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phenylene oxide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36초

Nafion과 Aminated Polyphenylene Oxide (APPO)를 적용한 막 축전식 탈염 공정의 성능 연구 (Performance Study of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MCDI) Cell Constructed with Nafion and Aminated Polyphenylene Oxide (APPO))

  • 김지수;임지원
    • 멤브레인
    • /
    • 제30권5호
    • /
    • pp.350-35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다공성 탄소 전극의 음극과 양극 표면에 각각 양이온교환고분자(Nafion)와 음이온교환고분자(aminated polyphenylene oxide, APPO)를 코팅하여 막 결합형 축전식 탈염(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MCDI) 공정에 적용하였다. 또한 위 공정의 성능을 탄소 전극만으로 구성한 축전식 탈염(capacitive deionization, CDI) 공정과 비교 평가해 보고 염 제거 효율이 최대로 나타나는 MCDI 공정의 최적 운전 조건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염 제거 효율은 MCDI 공정이 CDI 공정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Nafion과 APPO를 적용한 MCDI 공정에서 흡착 조건이 1.2 V, 3 min이고 탈착 조건이 -1.0 V, 1 min 일 때의 염 제거 효율이 82.1%로 최댓값을 보임을 확인했다.

12-텅스토인산 촉매와 polyphenylene oxide 막으로 구성된 shell & tube 형 막반응기에서 MTBE(methyl tert-butyl ether)분해 반응 (MTBE Decomposition in a Shell & Tube Type Membrane Reactor Comprising 12-Tungstophosphoric Acid Catalyst and Polyphenylene Oxide Membrane)

  • 송인규;이화영;김재진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2년도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43-44
    • /
    • 1992
  • 촉매막반응기란 반응기와 분리막이 동시에 하나의 과정으로 결합된 unit로, 촉매막반응기를 사용할 경우 가역 반응에서 막을 통한 생성물의 선택적 제거는 화학 평형이동을 유발시켜 열역학적으로 얻을수 있는 평형 전환율보다 높은 전환유을 얻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촉매막반응기의 성능에 대한 실험적 연구로, 산 촉매하에서 일어나는 MTBE 분해반응을 12-텅스토인산 촉매상에서 수행하였다.

  • PDF

아민화된 폴리페닐렌 옥사이드막에 의한 기체 투과 특성에 관한 연구 (Gas Permeation Properties of Aminated Polyphenylene Oxide Membranes)

  • 신도형;임지원
    • 멤브레인
    • /
    • 제25권6호
    • /
    • pp.488-495
    • /
    • 2015
  • Trimethylamine과 chloromethyl ethyl ether를 사용하여 PPO를 기반으로 하는 APPO를 제조하여 특성평가를 진행하였다. 전기 물리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8 wt%의 APPO chloroform 용액으로 APPO막을 제막하여 특성평가를 진행하였다. 접촉각은 $44.4^{\circ}$, 함수율은 37.9%의 결과값을 얻을 수 있었다. 전기적 특성인 이온교환용량과 이온전도도는 각각 2.3 meq/g, 0.027 S/cm로 측정되었다. 또 time-lag 장치를 이용하여 단일기체(질소, 산소, 메탄, 이산화탄소, 이산화황)에 대한 확산도 및 용해도를 알아보았다. 산성가스인 이산화탄소와 황산의 경우, 투과도는 각각 20.7, 511.5 barrer로 측정되었다. 선택도의 경우, 이산화탄소/메탄은 39.8, 이산화탄소/질소는 42.2, 이산화황/이산화탄소는 24.7로 측정되었다.

가스이온 주입에 의한 MPPO의 전기적 특성조사 (An investigation of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MPPO(Modified-Polyphenylene Oxide) by gas ion implantion)

  • 이준호;이재상;임석진;조용섭;주포국;최병호;이재형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99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30-433
    • /
    • 1999
  • MPPO(Modified-Polyphenylene Oxide) was irradiated with helium, nitrogen, and argon ions at the ion energy of 50 keV and 70 keV from the dose region of 5$\times$10$^{15}$ to 5$\times$10$^{16}$ ions/$\textrm{cm}^2$. The resistance of the irradiated MPPO surface could be decresed about 10$^{10}$ to 10$^{7}$ $\Omega$/sq with increasing the total ion dose and ion energy.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irradiated surface were analyzed by XPS(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 PDF

Relation Between Electrical & Optical Properties of Ion Implanted MPPO(Modified-Polyphenylene Oxide)

  • 임석진;이재상;이준호;조용섭;주포국;최병호;이재형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1999년도 제17회 학술발표회 논문개요집
    • /
    • pp.207-207
    • /
    • 1999
  • 고분자 재료에 이온을 주입함으로서 소재 표면은 경도, 내마모, 내피로성의 기계적인 특성과 내부식성의 화학적 특성, 전기 전도도, 광학적 특성(Optical Density)의 물리적인 특성이 향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MPPO(Modified-Polyphenylene Oxide) 표면에 Ar, N2, He, H 이온을 50, 70, 100 KeV, Dose 1$\times$1014~1$\times$1017 ions/$ extrm{cm}^2$로 조사하였다. XPS와 RBS로 소재의 Binding Energy와 이온의 침투깊이, 분자 조성과 결합 상태 등의 특성을 관찰하였다. 표면 저항값은 1$\times$1011~6.7$\times$106($\Omega$/$\square$)으로 감소함으로서 전기 전도도가 향상되었고, Optical Density는 증가하여 전기적 특성과 광학적 특성간의 상관 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 PDF

이미다졸륨을 포함하는 폴리페닐렌옥사이드 고분자 제조 및 기체 특성평가 (Preparation and Gas Characterization of Poly(phenylene oxide) Containing Imidazolium)

