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sulfide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34초

타액오염이 트레이 레진 및 변연 형성재와 Polysulfide 인상재의 접착력에 미치는 영향 (ADHESIVE PROPERTY OF POLYSULFIDE IMPRESS10N MATERIAL ON THE TRAY RESIN AND BORDER HOLDING MATERIALS)

  • 김용학;양홍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50-658
    • /
    • 2000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compare the bond strength of polysulfide adhesive between tray resin and border molding materials and to evaluate the effect of saliva contamination on them. We made the 135 resin tray secimens with a dimension of $1{\times}1{\times}1cm$ and divided them into 3 groups by the materials 1) Quicky group, 2) Compound group, and 3) Impregum group Each group was subdivided by saliva contimination. Group S1 : applied adhesive without saliva contamination Group S2 : applied adhesive after drying 15seconds after saliva contamination Group S3 : applied adhesive no after saliva contamination. Tensile tests were performed with a Universal Load testing machine. Results showed Impregum group significantly higher bond strength than Quicky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dhesive bond strength between Compound group and Quicky group in experimental group by materials In experimental group by saliva contamination, S1 group is significantly higher bond strength than S2 group and S2 group is significantly higher bond strength than S3 group in Quicky group and S1, S2 group is significantly higher bond strength than S3 group in Compound group and Impregum group. Impression compound and Impregum F which are usually used as an individual tray border mold-ing material can be said to be satisfied in adhesive bond strength to polysulfide impression materials. After try-in and clinical adjustment are performed, a custom tray should be properly rinsed and air dried before tray adhesive was placed.

  • PDF

수종의 치과용 탄성인재의 정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CURACY OF SEVERAL DENTAL ELASTOMERIC IMPRESSION MATERIALS)

  • 최명수;임주환;조인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850-868
    • /
    • 1996
  • The accuracy and dimensional stability of impression material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successful prosthodontic treat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several dental elastomeric impression materials used widely and clinically : Impregum-$F^{(R)},\;Permlastic^{(R)},\;Silascon^{(R)},\;Perfect^{(R)},\;Xantopren^{(R)}$.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impression materials. But it has not been decided yet, which method was most suitable for the evaluation of the accuracy. In this study, two resin teeth, #15 & 25, were prepared with rounded shoulder margin and 90 degree cavosurface angle. For the polysulfide rubber and polyether, the custom tray was made at least 24 hours prior to impression taking. For the silicone rubber materials, putty/wash impression technique was applied in taking impressions. Marginal openings of the castings on the master dies and prepared resin teeth were measured under stereomicroscope.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and compared between tested impression materia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the overall accuracy of impression materials, polyether was the most accurate one, followed by polysulfide, additional silicone and condensation silicone. 2. On the first model pouring, condensation silicone had the largest discrepancies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other impression materials. 3. Polysulfide had the least discrepancies in the first model pouring, but showed larger discrepancies in the immediate second pouring than the first pouring. 4. On the immediate second pouring, the discrepancy of polyether was shown to be the smallest, while the largest one was additional silicone. 5. Polyether and polysulfide rubber using custom impression trays showed superior accuracy to silicone rubber, putty/wash impression technique.

  • PDF

다공성 구형 탄소를 이용한 리튬/유황 전지의 수명개선 및 전기화학특성 연구 (Study of Improvement Life and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for Lithium/sulfur Battery using Porous Carbon Sphere)

  • 허성규;임수아
    • 전기화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2-51
    • /
    • 2021
  • 리튬/유황 전지 반응에서 리튬-폴리설파이드(Lithium polysulfide)는 사이클이 반복될수록 전해액에 해리되어 전지 수명을 저하시키는 큰 원인으로 작용한다. 액체 상태인 리튬-폴리설파이드가 전해액에 용해되지 않도록 유황을 담지하고 리튬-폴리설파이드의 흡착을 유도, 추가로 전도도까지 높일 수 있는 비표면적이 큰 다공성 탄소를 모색했다. 본 논문에서는 비표면적이 큰 다공성 탄소 구체를 얻기 위해 추가로 KOH 처리를 통해 1939 m2/g의 탄소 구체를 2200 m2/g으로 높였다. 또한, 유황과의 열처리를 통해 75wt%의 유황이 함유된 탄소 유황 화합물을 만들어 양극재료 사용가능성에 대한 물질 분석을 진행했다. Reference (622; 유황: 60%, 도전재: 20%, 바인더: 20%) 파우치 셀과 75 wt%의 탄소 유황 화합물을 이용하여 만든 파우치 셀의 전기화학적 특성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는 50 사이클 기준으로 Reference 대비 20%의 수명 증가와 10%의율 특성 향상을 보였다.

수종의 화학소독제에 침적시킨 고무인상체의 크기안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MENSIONAL STABILITY OF THE RUBBER IMPRESSION MATERIALS FOLLOWING IMMERSION WITH CHEMICAL DISINFECTANTS)

  • 김형식;김창회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49-259
    • /
    • 1989
  • Dental impression materials often become contaminated with patients' saliva and blood which creates the potential for cross-infection. It wa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sinfection of three different rubber impression materials with four different disinfecting solutions. Polysulfide, vinyl polysiloxane and polyether impression materials were mix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directions and samples were formed on a stainless steel model. On removal from the standard model, impressions were immersed in a disinfectant (acid-potentiated glutaraldehyde, phenollic compound, chlorine compound, iodophor) at room tempera tures for ten minutes. After disinfection, the distance between reference points(linear dimension) was measured using the non-contact automatic cordinate measuring projector(MZ-1, Nikon). Through statistical analyses on the data from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1. Polysulfide, vinyl polysiloxane impressions were disinfected without dimensional change.(p>0.05) 2. Polyether impressions which were immersed in acid-potentiated glutaraldehyde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control group.(p<0.05) But the amount of shrinkage(0.04%) would not be clinically significant. 3. By immersion of polysulfide, vinyl polysiloxane, polyether impressions in Banicide, Biocide, Multicide plus, sodium hypochlorite for ten minutes, clinically accurate impressions were obtained without dimensional change.

