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mer electrolytes

검색결과 206건 처리시간 0.021초

Multi-Functional Dual-Layer Polymer Electrolytes for Lithium Metal Polymer Batteries

  • Lee, Young-Gi;Ryu, Kwang-Sun;Chang, Soon-Ho
    • ETRI Journal
    • /
    • 제26권4호
    • /
    • pp.285-291
    • /
    • 2004
  • We prepared a novel multi-functional dual-layer polymer electrolyte by impregnating the interconnected pores with an ethylene carbonate (EC)/dimethyl carbonate (DMC)/lithium hexafluorophosphate $(LiPF_6)$ solution. The first layer, based on a microporous polyethylene, is incompatible with a liquid electrolyte, and the second layer, based on poly (vinylidene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is submicroporous and compatible with an electrolyte solution. The maximum ionic conductivity is $7{\times}10^{-3}S/cm$ at ambient temperature. A unit cell using the optimum polymer electrolyte showed a reversible capacity of 198 mAh/g at the 500th cycle, which was about 87% of the initial value.

  • PDF

Electric and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 of PMMA-PEO Gel Electrolyte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 박수길;박종은;이홍기;이주성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768-772
    • /
    • 1998
  • The new type polymer electrolyte composed of polymethyl methacrylate(PMMA) - polyethy leneoxide(PEO) contain $LiClO_4$ -EC/PC was developed for the weightless and long or life time of lithium polymer batery system with using polyaniline electrode. the gel type electrolytes were prepared by PMMA with PEO at different lithium salts in the glove box. The minimum thickness of PMMA-PEO gel electrolyte for the slim type is about(400~450$\mu\textrm{m}$. These gel electrolyte showed good compatibility with lithium electrode. The test cell Li/polymer electrolyte/polyaniline solid state cell which was prepared by different lithium salt was researched by electrochemical technique.

  • PDF

Intrinsic Properties and Potential Wide Uses of Polyrotaxane Derivatives in Relation to Slide Ring Cross-Links Architectures

  • Juho Yun;Namil Kim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58권4호
    • /
    • pp.201-207
    • /
    • 2023
  • Owing to their unique properties originating from slidable cross-links, polyrotaxane derivatives have potential applications as polymer electrolytes for lithium-ion batteries, lightweight polymer alloys for vehicular bodies and their glazing, elastic rubbers for tires, hydrogels for drug delivery. This article reviews the structures of polyrotaxanes comprising cyclic molecules threaded by a linear axle polymer. Next, the versatile characteristics of polyrotaxane gels, elastomers, and polymer alloys such as toughness, elasticity, and softness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ir supramolecular architectures. Finally, the mechanical behavior of solid ring cross-links are compared with that of conventional fixed cross-links for better understanding.

리튬 유황전지용 폴리우레탄 고분자 전해질의 전기화학적 특성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olyurethane-based Polymer Electrolyte for Lithium Sulfur Battery)

  • 김형주;신준호;김종화;김기원;안효준;안주현
    • 전기화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47-51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높은 인장강도와 탄성력을 가지는 다공성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을 지지체(matrix)로 이용하고, 유기 전해액 ethylene carbonate(EC), propylene carbonate(PC), tetraethylene glycol dimethylether(TG)와 1M $LiCF_3SO_3$를 부피비 1:1 비율로 혼합하여 액체 전해액을 제조하였으며, 높은 이론용량을 가지는 Li/S전지에 적용하여 전기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1M $LiCF_3SO_3$에 TG를 첨가할 경우 유기 전해액의 함침량이 약 $750\%$ 증가하였으며 방전용량$(1065mAh/g{\cdot}sulfur)$ 및 사이클 특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1M $LiCF_3SO_3$에 TG/EC(v/v,1:1) 및 PC/EC(v/v,1:1)를 첨가한 경우 이온 전도도는 각각 $3.15\times10^{-3}(S/cm)$$3.18\times10^{-3}(S/cm)$로 나타났다.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위한 고분자 전해질막에서의 가소제의 효과 (Effect of Plasticizer on Electrolyte Membranes for Dye Sensitized Solar Cells)

  • 조두현;정유영;윤미혜;권소영;구자경
    • 멤브레인
    • /
    • 제20권1호
    • /
    • pp.13-20
    • /
    • 2010
  •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위한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조하였다. 고분자물질로는 Poly(ethylene oxide) (PEO)를 사용하였으며, 가소제로서 poly(ethylene glycol) (PEG)를 첨가하였고, 전해질염 및 $I^-/{I_3}^-$의 공급원으로서 KI 및 $I_2$를 첨가하여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조하였으며, 이와 같은 고분자 전해질막을 바탕으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제조하였다. 고분자 전해질 내의 가소제로서의 PEG 함량은 0%에서 85%의 범위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PEG 함량 전 구간에서 고분자 전해질막은 그 형태를 자체적으로 유지하는(self supporting) 완벽한 고체 전해질막의 형태로 제조되었다. PEG 함량이 증가하면서 전해질막을 통한 이온전도도와 ${I_3}^-$ 이온의 확산도계수는 증가하였다.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 있어서는 고분자 전해질막 내의 PEG 함량이 증가하면서 그 효율이 증가함을 볼 수 있었다.

리튬 2차전지용 전해질 소재의 개발 동향 (Research Trend of Electrolyte Materials for Lithium Rechargeable Batteries)

  • 이영기;김광만
    • 전기화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42-255
    • /
    • 2008
  • 1991년 lithium-ion battery(LIB)가 상용화된 이후, 초기 전해질은 주로 lithium cobalt oxide($LiCoO_2$) 양극과 graphite 음극의 특성에 집중되어 연구되어 왔다. 또한 전극과 전해질 간의 적합성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이들 간의 계면에서 활발히 진행되었다. 이후 Si, Sn 등의 비탄소계 음극소재와 3성분(Ni, Mn, Co)계, spinel, olivine 등의 양극 소재를 리튬 2차전지에 채용하려 함에 따라 기존 전해질 재료들도 많은 도전에 직면하게 되었다. 특히, 안전성 문제가 최근 심각하게 부각됨에 따라 전해질의 요구특성은 점점 복잡해지고 까다로워지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전극소재 변화에 따른 전해질 소재의 다양한 변화와 그 특성에 대하여 구성요소 별로 연구 및 개발 동향을 정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