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chaete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24초

어류양식장 이전 후 저서다모류 군집 변화 (Changes in Benthic Polychaete Community after Fish Farm Relocation in the South Coast of Korea)

  • 박소현;김선영;심보람;박세진;김형철;윤상필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943-953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어류가두리양식장 시설의 재배치 이후 기존 양식장 아래 퇴적물의 회복상태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양식장 아래 퇴적물과 저서다모류 군집 조사를 수행하였다. 양식장 철거 이전인 2017년 10월에 사전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양식장 철거 이후인 2017년 11월부터 2018년 10월까지는 매달, 이후 2020년 10월까지는 2 ~ 3달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조사 정점은 철거된 양식장 위치에 3개 정점(Farm1 ~ 3)과 양식시설물이 없는 주변 해역에 3개의 대조 정점(Con1 ~ 3)으로 선정하였다. 사전 조사에서 기존 양식장의 총유기탄소(평균 22.67 mg·g-1 dry weight)는 대조 정점(평균 13.68 mg·g-1 dry weight)보다 높았으나, 양식장 철거 이후 점차 감소하여 약 1년 이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저서다모류 군집은 여름철 기존 정점에서 무생물 군집이 출현하였으며, 무생물 시기 이후 오염지시종인 Capitella capitata 단일종이 극우점하는 낮은 다양도의 군집으로 천이하였다. 다음해 여름철 무생물 시기 이전까지 종다양도가 증가하고 오염지시종의 비율이 감소하여 저서다모류 군집이 회복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변화는 매년 반복되었다. 연구 지역은 양식장 아래의 지형학적인 특성으로 인하여 매년 무생물 군집이 출현하고 있으나, 조사가 진행될수록 무생물 발생 기간은 짧아지고, 군집이 회복되는 과정은 빠르게 진행되었다. 어류 양식장의 이전 후 기존 양식장 정점의 퇴적물은 생물학적인 회복이 여전히 진행 중이며, 추가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회복의 경향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光陽灣의 多毛類群集에 관한 硏究 (A Study on the Polychaete Community Kwangyang Bay, Southern Coast of Korea)

  • 최진우;고철환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53-162
    • /
    • 1984
  • 본 연구의 목적은 潮下帶 軟性低質에 서식하는 多毛類 群集을 중심으로 이들의 종조성, 종다양성, 별 분포의 특징 및 食餌型 등과 환경과의 관계를 논의 코져 함이다. 대상자는 光陽灣으로 만내의 25개 조사기점을 선정, 1982년 7월에 조사가 실시되었다. 출현 다모류는 총 63속 70종으로 개체수의 견지에서 중요 출현종은 Lagis bocki (20%), Lumbrineris longifolia (10%), Chohe teres (7%), Sternaspis scutata (5%) 등이다. 최적물상에 따른 多毛類의 출현개체수는 泥沙質 에서 가장 높으며 泥質퇴적상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食餌형에 따른 출현개체수로는 表層下堆積物食者가 광양만 전체에 걸쳐 우세하게 나타나고 (58.4%), 表層堆積物食者(21.4%), 肉食者(11.1%), 濾過食者(9.1%) 순으로 그 출현 빈도가 감소한다. 光陽灣의 다모류군집은 현존량, 우점종, 종다양성 및 食餌型조성 등의 결과에 의해 沙質환경의 델타군집, 泥質환경의 內灣군집 및 泥沙質환경인 水路군집 등 3개 군집으로 대별된다. 各 多毛類 群集에 影響을 주는 환경요인을 보면 델타지역의 다모류 群集은 沙質퇴적상과 강한 潮流에 의한 堆積物의 不安定性, 낮은 有機物 含量에 의한 먹이부족 등이며, 內灣지역의 다모류군집은 퇴적물내 溶存酸素의 부족에 의해, 水路 지역의 다모류군집은 외부로부터의 먹이공급,저질의 다양한 미도조성,종간경쟁,포식,간철다모류에 의한 퇴적물의 안전성등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다.특히 이.화학적 환경조건이 유사한 곳에서는 생물학적인 상호작용이 다모류 군집구조에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 PDF

Scolelepis (Scolelepis) kudenovi (Polychaeta: Spionidae) new to Korea

  • Choi, Hyun Ki;Yoon, Seong Myeong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5권3호
    • /
    • pp.355-358
    • /
    • 2016
  • A spionid polychaete, Scolelepis (Scolelepis) kudenovi Hartmann-Schroder, 1981, is newly reported from Korean waters with description and illustration. Scolelepis (Scolelepis) kudenovi is characterized by a combination of the following morphological features: the notopodial setae are present on the setiger 1; the occipital tentacle is absent; the branchiae are partially fused to the notopodial postsetal lamellae; the notopodial and neuropodial hooded hooks are bidentate only; the notopodial hooded hooks are present on the posterior setigers. A key to Scolelepis species from Korean waters is provided in this paper.