  • PDF

CdSe-sensitized Photoelectrochemical Solar Cell Prepared by Spray Pyrolysis Deposition Method

  • Im, Sang-Hyuk;Lee, Yong-Hui;Seok, Sang-Il
    • 전기화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04-109
    • /
    • 2011
  • We fabricated CdSe-sensitized photoelectrochemical solar cell by depositing CdSe nanoparticles on nanoporous $TiO_2$ (np-$TiO_2$) via spray pyrolysis deposition method. By adjusting the amount of CdSe-sensitizer deposited on np-$TiO_2$, we can fabricate an efficient CdSe-sensitized solar cell (${\eta}$ = 3.0% under 1 sun irradiation) in polysulfide liquid electrolyte.

공항용 조인트 충진재의 성능 및 내유저항특성 비교연구 (Comparison of Performance & Jet Fuel Oil Resistance of Joint Sealant Materials for Airside)

  • 박태순;이근식;이수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4D호
    • /
    • pp.587-592
    • /
    • 2006
  • Airside 지역 콘크리트 포장의 조인트에 사용되는 충진재는 항공기 이 착륙시 엔진에서 뿜어져 나오는 고열의 후폭풍과 계류장에서 항공기의 정비 및 주유시 항공유 유출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공항용 조인트 충진재는 도로포장용과는 다른 충진재의 사용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에서 사용되고 있는 3 종류의 충진재에 대하여 물리적 특성 시험과 성능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재료는 폴리썰파이드, 폴리우레탄, 실리콘을 사용하였다. 시험결과 폴리썰파이드 충진재는 내열성과 내유성에 대한 저항성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폴리우레탄, 실리콘 충진재의 순으로 시험결과가 나타났다. Airside 지역별 특성을 고려했을 때, 폴리썰파이트 충진재는 활주로와 계류장에, 폴리우레탄 충진재는 유도로에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며 실리콘 충진재는 Airside 지역 충진재로는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면포장용 폴리설파이드 에폭시재료의 실내물성 평가 (Laboratory Evaluation of Polysulfide Epoxy Overlay Material for Bridge Deck)

  • 김준형;서영찬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159-166
    • /
    • 2011
  • 본 논문은 에폭시 계열의 폴리머 콘크리트 교면포장 공법의 국내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교면포장용 폴리설파이드 에폭시 재료에 대한 물리 역학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강도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압축강도, 휨강도, 접착강도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내구특성 평가를 위하여 염소이온침투시험, 동결융해저항성시험, 자외선영향 평가를 실시하였다. 시험결과 압축강도, 휨강도, 접착강도 등은 미국콘크리트협회에서 제시하는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다양한 시험온도에서의 강도 시험결과에서 에폭시 재료가 온도 의존성이 큰 것으로 나타나 향후 국내 적용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휨강도 시험을 통한 처짐에 대한 추종성은 기존 아스팔트 교면포장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염소이온침투 저항성, 동결융해 저항성 등에 대해서도 우수한 성질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었다. 에폭시 슬러리 혼합물에 대한 자외선 영향 평가에서는 강도 증가와 파괴시 변형률 감소가 나타났으나 자외선 노출 후에도 기존 아크릴계 폴리머 콘크리트보다 처짐에 대한 추종성이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폴리설파이드 에폭시 재료가 교면포장 공법으로 사용하기에 적절한 물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된다.

수종 고무인상재의 유변학적 특성에 관한 비교 (Comparative Study of the Rheologic Properties of Elastic Impression Materials)

  • 홍준원;안승근;박주미;송광엽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5권1호
    • /
    • pp.31-40
    • /
    • 2009
  • 고무인상재의 유변학적 특성은 높은 정확성을 가진 인상체의 채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국산 고무인상재의 유변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는 국산 및 수입 고무 인상재의 유변학적 특성을 측정, 연구함으로써 임상적 과정에서 정확성 높은 인상채득에 도움이 되고자 함이다. 시판중인 Type 3 점성을 가진 6종의 고무인상재의 유변학적 특징을 측정하였다. 2종의 국산 폴리비닐실록산, 3종의 수입 폴리비닐실록산, 1종의 폴리이써, 1종의 폴리썰파이드에 대하여 plate 대 plate 형의 rotational rheometer인 HAAKE RHEOSTRESS $1^{(R)}$ 이용하여 Mixing 후 900초간 G′, Loss tangent 값을 측정하였다. 각 제품 당 3회씩 측정 후 통계분석하였다. 국산 PVS, 수입 PVS, Polyether, Polysulfide 모두 G′의 S자형 증가와, Loss tangent 값의 S자형 감소를 보였다. 경화 후 G′ 값의 최대치는 Polyether였으며, 최소치는 Polysulfide였다. Loss tangent의 초기값은 폴리이써 인상재에서 가장 높았으며 국산 폴리비닐실록산 인상재에서 가장 낮았다. 같은 점조도를 가진 국산 PVS 와 수입 PVS의 G′ 값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초기 Loss tangent 값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