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chlorinated Dibenzofurans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9초

다이옥신 정도 관리용 CRM 제조와 실험실간 비교평가 (Preparation of a CRM for QA/QC in dioxin analysis and inter-laboratory study)

  • 유병운;문영훈;김민관;경종대;장윤석
    • 분석과학
    • /
    • 제17권2호
    • /
    • pp.153-162
    • /
    • 2004
  • 생활 폐기물 소각장에서 채취한 비산재를 이용하여 다이옥신 정도 관리용 인증표준물질(CRM)을 제조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실시된 실험실 간 비교 평가가 실시되었다. 채취된 비산재는 여러 번의 균질화 과정을 거쳤으며 균질성 시험은 ISO Guide 35에 따른 일원분산분석을 통해 이루어졌고 제조된 CRM에 대한 불확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각 기관의 비산재 농도값과 CRM 농도값을 비교 해 본 결과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PCDDs)는 대부분의 기관이 CRM에 비해 낮은 값을 보였으며 polychlorinated dibenzofurans (PCDFs)는 대부분의 기관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추출액의 경우 이성체 별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의 기관에서 평균에 가까운 값을 나타냈다.

울산만 퇴적물 내 PCDDs, PCDFs, DL-PCBs, PBDEs의 잔류수준과 분포패턴 (Concentrations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PCDDs, PCDFs, DL-PCBs, PBDEs in Sediments from Ulsan Bay)

  • 백승홍;이인석;최민규;이부한;황동운;김숙양;최희구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8권4호
    • /
    • pp.186-194
    • /
    • 2013
  • 울산만 내 퇴적물에 대하여 다이옥신/퓨란류(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dibenzofurans, PCDD/Fs)와 다이옥신류 피씨비(dioxin-like polychlorinated biphenyls, DL-PCBs), PBDEs(polybrominated diphenyl ethers)의 잔류수준을 조사하고 분포를 평가하였다. 33개 정점에서 채취한 퇴적물 중 PCDD/Fs, DL-PCBs, PBDEs는 각각 0.11~4.86(평균${\pm}$표준편차, $1.81{\pm}1.04$) pg $WHO_{2005}$-TEQ $g^{-1}$ 건중량(dw), 0.06~44.2($4.02{\pm}7.99$) pg $WHO_{2005}$-TEQ $g^{-1}$ dw, 2.81~63.8($19.4{\pm}13.9$) ng $g^{-1}$ dw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총 다이옥신류(PCDD/Fs+DL-PCBs)에 대하여 DL-PCBs가 약 88%로 PCDD/Fs에 비해 높은 기여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울산만 내부에 위치한 정점의 퇴적물은 외부 정점에 비해 높은 농도수준을 보였다 (p<0.05). 총 다이옥신류 중 PCDD/Fs는 고염소의 DD/Fs에서 높은 기여율을 차지하였으며, 이성질체의 분포패턴은 연소공정의 영향이 큰 공업지역 퇴적물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DL-PCBs는 PCB77, -105, -118가 주요 이성질체로써, 상업용 PCB 제품과 분포특성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또한, 퇴적물 내 PBDEs 분포에서 BDE209가 주요 이성질체로 나타났으며, 이는 상업용 deca-BDE 제품의 사용량에 의한 영향으로 판단된다.

도시폐기물 소각공장에서의 다이옥신 배출특성(I) - 방지시설의 영향 - (Emission Characteristics of PCDD/Fs in MSW Incinerator(I) - The Effect of Air Pollution Control Device -)

  • 김진범;이우근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10호
    • /
    • pp.1817-1824
    • /
    • 2000
  • 본 연구는 도시폐기물 소각장 배출가스 중의 다이옥신 배출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소각로 내의 각 방지장치에서 측정된 결과에 의하면, 촉매반응탑 입구에서 가장 많은 양의 다이옥신이 측정되었다. 따라서 전기집진기는 다이옥신이 생성되는데 적당한 조건을 제공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이옥신 농도는 계절에 따라 큰 차이를 보여 겨울에 측정된 다이옥신 농도가 가을 보다 높았는데, 도시폐기물의 조성, 소각로 운전조건 등이 다이옥신 생성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제시해 준다.

