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phenol content

검색결과 1,483건 처리시간 0.034초

동백 열수추출물의 융복합 활성 (Fusion-Complex Activity of Camellia extract)

  • 서영옥;김춘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7호
    • /
    • pp.431-436
    • /
    • 2015
  • 본 동백나무 열수추출물의 융복합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동백나무의 채취시기별, 부위별 웰니스 활성 성분의 결정요인으로 항산화 활성물질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카테킨성분 함량 분석에서 동백의 특이 카테킨 성분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동백추출물의 항산화활성 검증결과 항산화 소거능이 함유된 결과로 나타났다. 동백나무의 부위별 항산화 활성은 꽃에서 가장 항산화 억제 작용이 높게 나타났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은 New leaves $92.09{\mu}g/mL$, old leaves $82.53{\mu}g/mL$, stem $77.51{\mu}g/mL$, flower $86.86{\mu}g/mL$, 분석되어 새잎이 높았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동백의 stem 223.29 (mg/g), new leaves 196.14 (mg/g), old leaves 168.29 (mg/g), flower 159.00 (mg/g) 순으로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줄기가 높게 나타났다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GAVA가 모든 시료에서 높았고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gamma}$-Amino butyric acid (GAVA)가 모든 시료에서 높게 나타났다.

Quality comparison of non-thermal sterilized raw apple vinegar and commercial apple vinegar products

  • Sun Hwa Kim;Ji-Hyung Seo;Yong-Jin Jeong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35-244
    • /
    • 2024
  • A nonthermally sterilized raw apple vinegar was manufactured using an ultra-fine filtration process (0.2 ㎛ membrane filter) and its quality was comparable to commercially available vinegar products. First, using apple concentrate as a raw material, it was possible to produce non-thermal sterilized Using a two-stage fermentation process of alcohol and acetic acid fermentations, a non-thermally sterilized raw apple vinegar with pH 2.94 and an acidity of 6.20% was produced from an apple concentrate. The fermentation process increased the browning index significantly. However, the fundamental quality parameters of the non-thermal sterilized raw apple vinegar (A) with sterilized apple vinegar (B)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The pH (2.92-2.95) of apple vinegar (A and B) was higher than that (pH 2.65-2.70) of commercial vinegar (C and D), and the total acidity, which is in the range of 6.20-6.21% and 6.53-6.90%, respectively, was higher in samples C and D than in samples A and B. However, four kinds of organic acids were detected in non-thermal sterilized raw apple vinegar (A), and its total organic acid content (6,245.00 mg%)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other samples (B, C, D) (p<0.05). In particular, malic acid content, as a main organic acid in apples, was very high in sample (A) (244.83 mg%) and sample (B) (210.21 mg%), compared to commercial products C (125.78 mg%) and D (86.90 mg%).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fermented apple vinegar (A, B) were more than twice as high as those of commercial products (C, D). Vinegar A had higher total polyphenol content than vinegar B. The above results suggest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nd commercialize non-thermal sterilized raw apple vinegar with higher organic acid content and antioxidant properties using ultra-fine filtration.

시설 및 노지 재배한 오디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lberry Cultivated under Greenhouse and Open Field Conditions)

  • 이지영;황인국;김하윤;유선미;박종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2호
    • /
    • pp.1964-196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시설 및 노지 재배한 오디의 총균수, pH, 총산도, 당도, 유리당, 총 폴리페놀 및 안토시아닌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총균수는 시설 재배한 오디가 노지 재배한 오디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적게 검출되었다. 시설 재배한 오디의 평균 pH 및 총산도는 각각 4.44 및 0.50%였고, 노지 재배 시 각각 5.13 및 0.30%로 시설 재배한 오디가 pH는 유의적으로(P<0.001) 낮고 총산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당도의 경우 노지 재배 시 시설 재배에 비해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디의 주요 유리당으로는 fructose와 glucose가 검출되었고, 시설 재배한 오디의 평균 fructose 및 glucose 함량은 각각 5.38 및 5.12%였고, 노지 재배 시 각각 5.42 및 5.09%로 재배방법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시설과 노지 재배한 오디의 평균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393.36 및 514.47 mg%, 안토시아닌 함량은 각각 205.00 및 265.56 mg%로 노지 재배 시 시설 재배에 비해 유의적으로(P<0.001) 높았다.

