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ethylene glycol (PEG)

검색결과 438건 처리시간 0.032초

Safety Evaluation of Polyethylene Glycol (PEG) Compounds for Cosmetic Use

  • Jang, Hyun-Jun;Shin, Chan Young;Kim, Kyu-Bong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1권2호
    • /
    • pp.105-136
    • /
    • 2015
  • Polyethylene glycols (PEGs) are products of condensed ethylene oxide and water that can have various derivatives and functions. Since many PEG types are hydrophilic, they are favorably used as penetration enhancers, especially in topical dermatological preparations. PEGs, together with their typically nonionic derivatives, are broadly utilized in cosmetic products as surfactants, emulsifiers, cleansing agents, humectants, and skin conditioners. The compounds studied in this review include PEG/PPG-17/6 copolymer, PEG-20 glyceryl triisostearate, PEG-40 hydrogenated castor oil, and 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Overall, much of the data available in this review are on PEGylated oils (PEG-40 and PEG-60 hydrogenated castor oils), which were recommended as safe for use in cosmetics up to 100% concentration. Currently, PEG-20 glyceryl triisostearate and PEGylated oils are considered safe for cosmetic us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relevant studies. Additionally, PEG/PPG-17/6 copolymer should be further studied to ensure its safety as a cosmetic ingredient.

고분자량 Polyethylene Glycol 처리에 따른 모직물과 유사모직물의 보온성과 태의 향상 방안 모색 (An Approach to Improve Thermal Insulation Properties and Fabric Hand of Wool and Wool-like Fabrics under High Molecular Polyethylene Glycol Treatment)

  • 조길수;이은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1041-1050
    • /
    • 199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mprove the thermal insulation properties of wool and wool- like fabrics by treating the fabrics with polyethylene glycol, to evaluate the fabric hand of PEG treated wool and wool-like fabrics and to grade up the fabric hand of the treated fabrics by treating with softening agents. Wool and wool-like fabrics were treated with high molecular PEG-8,000 by PDC. The thermal release/storage properties were measured on a DSC. Hand of specimens were evaluated by KES-FB syst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PEG-treated fabrics showed thermal storage and thermal release properties by DSC and the heat contents were generally proportional to the add-ons. 2. PEG-treated fabrics showed higher Koshi and lower Numeri and Sofutosa values due to lower tensile energy and recovery and higher bending rigidity and shear stiffness as the add- ons increased. 3. PEG-treated fabrics showed much lower bending rigidity after softening agents treatment.

  • PDF

$\alpha$-Amylase로 전분 가수분해를 위한 PEG/Dextran 수성 2상계 구성 (Formation of PEG/Dextran Aqueous Two-Phase System for Starch Hydrolysis Using $\alpha$-Amylase)

  • 박병춘;임동준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90-195
    • /
    • 1992
  • Polythylene glycol/dextran 수성 2단계에서 polyethylene glycol의분자량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체적비는 증가하고 분배계수는 감소하였다. 또한 dextran의 분자량이 증가할 수록 체적비는 감소하고 분배계수는 증가하였다. 한편 dextran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체적비와 분배계수는 감소하였다.

  • PDF

구리전해도금에서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의 영향 연구 (Effect of Polyethylene Glycol on Cu Electrodeposition)

  • 안의경;최선기;이재원;조성기
    • 전기화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13-11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polyethylene glycol (PEG)이 구리전해도금에 미치는 영향을 cyclic voltammetry를 이용해 분석해보았다. PEG의 흡착은 함께 존재하는 음이온의 특이흡착에 따라 변화되었다. 가장 일반적인 도금액 성분인 sulfate 이온(SO42-)이 존재하는 경우, PEG의 흡착이 억제되었으며 그로 인해 미약한 억제 효과가 관찰되었다. 실제로 도금액이 SO42- 없이 특이흡착하지 않는 perchlorate 이온(ClO4-)으로만 이뤄진 경우, PEG는 도금 반응을 강하게 억제하였으며 억제 효과는 PEG의 분자량에 비례하여 나타났다. 반면, 염소 이온(Cl-)의 특이흡착이 존재하는 경우 오히려 PEG의 억제 효과는 강화되었다. RDE 분석을 통해 강한 억제 효과는 PEG와 Cl-간의 흡착구조체 형성에 의한 것임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흡착 구조체 형성은 용액 조성에 따라 달라지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소수성 특성이 증가된 PEG 유도체의 경우 억제 효과가 더욱 강화되는 것으로 미루어, PEG와 Cl-간의 흡착 구조체 형성에 PEG의 소수성 특성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Eu-PEG로 구성된 상변환 발광재료의 합성 및 물성에 대한 연구 (Study of Synthesis and Property of Eu-PEG Phase Change Luminescent Materials)