실험실 사육에 의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 Perinereis aibuhitensis(Grube)의 저질 선택성과 굴의 형태 (Sediment Preference and Burrow Shape of the Polychaete, Perinereis aibuhitensis according to the Laboratory Culture)

  • 강경호;이재학;유성규;장영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34-639
    • /
    • 1997
  • 한국산 갯지렁이류 중에서 산업적으로 가장 중요한 청충의 양식기법 개발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청충의 서식생태에 관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청충은 입경이 0.10mm 이하인 저질에서 가장 좋은 일간 성장률과 생존율을 보였다. 2. 유리 수조 실험 결과, 청충이 저질 속에 잠입하여 만든 굴의 형태는 J형, L형, O형, S형, Y형 및 I형 등이 었고, 한 개의 굴에 한 개체가 서식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배설시 청충의 체위는 굴 속에서 두부와 미부를서로 반전하여 항문을 굴밖의 저질 표면에 노출 시킨채로 배설하였다. 3. 청충이 저질속에 잠입하는 깊이는 10cm 전후의 저질이며, 먹이를 먹기 위해서는 굴 밖으로 몸체를 완전히 이탈하여 이동하였다.

  • PDF

광양만 다모류군집의 시.공간적 변화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f Polychaete Community in Kwangyang Bay, Southern Coast of Korea)

  • 신현출;고철환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05-216
    • /
    • 1990
  • 1987∼1988년의 4계절에 한국 남해안에 위치하는 광양만의 다모류군집을 조사하 고, 이를 1982년의 연구결과(최, 1984)와 비교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다모류군집의 변화를 기술하고 이러한 변화를 유발한 원인에 대하여 토의하였다. 조사결과 총 79종, 평균 520ind.m/SUP -2/ 의 다모류가 채집되었으며 주로 주수로지역과 모도 북수로지역 에서 종조성이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주요 우점종은 longifolia (28.2%), Nephtys polybranchia (16.3%) Stermaspis scutata (8.3%)등이었다. 1987년 여름과 1982년 여 름의 다모류군집을 비교하면 1982년에 최우점종이었던 Lagis bocki, Chone teres가 1987년에는 거의 소멸하고, 반면에 Lumbrineris longifolia, Nephtys polybranchia, Terebellides horikoshii, Sternaspis scutata 등의 서식밀도가 2배 이상 증가한 것이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다. 1982년 묘도 북수로지역은 Lagis bocki가 집중적으로 출현함 으로써 여타 지역과 뚜렷이 구별되었으나, 1987년에는 이 지역에서 완전히 소멸하여 주수로지역과 종조성에 있어서 상당히 유사해졌다. 서부내만지역은 1982년에는 주수로 지역과 군집조성이 비슷하였으나 1987년에는 L.longifolia가 사라지고 대신에 S. scutata, Tharyx sp.가 집중적으로 출현하여 주수로지역과 확연히 구별되었다. 광양만 다모류군집의 종조성에 있어서 지역간 및 1982년, 1987년의 차이는 섬진강 하구의 삼 각주에서 행해진 대규모 간척공사와 북수로지역의 준설공사로 인한 영향으로 생각된 다. 즉, 공사 후 지형이 변하고 이 때문에 조류의 유속과 같은 수리적 환경이 변화되 었고 이는 퇴적환경의 변화를 초래하여 광양만에 서식하는 다모류군집의 변화에 영향 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예를 들면, 묘도 북수로 지역에 대량 번성했던 Lagis bocki는 간척, 준설공사에 의한 서식지 교란으로 이 지역에서 완전히 소멸되었으며 서부내만지 역에는 간척공사 등에 의해 만내 조류의 유통이 극히 불량하여져서 세립질 퇴적물이 계속 침전되었게, 이 결과 S. scutata, Tharyx sp.가 우점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 PDF