  • PDF

생활폐기물 소각장 작업복 샘플의 다이옥신 분석 (Determination of PCDD/F in Working Clothes of a Municipal Waste Incineration)

  • 박순자;신정화;신정숙;정명희;안윤경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54-363
    • /
    • 2004
  • PCDD/F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and dibenzofurans) in both of treated fabric and untreated fabric for working clothes of a municipal waste incineration were determinated. The treated fabric for working clothes was developed for less exposure of PCDD/F in municipal waste incinerations. The total concentrations of PCDD/F in some parts such as surface, middle layer, inside for treated and untreated fabric were investigated. The I-TEQ value of surface was 0.23370ng TEQ/g for treated fabric, 0.15355ng $.$ TEQ/g for non-treated fabric. On the other hand, the value of middle layer was 0.00077ng $.$ TEQ/g, 0.00177ng $.$ TEQ/g, respectively. The surface of the treated fabric containing high levels PCDD/F was caused by absorption of them. Therefore, PCDD/F of the treated fabric in middle layer was less I-TEQ value than that of the untreated fabric. The treated fabric makes effect on preventing PCDD/F from permeating into human body.

국내 일부 소각장 근로자와 주변지역주민들의 PCDDs/Fs 노출과 건강 영향 평가 (Exposure Assessment of PCDD/Fs and Monitoring of Health Effects on Workers and Resident near the Waste Incinerators in Korea)

  • 홍윤철;이관희;권호장;장재연;임종한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6권4호
    • /
    • pp.314-322
    • /
    • 2003
  • Objectives : In this study, the exposure status of the hazardous substances from incinerators, such as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PCDDs) and polychlorinated dibenzofurans (PCDFs), were studied ,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osure of these hazardous substances and their heath effects on the workers and residents near municipal solid waste (MSW) incinerators and an industrial incinerator investigated. Methods : Between July 2001 and Jure 2002, 13 workers at two MSW incinerators, 16 residents from the area around the two MSW incinerators, 6 residents from the control area, and further 10 residents near an industrial incinerator, estimated to emit higher levels of hazardous substances, were interviewed. Information, including sociodemographic information, personal habits, and work history, detailed gynecologic and other medical history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Blood samples were also collected from 45 subjects, and analyzed for PCDD/DFs, by high resolution gas chromatography -high resolution mass spectrometry, using the US EPA 1613 method. In addition to the questionnaire survey, urinary concentrations of 8-hydroxydeoxyguanosine (8-OH-dG) and malondialdehyde (MDA) were measured as oxidative injury biomarkers. The urinary concentrations of 8-OH-dG were determined by in vitro ELISA, and the MDA by HPLC, using u adduct with thiobarbituric acid. Results : The PCDD/DFs concentrations in the residents near the industrial incinerator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s, workers and residents near the MSW incinerators. The average TEQ (Toxic Equivalencies) concentrations of the PCDD/DFs in residents near the industrial incinerator were 53.4pg I-TEQs/g lipid. The estimated daily intakes were within the tolerable daily intake range (1-4 pg I-TEQ/Kg bw/day) suggested by WHO (1997) in only 30% to the people near the industrial incinerator. Animal studies have already shown that even a low body border of PCDD/DFs, such as 10 ng TEQ/kg bw, can cause oxidative damage in laboratory animals. Our study also showed that the same body burden of PCDD/DFs can cause oxidative damage to humans. Conclusions : The exposures to PCDD/DFs and the oxidative stress of residents near the industrial incinerator,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s, workers and residents near the MSW incinerators. Proper protection strategies against these hazardous chemicals are needed. Because a lower body burden of PCDD/Fs, such as 10ng TEQ/kg bw, can cause oxidative damage, the tolerable daily intake range should be restrictedly limited to 1pg I-TEQ/kg bw/day.