국내산 산채류의 물 및 메탄올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in Water and Methanol Extracts from Korean Edible Wild Plants)

  • 이영민;배지현;정호영;김재현;박동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29-36
    • /
    • 2011
  • 연구에서는 산채류 34종의 물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한 후 항산화 활성을 탐색하여 산채류 유래 항산화물질을 탐색하고 기능성식품을 개발하기 위한 항산화능 우수 산채류 선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산채류시료 34종을 물과 메탄올 추출하였을 때 추출 수율은 물 추출의 경우 4.6~34.6%이었고, 메탄올 추출의 경우 3.4~45.0%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물 추출물에서 4.6~183.8mg/g이고, 메탄올 추출물에서 8.2~270.4 mg/g이었다. 물과 메탄올 추출물에서 돌단풍(Aceriphyllum rossii )이 각각 183.8, 270.1 mg/g의 가장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보였고, 공통적으로 광대싸리(Securinega suffruticosa), 기린초(Sedum kamtschaticum), 까치수영(Lysimachia barystachys), 송이풀(Pedicularis resupinata)이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보였다.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은 까지수영, 돌단풍, 광대싸리, 기린초, 송이풀(Pedicularis resupinata), 승마(Cimicifuga heracleifolia),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뻐꾹채(Rhapontica uniflora)에서 우수하였다. 변수간의 상관성을 분석했을 때, 폴리페놀 함량과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 SOD 유사활성 사이에는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이들 측정치에서 공통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조사된 산채류는 송이풀, 광대싸리, 뻐꾹채, 까치수영, 돌단풍이었다.

국내산 아까시나무와 밤나무 유래 propolis의 영양성분 및 페놀성 화합물 분석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sition and Phenolic Compound in Propolis Collected from Falseacacia and Chestnut Tree in Korea)

  • 송효남;길복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546-551
    • /
    • 2002
  • 국내에서 채집되는 propolis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아까시나무와 밤나무를 밀원 식물로 하여 채집된 propolis와 그의 70% ethanol 추출물(EEP)에 대한 영양성분 및 페놀성 화합물을 분석하였다. 일반성분은 밀원식물에 따른 큰 차이 없이 비슷한 분포를 보였고, EEP의 경우 propolis 분말에서보다 대부분의 성분들이 상당량 감소되었다. 주요 무기질 5종은 일반성분과는 달리 채집지역과 수종에 따른 차이를 보였고, 대체로 아까시나무의 propolis가 무기물 함량이 많았다. 아까시나무의 propolis에는 칼슘함량이 가장 많았고, 밤나무 propolis는 칼륨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반면에 EEP에서는 두 시료 모두 칼륨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아미노산은 총 16종이 검출되었고, aparagine, cysteine, glutamine 및 tryptophan은 검출되지 않았다. 특히 밤나무 propolis에서는 methionine도 검출되지 않았다. Aspartic acid가 가장 많았고, methionine의 함유량은 극히 적었으며, 아까시나무 propolis가 아미노산 함유량이 전반적으로 더 높았다. 추출수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난 EEP의 total polyphenol 함량은 $13.9{\sim}23.7%$였고, propolis의 phenolic fraction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성분인 flavonoids 함량은 $8.6{\sim}10.8%$로 나타나 다른 식품재료에 비하여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 고성능 박막크로마토그래피로 페놀성 화합물을 정성분석한 결과 시료종류에 상관없이 거의 동일한 pattern의 chromatogram을 나타내었다. Polyphenol 화합물의 HPLC 분석에서는 약 16개의 peak가 검출되었고, 이중 p-hydroxy benzoic acid, caffeic acid, ferulic acid, benzoic acid, cinnamic acid 및 chrysin의 6종을 동정하였다. 시료간의 chromatographic pattern은 동일하여 propolis를 구성하는 페놀성 화합물의 종류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Fruit Quality, Antioxidant Capacity and Nutrients between Organic and Conventional kiwifruit in Korea

  • Cho, H.;Cho, J.;Cho, Y.;Park, J.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spc호
    • /
    • pp.225-229
    • /
    • 2011
  • Organic kiwifruits were smaller fruit size but had higher magnesium and dry matter content than conventional, meanwhile, fruit soluble solid content was similar to conventional.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tive capacity between organic and conventional although there were considerable variations among sample orchards. Several minerals were also similar levels in both systems.

싸리속 식물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the Genus Lespedeza)