  • Gu, Xiao-Hua;Xi, Peng;Shen, Xin-Yuan;Cheng, Bo-Wen
    • 폴리머
    • /
    • 제32권4호
    • /
    • pp.305-312
    • /
    • 2008
  • A novel TPC-PEG-TPC with active end-groups was obtained from the end-groups of polyethylene glycol (PEG) modified by terephthaloyl chloride (TPC). These active end-groups can link up with a rare earth ion, which is a luminescent center of a rare earth fluorescent complex. Complexes of Eu-PEG with novel ligands (TPC-PEG-PTC) were synthesized by the coordination of the active reactant (as the first ligand) and phenanthroline (as the second ligand) with $Eu^{3+}$.IR, $^1H$-NMR, element analysis, DSC, WAXD, fluorescent spectroscopy, TGA, and SEM were used to characterize the structure and properties of these complexes. The results showed that this type of complex is a heat storage material with the phase change character of polyethylene glycol (PEG) and the luminescent properties of europium. There was no thermal decomposition of the complex of Eu-PEG until $300^{\circ}C$. SEM showed that the complex of Eu-PEG can be dispersed in PE.

PEG(Polyethylene glycol)처리에 의한 국내산 주요 소경재의 치수 안정화에 관한 연구 (Dimensional Stability of Domestic Small-diameter Timbers Treated with Polyethylene Glycol)

  • 권구중;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0권1호
    • /
    • pp.40-47
    • /
    • 2002
  • PEG처리에 의한 국내산 주요 소경재 다섯 수종(소나무, 잣나무, 일본잎갈나무, 신갈나무, 굴참나무)의 치수안정성을 조사하고, 목재내의 PEG분포를 X선회절법에 의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공시수종 모두 PEG 30%의 수용액에서 좋은 치수안정 효과를 보여 주었다. 또한 PEG농도 증가에 따라 PEG처리 목재의 중량증가율과 벌킹효과가 증가하였는데 침엽수재가 활엽수재에 비해 그 정도가 크게 나타났다. X선회절 결과, 잣나무는 만재와 조재 모두 2𝜃 = 19°와 2𝜃 = 23° 부근에서 PEG결정유래의 피크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X선회절 결과는 잣나무재내에 신갈나무재보다 더 많은 양의 PEG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치수안정성이 큰 이유를 설명해 주는 증거의 하나로 생각되었다.

폴리에틸렌글리콜 처리에 의한 백년초, 알로에 절편의 탈수 및 건조와 기존 건조 방법과의 비교 (Dehydration of Opuntia ficus-indica and Aloe vera Slices Using Polyethylene Glycol and Comparison with Other Drying Methods)

  • 유동진;왕숙매;송경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7호
    • /
    • pp.1024-1029
    • /
    • 2010
  • 폴리에틸렌글리콜(PEG) 4,000을 20, 30, 40% 농도로 처리하여 백년초와 알로에 절편을 건조한 후, 열풍건조와 동결건조 처리된 시료와 복원율, 색도, 관능평가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건조시간에 따른 탈수 양은 두 시료 모두 PEG의 농도가 높을수록 탈수효율이 좋았다. 복원율에서는 열풍건조와 동결건조 처리 시료보다 PEG 처리 시료가 더 높은 복원율을 가졌다. 색도에서는 동결건조와 유사하였고 열풍건조보다는 우수하였다. 관능평가에서는 열풍건조나 동결건조보다 PEG 처리한 시료가 더 우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PEG를 이용한 백년초와 알로에 절편의 건조는 시료의 세포파괴를 최소화하고 신선한 시료 본래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는 매우 효율적인 건조방법이라고 판단되며, 건조된 제품을 향후 기능성화장품 원료 등으로의 활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Polyethylene Glycol의 미생물학적 분해 (Microbial Degradation of Polyethylene Glycol)