수동 및 자동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칼럼에 의한 PCDDs/Fs 및 다이옥신과 유사한 PCBs의 용출 패턴 비교 (Comparison of the elution patterns for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dibenzofurans (PCDDs/Fs) and dioxin-like polychlorinated biphenyls (PCBs) by manual open columns and automatic parallel LC columns)

  • 안윤경;신정화;유선영;김지형;홍종기
    • 분석과학
    • /
    • 제18권1호
    • /
    • pp.13-2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다이옥신류의 정제과정으로 수동 및 자동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칼럼을 이용하여 PCDDs/Fs 17종과 다이옥신과 유사한 PCB 12종의 용출 패턴을 비교, 분석하였다. 수동 알루미나 칼럼에서는 29종의 화합물이 같이 용출되어 분리되지 않았으나 자동화 칼럼의 경우 mono-ortho-PCB로부터 PCDDs/Fs 및 non-ortho PCB를 분리할 수 있었다. PAR (Precision And Recovery) 표준용액으로 조사한 다이옥신류와 PCB의 회수율은 각각 수동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칼럼에서 61.9 ~ 96.0%, 70.4 ~ 79.0%였으며, 자동화 칼럼의 경우는 71.8 ~ 104.5%, 61.3 ~ 120.3% 이었다. DB-5MS 칼럼에서 분리되지 않는 #169-HxCB와 1,2,3,7,8-PeCDD은 EPA 1613 방법 중 선택이온의 비를 M+2/M+4 대신 M/M+2로 변경하여 HRGC/HRMS 분석에서 1,2,3,7,8-PeCDD와 #169-HxCB의 구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우리 나라 시판 식품을 통한 다이옥신 섭취량 평가 (Estimation of Dietary Daily Intake of PCDDs/PCDFs from Korean Retail Food)

  • 김경심;김종국;김만영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1345-1355
    • /
    • 2000
  • 인간은 주로 식품을 통해 다이옥신에 폭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우리 나라에서는 다이옥신의 섭취량에 대한 조사뿐만 아니라 일반 환경시료 중 다이옥신 잔류 농도에 대한 실태파악조차도 매우 적은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에서 시판되고 있는 식품 중 다이옥신 잔류실태를 조사하고 이 결과를 이용하여 식품을 통한 1일 다이옥신 섭취량을 평가하였다. 10종의 식물성 식품과 9종의 동물성 식품을 대상으로 다이옥신 잔류 농도를 분석한 결과 다이옥신 농도는 0.02(우유)~5.39(멸치) pg/g의 범위였으며 TEQ농도는 0.0008~0.3153 pgTEQ/g의 범위로 개별 식품별 농도는 어패류, 육류, 채소류, 곡류, 과일류, 우유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우리 나라 국민의 1일 다이옥신 섭취량은 37.7 pgTEQ/day로서 우리 나라 성인의 평균체중 50kg을 기준으로 환산하면 약 0.75 pgTEQ/kg/day의 다이옥신을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수치는 외국에 비해 다소 낮은 수준이었고 어패류의 섭취가 다이옥신 폭로의 주요한 경로인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평택지역 대기 중 먼지 입경별 잔류성유기오염물질 분포특성 연구 (Distribution of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 in Different Sizes of Particles in the Ambient Air of the Pyeongteak Area)