  • 김상민;정유진;판철호;엄병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769-775
    • /
    • 2010
  • 본 실험에서는 국내에 자생하는 콩과에 속하는 6종의 싸리속 식물의 각 부위별 추출물로부터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고,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조사하였다. 폴리페놀성 화합물은 고양싸리의 잎(LR-L)에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풀싸리의 지상부(LTi-A)에서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이들 시료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DPPH와 ABTS 라디칼에 대한 소거 활성을 조사해 본 결과 DPPH 라디칼에 대해서는 비타민 C보다 소거 활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ABTS 라디칼에 대해서는 비타민 C보다 더 좋은 소거 활성을 보였다. 이들 활성과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화합물간의 상관관계에서는 폴리페놀만이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폴리페놀의 농도에 따라 라디칼 소거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하지만 플라보노이드 화합물과 라디칼 소거 활성 간에는 뚜렷한 상관관계를 볼 수 없어, 싸리속 식물에서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보다는 폴리페놀성화합물이 항산화에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천연 항산화제의 개발에 있어 싸리속 식물이 천연 항산화제로서 좋은 소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한 생강의 추출효율 및 기능성에 대한 모니터링 (Monitoring of Extraction Yields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Ginger (Zingiber officinale) Extract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임태수;권오준;권중호;김현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48-354
    • /
    • 2007
  •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생강의 추출조건에 따른 기능성을 모니터링하였다. 중심합성계획법에 따라 마이크로웨이브 에너지($30{\sim}150\;watt$), 에탄올 농도($0{\sim}100%$), 추출시간($1{\sim}9$분)을 달리하였을 때 회귀식 $R^{2}$는 추출수율, 전자공여작용, tyrosinase 저해효과 및 polyphenol 함량이 각각 0.9152, 0.9239, 0.9696과 0.9057로 분석되었다. 조건별 추출물의 수율, 전자공여능, tyrosinase 저해효과, polyphenol에 대한 4차원 반응표면을 superimposing하여 얻은 최적 추출조건 범위는 마이크로웨이브 에너지 $0{\sim}80\;watt$, 에탄올 농도 $0{\sim}40%$, 추출시간 $3{\sim}7$분으로 나타났다. 최적 추출조건 범위 내의 임의의 조건인 마이크로웨이브 에너지 50 watt, 에탄올 농도 20%, 추출시간 5분을 각각의 회귀식에 대입하여 얻은 예측값은 추출물의 수율 22.92%, 전자공여능 35.76%, tyrosinase 저해효과 56.52%, polyphenol 함량은 37.68%로 나타났다.

운지버섯(Coriolus versicolor) 자실체 조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생리활성 연구 (Antioxidant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oriolus versicolor Fruit Body Crude Extracts)

  • 최병용;이형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415-422
    • /
    • 2016
  • 본 연구는 운지버섯 자실체의 열수추출물(HE)과 메탄올 추출물(ME)의 총 polyphenol과 flavonoid 함량과 일부 생리활성을 2015년 3월부터 2016년 2월에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0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HE의 총 polyphenol 함량(129.60 mg/dl)은 ME함량(43.80 mg/dl)보다 85,8 mg/dl가 더 높았으며, 열수에서 추출이 더 높았다. HE의 총 flavonoid 함량(30.50 mg/dl)은 ME함량(20.90 mg/dl)보다 9.5 mg/dl가 더 높았다. DPPH의소거활성은 HE 1 mg/ml에 비해서 3 mg/ml에서는 41.03%가, ME 1 mg/ml에 비해서 3 mg/ml에서는 16.36%로 더 높았으며, Tyrosinase저해활성은 HE 1 mg/ml에 비해서 3 mg/ml에서는 8.29%, ME 3 mg/ml에서는 10.32%가 더 높았고, Elastase 저해활성은 HE 1 mg/ml에 비해서 3 mg/ml에서는 3.12%가, ME에서는 21.53%가 더 높았다. Collagenase저해활성은 HE 1 mg/ml에 비해서 3 mg/ml에서는 5.44%가, ME에서는 4.07%로 더 높았다. 상기 효소활성은 모두 추출액농도증가에 비례하여 활성이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상기의 두 종류의 추출물은 항산화 및 생리활성기능을 나타내어 피부의 주름의 완화제로서 유용하다고 판단되었다.

한국산 5종 해조류의 항산화효과와 총 폴리페놀 함량과의 관련성 (The Correlation of Antioxidative Effects of 5 Korean Common Edible Seaweeds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 곽충실;김성애;이미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8호
    • /
    • pp.1143-1150
    • /
    • 2005
  • 한국에서 널리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미역, 다시마, 톳(갈조류), 파래(녹조류), 김(홍조류)의 항산화효과와 총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 함량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건조 상태의 시판 해조류로부터 에탄올 추출시료를 얻은 후 $Fe^{2+}$로 유도된 지질과산화 억제율, DPPH 라디칼 소거율 및 MDA-BSA 결합 저해율을 측정하는 3가지 방법으로 항산화효과를 검정 하였고, 총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녹조류인 파래의 항산화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는데, 특히 지질과산화물이 단백질과 결합하는 반응을 매우 효과적으로 저해하였다. 그 다음 김과 다시마의 항산화효과가 우수하였으며, 미 역과 톳은 항산화효과가 거의 없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미역이 11.63 mg/g 건조무게로 가장 높았고, 총 폴리페놀 함량은 파래가 8.97 mg/g 건조무게로 가장 높았다. 한편, 3가지 방법에 의해 측정된 해조류의 항산화효과 모두가 총 폴리페놀 함량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지질과산화억제율과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어(r=0.9351, p<0.0001), 해조류에서의 항산화효과에 폴리페놀 성분이 크게 기여할 가능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