Regulatgion of the Transport of Vitellogenin by Heterotrimeric G-Proteins during Oogenesis of a Polychaete, Pseudopotamilla occelata

  • 이봉경;이양림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2권1호
    • /
    • pp.93-97
    • /
    • 1998
  • Coelomoic fluid protein (CP), a vitellogenin contained in the coelomic fluid of polychaetes, is transported by receptor-mediated endocvtosis that is controlled by GTP-binding proteins. Transport of 125l-CP was markedly inhibited by AlF4 and toxins such as cholera toxin and pertussis toxin. These effects appear to be mediated by cAMP, since 125l-CP transport was also greatly inhibited by dibutyryl cAMP. Th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hetero trimeric G-protein is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125l=CP transport through the activation of adenylyl cyclase. Immunoblotting tests with antibodies against Gsa and Gia subunits showed a Gsa subunit of 45 kDa in the membrane of oocytes of intermediate and large size classes and a Gia subunit of 41 kDa only in the oocytes of the intermediate size class.

  • PDF

한국미기록 날씬바늘갯지렁이 Drilonereis filum (Claparede, 1868) (New Record of Drilonereis filum (POLYCHAETA : ARABELLEDAE) in Korean Coastal Waters)

  • 백의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28-531
    • /
    • 1997
  • 1995년 10월부터 1996년 10월 사이에 충청남도 서산군 대산면 독곳리, 태안군 근흥면 생금포, 전라북도 김제군 광활면 옥포리, 전라남도 무안군 해제면 도리포 및 무안군 망운면 원동리의 서해 연안 펄질에서 채집된 날씬바늘갯지렁이 Drilonereis filum (Claparede, 1868)가 한국 미기록종이었으므로 이 종을 기재하고 바늘갯지렁이 속 Drilonereis Claparede, 1870도 우리 나라 다모환충류상에 처음 추가되므로 속이 가입되는 홍점갯지렁이과 Arabellidae의 속검색표도 새로 작성하였다. 본 종이 추가되므로, 한국산 홍점갯지렁이 과는 모두 2속 2종이 된다.

  • PDF

Prediction of Sediment-Bound Metal Bioavailability in Benthic Organisms: Acid Volatile Sulfide (AVS) Approaches

  • Song, Ki-Hoon
    • 환경생물
    • /
    • 제20권2호
    • /
    • pp.101-108
    • /
    • 2002
  • Benthic organisms dwell in sediment-water interface that contains significant amount of organic and inorganic contaminants. Their feeding behavior is highly related with sediment itself and pore water in the sediments, especially in ease of deposit feeder (i.e. polychaete, amphipod). The acid volatile sulfide (AVS) is one of the important binding phases of sediment-bound metals in addition to organic matter and Fe and Mn oxide fractions in sediments, particularly in anoxic sediments. The AVS model is a powerful tool to predict metal bioavailability and bioaccumulation in benthic organisms considering SEM/AVS mole ratios in surficial sediments. However, several biogeochemical factors must be considered to use AVS model in the sediment-bound metal bioavailability.

한국 미기록 채찍상모갯지렁이 Cossura brunnea FAUCHALD, 1972 (NEW Record of Cossura brunnea (POLYCHAETA : NEREIDAE) in Korean coastal waters)

  • 백의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48-151
    • /
    • 1997
  • 동해안 영일만의 입구부인 칠포, 입암 대동배 및 대보에서 말잘피 Phyllospadix japonicus의 뿌리부분에서 채집한 채찍상모갯지렁이 Cossura brunnea Fauchald, 1972가 한국 미기록종이었으므로 이 종을 기재하고, 상모갯지렁이과 Cossuridae Day, 1963도 우리 나라 다모환충류상에 처음으로 추가되므로 과 검색표도 새로 작성하였다. 본 종이 보고되므로 한국산 상모갯지렁이 과는 1속 1종이 된다.

  • PDF

바위털갯지렁이(Marphysa sanguinea) 유생 방출에 미치는 환경특성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n Larval Release of Rockworm Polychaete Marphysa sanguinea)

  • 김경훈;;김홍진;김창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486-492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semilunar rhythm and atmospheric pressure, and the release of Marphysa sanguinea larvae. During artificial seed production in a temperature-regulated culture system,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released larvae at tide times between 3-4 and 9-11. Numbers of larvae released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idal rhythms. Atmospheric pressure also appeared to influence larval release, with increased numbers released when a period of high atmospheric pressure followed a period of low press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