  • 김동기;우정식;김용준;정해은;박주은;조덕희;문희천;오조교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92-203
    • /
    • 2020
  • Objectives: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s of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and dibenzofurans (PCDD/Fs), dioxin-like polychlorinated biphenlys (dl-PCBs), and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in fine particles were investigated to provide basic data on POP behavior and composition analysis. Methods: The concentrations of PCDD/Fs, dl-PCBs, and PAHs by particle size were evaluated for TSP, PM10, and PM2.5. Also, fine dust component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 source of PCDD/Fs. Results: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was found to account for 24.3% of >10 ㎛, 14.5% of 2.5-10 ㎛, and 61.2% of <2.5 ㎛. The average contributions of coarse particles (>2.5 ㎛) and fine particles (<2.5 ㎛) were PCDD/Fs 67%, dl-PCBs 66%, benzo (a) pyrene 83% and PAHs 84%, and the contributions of fine particles (<2.5 ㎛) were higher than coarse particles (>2.5 ㎛). However, the contributions of coarse particles increased in April to September with higher temperatures, while those of fine particles increased in February to March with lower temperatures. Conclusions: Low chlorinated (4Cl-5Cl) PCDD/Fs were more adsorbed compared to coarse particles due to the influence of pollutant migration from particulate to gas phase according to temperature rise, whereas high chlorinated (6Cl-8Cl) PCDD/Fs were more adsorbed compared to fine particles. PCDD/Fs sources were assessed to be major sources of emissions, such as incineration facilities and/or open burning.

폐지와 폐목재에서의 잔류성 유기오염물질의 농도 및 배출원 추정 (Levels of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in Waste Paper and Waste Lumber and Evaluation of their Sources)

  • 황인규;이인석;오광중;김지원;박흥석;오정은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9호
    • /
    • pp.870-878
    • /
    • 2010
  • 본 연구는 산업 현장에서 나오는 폐지, 폐목재에 함유되어 있는 17종 PCDD/Fs, 12종 Co-PCBs, 16종 PAHs 농도 수준과 이들의 발생원 추적을 위해 수행되었다. 농도 수준은 폐지와 폐목재 순으로 PCDD/Fs는 9.69~176.77 pg/g-dry, 0.14~0.25 pg/g-dry, Co-PCBs는 109.95~4097.25 pg/g-dry, 28.23~59.88 pg/g-dry, PAHs는 9.30~52.18 ng/g-dry, 0.82~1.82 ng/g-dry로 조사되었으며, 모든 대상물질은 폐목재보다 폐지에서 더 높은 농도로 검출되었다. PCDD/Fs 중 OCDD가 가장 높은 농도로 검출되었으며, 소각로 배출가스 중 다이옥신과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Co-PCBs 이성질체 분포 패턴은 상용 PCB 제품의 이성질체 분포패턴과 유사하게 나타나 이로 인한 오염으로 판단되었고, PAHs의 경우 특정 화합물의 농도비를 이용하여 추정한 결과 폐기물 소각과 같은 연소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도시 소각로 시설의 고형 쓰레기 연소 후 생성된 바닥재 시료에 대한 다이옥신과 퓨란류의 분석 (Analysis of Dioxins and Furans from Bottom Ash Produced in an Municipal Solid Waste Incinerator)

  • 장윤석;홍종기;김진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39권7호
    • /
    • pp.513-523
    • /
    • 1995
  • 다이옥신은 환경에 미량으로 존재하며 직접, 간접적인 경로를 통해 인체로 들어와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는,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잔류성과 독성이 강한 오염물질이다. 쓰레기 처리를 위한 소각로 시설은 다이옥신에 대한 대기오염의 주원인으로 알려져 있는데 연소시 소각로내에서와 배기가스 제어과정 중 다이옥신이 발생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쓰레기 소각로에서 연소 후 생성된 바닥재 시료를 채취하여 다이옥신과 퓨란류를 조사하였다. 시료의 전처리는 EPA방법을 개선하여 불필요한 과정을 생략하면서 높은 회수율을 유지하였고 최종 정량은 고분해능 기체 크로마토그래피/고분해능 질량분석기(HRGC/HR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바닥재 시료를 분석한 전체 다이옥신의 양은 8.05 ng/g, 퓨란은 4.75 ng/g정도이었으며 2,3,7,8-TCDD는 6.93 pg/g이 검출되었고 염소원자 가 6~7개 치환된 다이옥신과 퓨란이 가장 많이 검출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