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chlorinated Biphenyls

검색결과 221건 처리시간 0.023초

Association between pesticide and polychlorinated biphenyl exposure during pregnancy and autism spectrum disorder among children: a meta-analysis

  • Mehri, Fereshteh;Bashirian, Saeid;Khazaei, Salman;Jenabi, Ensiyeh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4권6호
    • /
    • pp.286-292
    • /
    • 2021
  • Background: The effect of exposure to environmental factors on autism spectrum disorders (ASD), especially during pregnancy, is unclear. Purpose: This meta-analysis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exposure to pesticides and polychlorinated biphenyls (PCBs) during pregnancy and ASD risk among children. Methods: We searched Scopus, PubMed, Web of Science, and ProQuest for articles published through September 2019. Random-effects models were us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among studies using pooled odds ratios (ORs) and their 95% confidence intervals (CI). I2 tests were used to measure interstudy heterogeneity. Results: The pooled OR indicated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PCB and pesticide exposure during pregnancy and ASD risk among children (OR, 1.80; 95% CI, 1.26-2.34; and OR, 1.20; 95% CI, 1.02-1.39), respectively. Conclusion: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exposure to pesticides and PCBs during pregnancy may affect the risk of ASD among children.

Application of Calux Bioassay for Determining Dioxin Toxicity Equivalents

  • Joung, Ki-Eun;An, Jin-Young;Sheen, Yhun-Yhong
    • 한국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독성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72-173
    • /
    • 2003
  • There are growing concerns about human health effects of dioxin and dioxin like compounds such as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PCDDs), polychlorinated dibenzofurans (PCDFs), and polychlorinated biphenyls (PCBs). Earlier studies recognized that 2.3.7.8-tetrachloro dibenzo-p-dioxin (TCDD) and structually related dioxin like compounds invoke a number of common toxic responses that are mediated through a high-affinity cytosolic receptor protein, the AhR.(omitted)

  • PDF

낙동강 유역에 서식하는 붕어와 황소개구리 체내의 Polychlorinated biphenyls의 축적도와 분포특성 (Accumulation Levels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Polychlorinated Biphenyls in Crucians and Leopard Frogs from the Nakdong River Basin)

  • 문지용;이성인;송희영;이경진;최경희;정기호
    • 분석과학
    • /
    • 제17권4호
    • /
    • pp.347-354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과 그 유역에 서식하는 붕어와 황소개구리 체내의 polychlorinated biphenyls (PCBs)의 축적도와 분포특성을 조사하였다. 낙동강의 구미부터 하구언까지 모두 5개 지점에서 붕어와 황소개구리를 채집하였으며, 이들의 근육 부분을 최종 분석시료로 하였다. PCBs의 정량분석은 GC-MSD 시스템으로 처리하였으며, PCBs 총농도를 대변할 수 있는 62개 congener를 분석항목으로 선정하였다. 붕어에서는 모두 24개의 congener가 검출되었고 총 PCBs 농도는 0.74~5.41 ng/g wet weight 범위로 나타났다. 황소개구리에서는 낙동강 하구언 1개 지점에서 단지 2개의 congener가 검출되었고 그 농도도 0.24 ng/g wet weight로서 붕어보다 약 22배 정도 낮게 검출되었다. 전체적으로, PCB 153이 가장 높게 검출된 congener이고, penta- 및 hexa-CBs가 총 PCBs의 78%를 차지하였다.

Polychlorinated Biphenyl의 작물-토양간 흡수 이행성 (Translocation of Polychlorinated Biphenyls in Carrot-Soil Systems)

  • 임도형;임다솜;금영수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03-210
    • /
    • 2016
  • Polychlorinated biphenyls는 잔류성 환경 오염물질로서 내생호르몬 대사 교란 효과를 포함한 다양한 생리독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당 물질의 환경 동태에 관한 연구는 토양 중, 분해소실과 관련된 연구가 주로 수행되었으며, 한편 생물과 관련 연구는 동물 중, 대사 및 독성 작용에 대한 연구를 대상으로 실시되어 왔다. 이와 같은 연구는 주로 Aroclor 등, 혼합물을 위주로 진행되었으며, 따라서 개별 이성질체에 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용해도 및 염소 치환체의 위치가 상이한 polychlorinated biphenyl 이성질체 5종을 합성하여, 토양 중 분포 및 당근으로의 이행에 관련한 분해-소실 및 생물농축 과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Biphenyl 및 polychlorinated biphenyl 이성질체의 토양 중 반감기는 biphenyl, PCB-1, PCB3, PCB-77 및 PCB-126에 대하여 각 20.2, 16.0, 11.6, 46.5 및 198.0일이었으며, 지용성이 강한 이성질체일수록, 반감기가 길게 나타났다. 한편 당근 중 biphenyl, 및 polychlorinated biphenyls 농도는 PCB-126을 제외한 시료에서 식재 후, 10-20일 내외에 최고 농도에 도달하여, 0.4-2.6 mg/kg의 농도가 식재 후 90일까지 유지되었으며 당근-토양간 PCB의 농도비는 90일 경과 시료의 경우 biphenyl, PCB-1, PCB-3, PCB-77, 및 PCB-126에 대하여 각각 1.7, 8.1, 1.9, 1.8, 5.9로 나타났다. 일정 경과 시간 후 농도비가 상기와 같이 유지되는 현상은 당근의 비대생장에 따른 희석효과에 따른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당근에 흡수된 PCBs의 총량은 재배기간 중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PCB-126의 경우, 90일 경과시 토양 잔류량 대비, 1.1%가 당근에서 검출되었다.