  • 손태양;조진우;김지현;김태현;;남상용
    • 멤브레인
    • /
    • 제27권6호
    • /
    • pp.528-53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폴리페닐렌옥사이드 고분자에 브롬화반응을 통해서 할로겐 원소를 수월하게 도입하고, 도입한 할로겐 원소를 이미다졸륨으로 치환하여 이미다졸륨이 도입된폴리페닐렌옥사이드를 합성하였다. 다양한 특성평가를 통해서 합성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고, 산소, 질소, 이산화탄소 기체투과 특성평가를 진행하여 합성한 고분자의 기체특성을 확인하였다. 이미다졸륨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합성고분자의 이온교환용량이 증가하였으나, 기계적 강도는 감소하였다. 특히, 기체투과도는 미세하지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이산화탄소/질소 선택도의 경우 이미다졸륨 함량이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헤테로폴리산을 포함한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용 나피온/폴리페닐렌옥사이드 복합막의 제조 (Preparation of Composite Nafion/polyphenylene Oxide(PPO) with Hetropoly Acid(HPA) Membranes for Direct Methanol Fuel Cells)

  • 김동현;석준호;김화용;이갑수;성준용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4권2호
    • /
    • pp.187-192
    • /
    • 2006
  • 폴리페닐렌 옥사이드(PPO)를 이용하여 헤테로폴리산(HPA)을 고정시킨 박막 제조를 통해 새로운 고분자 복합막을 제조하고 특성을 분석하였다. 헤테로폴리산인 텅스토인산(PWA)이나 몰리브도인산(PMA)을 혼합한 PPO 박막은 서로 같은 용매에 녹지 않으므로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PWA를 녹이기 위한 용매로 메탄올을 PPO를 녹이기 위한 용매로 클로로포름을 사용하였으며, 혼합된 PPO-PWA 용액을 유리판 위에서 제막하였다. 다공성의 PPO-PWA 박막에 나피온 혼합물을 사용하여 복합막을 제조하였고, 제조된 복합막은 이온 전도도와 메탄올 투과도를 측정하여 특성화하였다. PPO-PWA 복합막의 형태와 구조는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y)과 EDS(energy dispersive spectrometer)로 관찰하였고, 복합막은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DMFC)용 전해질로서의 성능을 시험하였다. PPO-PWA 구조를 가지고 있는 복합막을 이용함으로써 DMFC 내에서의 메탄올 투과 현상을 66% 줄일 수 있었다.

Electrical & Optical Properties of Ion Implanted MPPO (Modified-Polyphenylene Oxide)

  • 임석진;김옥경;장동욱;이재상;하장호;최병호;이재형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00년도 제18회 학술발표회 논문개요집
    • /
    • pp.189-189
    • /
    • 2000
  • 고분자 재료에 이온을 주입함으로서 경도, 내마모, 내피로성의 기계적인 특성과 내부식성 등의 화학적 특성이 향상되며, 표면 전기전도도와 광학밀도(optical density)가 변한다. 본 연구에서는 MPPO(Modified-Polyphenlene Oxide) 표면에 N2, Ar, Xe 이온을 에너지 50keV, 선량(dose)을 1$\times$1015에서 1$\times$1017ions/cm2로 증가시키면서 조사하였다. 이온 조사량의 증가에 따라 표면 저항이 2$\times$1015에서 6$\times$106($\Omega$/$\square$)으로 감소하여 표면 전기전도도가 향상되었다. Ar 이온은 1016ion/cm2이하의 조사량(dose)에서 N2보다 표면 저항을 더 많이 감소하는데 반해 1016ion/cm2 이상의 조사량에서는 Ar과 N2의 표면 저항이 비슷한 값을 나타냈다. Xe은 Ar과 N2이온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표면저항이 많이 감소하여 전도도의 향상은 Xe, Ar, N2 순서로 질량이 큰 이온이 조사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소재 표면은 SIMS 분석을 통하여 깊이에 따른 주입이온의 분포를 관찰하였으며, 표면 색상은 황색에서 갈색을 거쳐 암갈색으로 변화함으로서 가시광선에 대한 반사율(reflectance)이 감소하고 광학밀도(optical density)가 증가하여 광학적 특성이 변하였다. 이온 주입 후 에너지 전이에 의한 효과는 optical gap를 감소시켜 광학밀도(optical density)와 표면 전기 전도도를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이온주입에 의한 광학적, 전기적 특성간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 PDF

고분자블렌드에서의 변형거동 (Deformation Behavior in Compatible Polymer Blends)

  • 전병철
    • 한국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료학회 1992년도 추계학술발표강연 및 논문개요집
    • /
    • pp.121-121
    • /
    • 1992
  • Deformation behavior of compatible polymer blends was studied using scanning electron, optical,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ies. Four different compatible systems were employed and charaterized in this investigation : polystyrene(PS) and polyphenylene oxide(PPO), polystyrene(PS) and polyvinlmethylether(PVME), polystyrene(PS) and poly $\alpha$-methylstyrene(P$\alpha$MS). Individual craze and shear deformation zone microstructures were examined by transmission microscopy (TEM). For TEM observations, specimens deformed in-situ on a TEM grid were utilized. Quantiative analysis of these crazes and shear deformation zones was obtained from the nicrodensitometry of the TEM negatives in the manner developed by Lauterwasser and Kramer. Microdensitometry resulys showed that the fibril extension ratio decreased as the PPO content increased in the PS/PPO blends, and finally, for 100% PPO, only shear deformation zones were observed. For the PS/PVME blends, the ribril extension ratio also decreased as the VME content increased. For the PS/P$\alpha$MS blends, the fibril extension ratio increased as the P$\alpha$MS content increased, For the PPO/P$\alpha$MS blends, the fibril extension ratio increased as the P$\alpha$MS content increa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