  • 이종근;이상준;이재동;박송희;박재림
    • 미생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29-334
    • /
    • 1986
  • PEG 6,000을 유일한 탄소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세균을 하천수와 하천부끔의 토양으로부터 분리하였으며 이증 분해능이 우수한 EL-033 isolate-를 Micrococcus sp. 로 동정하였다, Micrococcus sp. EL-033은 mono-ethylene g glycol플 세외한 di-, tri-, tetra-ethylene glycol파 분자량 6,000까지의 PEG닫을 분해하였으며 그 중합도가 높윤 수복 생 앙상태까 좋은 분해특성을 가AI고 있였으며. PEG 20, 000에 대해서도 약간의 분해능음 가지고 있었다. 최적 배지 조성은 PEG 6,000 0.2% $K_2HPO_4$, 0.1% $NaH_2PO_4{\cdot}12H_2O0.1%MgSO_4{\cdot}7H_2O$0,1 %, polypeptone 0,1 %, $MgSO_4$, 0,05 % (pH7,5) 이었다. 생장 최적조건에서 PEG 6,000의 분해는 대수증식기인 48시간 배양하였을때 90%이상의 분 해융플 나타내있으며,72시간 후에 거의 완전히 분해되었다.

  • PDF

소아의 만성 기능성 변비 치료에 polyethylene clycol 4000과 락툴로스의 효과 비교 (Comparison of polyethylene glycol 4000 and lactulose for treatment of chronic functional constipation in children)

  • 엄지현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8호
    • /
    • pp.752-756
    • /
    • 2007
  • 목 적 : 만성 기능성 변비 환아의 치료에서 PEG 4000과 락툴로스의 임상적 효용성에 대해 비교 분석 하였다. 방 법 : 2004년 9월부터 2007년 2월까지 노원 을지병원 소아과에 만성 반복성 복통이나 배변 장애를 주소로 내원하여 만성 기능성 변비로 치료받고 1년간 외래 추적이 가능했던 환아 5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해질이 함유되지 않은 PEG 4000을 투여한 24명의 환아와 락툴로스를 투여한 32명의 환아들을 대상으로 치료 시작시와 치료 1개월, 3개월, 6개월, 1년 후에 각 약물의 효과와 부작용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두 군 모두 배변 횟수가 치료전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5), 복통 또한 치료 전에 비해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P<0.05). 치료를 시작한 시점에서 12개월이 되었을 때 변비와 유분증으로부터의 회복은 PEG 투여군에서는 12례(60%)에서, 락툴로스 투여군에서는 15례(57.7%)에서 있었으며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유소아 만성 변비에서 PEG 4000과 락툴로스는 장기적 유지 요법으로 안전하고 효과적인 약물이며 변비와 유분증으로부터의 회복에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olyethylene Glycol Plus Electrolytes with Stimulant Laxative in Paediatric Faecal Disimpaction: A Randomised Controlled Study

  • Acharyya, Bhaswati C;Bhattacharyya, Chandrayee;Mukhopadhyay, Meghdeep;Acharyya, Saumyabrata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4권2호
    • /
    • pp.230-237
    • /
    • 2021
  • Functional constipation is common in the paediatric population all over the world. Effective disimpaction to evacuate the impacted faecal matter forms an essential initial step in the management of constipation. Though different regimens of polyethylene glycol 3350 with electrolytes (PEG+E) are accepted as the prime medication for disimpaction, response is not always satisfactory. A randomised prospective study was undertaken, in a tertiary paediatric Gastroenterology centre to find out the outcome of a 2-day disimpaction when a stimulant laxative sodium picosulphate was added to PEG3350+E (PEG+E+PS group) and comparing it with the outcome using PEG3350+E (PEG+E group) alone. Hundred and one children were randomised into two groups to receive PEG+E+PS and PEG+E. Results revealed that PEG+E+PS group proved significantly superior to PEG+E group in most of the efficacy-parameters in terms of disimpaction as well as long-term management of constipation. Though stimulant laxatives are being used for disimpaction, comparative data are lacking. This was the 1st such comparative study looking at the efficacy of these two processes of disimpaction along with long term effect on trea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