 탱크 온도를 조절하였을 때, $100^{\circ}C$에서 제조된 막은 첨가제와 용매의 휘발로 인해 낮은 투과특성을 나타냈다.

Polysulfone으로 제올라이트를 고정화한 새로운 PS-zeolite 비드에 의한 Sr 이온 및 Cs 이온의 흡착 특성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Sr ion and Cs ion by a Novel PS-zeolite Adsorbent Immobilized Zeolite with Polysulfone)

  • 이창한;박정민;감상규;이민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671-678
    • /
    • 2015
  • The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Sr and Cs ions were investigated by using PS-zeolite beads prepared by immobilizing zeolite with polysulfone (PS). The adsorption kinetics of Sr and Cs ions by PS-zeolite beads was described well by the pseudo-second-order model. The maximum adsorption capacities of Sr and Cs ions calculated from Langmuir isotherm model were 65.0 mg/g and 76.4 mg/g, respectively. In the binary system of Sr ion and Cs ion, the adsorption capacities of each ion decreased with increasing mole ratio of mixed counterpart ion, and Cs ion showed the higher hinderance than Sr ion. We found that thermodynamic properties of Sr and Cs ions on absorption reaction were spontaneous and endothermic at 293 to 323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