Polychlorinated Biphenyl의 토양 미생물 Aspergillus niger에 의한 생분해 경로 (Biodegradation Pathways of Polychlorinated Biphenyls by Soil Fungus Aspergillus niger)

  • 김창수;임도형;금영수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13
    • /
    • 2016
  • Polychlorinated biphenyl은 현재 대부분의 사용 금지된 염소계 농약과 함께, 대부분의 환경 매질에서 매우 일반적으로 검출되는 잔류성 유기물로서, 209종의 이성질체가 존재하며, 내생호르몬 교란 효과 등, 다양한 생리 독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당 물질군의 환경 중, 분해소실과 관련된 연구는 주로 토양 등의 복잡한 매질을 주요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또한 개별 이성질체에 관한 연구보다는 Aroclor 등, 혼합물 위주의 연구가 수행되었다. 한편 개별 이성질체에 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polychlorinated biphenyl 이성질체 중, 구조적 특성이 상이한 5종의 이성질체를 합성하여, 토양 중 일반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미생물인 Aspergillus niger에 의한 대사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Biphenyl 및 polychlorinated biphenyl 이성질체 중, biphenyl, PCB-1, 및 PCB-3은 A. niger에 의하여 매우 빠른 속도로 대사되어 배양 7일 후, 38-65% 내외의 모화합물이 수용성 대사물로 전환되었으나, PCB-38의 경우, 극소량의 대사물이 형성되었고(2%), PCB-126은 모화합물의 대사가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염소 치환기가 ortho-위치에 존재하는 PCB-1과 para-위치에 존재하는 PCB-3의 대사속도를 비교한 결과, PCB-3의 대사 속도가 현저히 큰 값을 보였으며, 이는 biphenyl ring의 3차원 형태와 관련된 것으로 생각된다. 미생물 반응 중, 형성된 주요 대사물은 mono- 및 di-hydroxy PCB로 사료되며, 해당 물질의 독성화학적 성상은 지속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국내생산 주곡작물의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Polychlorinated Dibenzofurans와 Dioxin-like Polychlorinated Biphenyls 잔류량 및 섭취노출량 평가 (Investigation on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Polychlorinated Dibenzofurans and Dioxin-like Polychlorinated Biphenyls of Grains and Estimation of Dietary Intake for Korean)

  • 최근형;최달순;홍수명;권오경;은희수;김정한;김진효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5권4호
    • /
    • pp.253-261
    • /
    • 2012
  • PCDD/Fs 및 DL-PCBs는 농식품 잔류 유해물질 중 높은 생물독성 및 생물농축성으로 안전성 우려가 높아 많은 연구자들이 관심을 갖는 유해물질들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오염조사연구는 지방함유량이 높은 육류 및 수산물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다소비 농산물인 곡류를 대상으로 한 다이옥신 잔류분석 연구결과가 부족하여 식이섭취를 통한 다이옥신류 노출평가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17종의 PCDD/Fs 및 14종의 DL-PCBs에 대하여 2010년산 쌀과 2011년산 보리에 대한 잔류 분석 및 이를 통한 한국인의 일일 섭취노출량을 조사하였다. 전국 8개 도에서 채취한 36점의 백미시료와 전남 및 전북에서 채취한 7점의 보리시료에 대한 잔류분석결과 백미 중 다이옥신류의 각 도별 평균 잔류량은 2.98-4.98 pg/g w.w.이었으며, 보리의 다이옥신류 평균 잔류량은 3.00-3.24 pg/g w.w.로 확인되었다. 쌀과 보리를 통한 국민 1인당 다이옥신 섭취노출량은 1.03 pg-TEQ/day/person와 0.0534 pg-TEQ/day/person 수준이었고, 이를 한국인 평균체중 55 kg을 기준으로 환산할 경우 Lower bound 시나리오의 경우 TDI대비 0.46와 0.03%였으며, Upper bound 시나리오의 경우 5.5와 0.18%로 국내산 쌀과 보리를 통한 다이옥신류 노출기여도는 미미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