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f Polychaete Community in Kwangyang Bay, Southern Coast of Korea

광양만 다모류군집의 시.공간적 변화

  • Published : 1990.12.0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omposition and the distribution of the polychaete community in Kwangyang Bay during 1987-1988, and to deduce causal factors of temporal changes in community by the comparison with the results of 1982 (Choi, 1984). In the present study, the Polychaetes comprised a total of 79 species, and had a mean density of 520 ind. $.$m/SUP -2/. They showed high abundance and species diversity in the main tidal channel and the north channel of Myodo. The most abundant polychaete was Lumbrineris longifolia (28.2%), and followed by Nephtys polybranchia (16.3%) and Stermaspis scutata (8.3%). Comparing the polychaete community in summer of 1987 with that in summer of 1982, Lagis bocki and Chone teres, the most dominant species in 1982, disappeared in 1987, while Lumbrineris longifolia, Nephtys polybranchia, Terebellides horikoshii, and Sternapis scutata experienced above twice increases in densities. the community in the north channel was distinguished from those in other regions by the high abundance of L. bocki in 1982, but was similar to that of the main channel by the disappearance of L. bocki in 1987. The community in the western inner bay was similar to that of the main channel in 1982, but became to be distinguished by the disappearance of l. longifolia and the high densities of S. scutata and Tharyx sp. in 1987. The temporal change in species composition and regional difference might be induced by the combined effects in the changes of hydrologic and sedimentary environments owing to the reclamation on the delta of Seomjing River and the dredging of the north chnnel.L.bocki in the north chnnel vanished after the habitat disturbance by the reclamation and dredging.S.scutata and Tharyxsp.dominated in the western inner bay because of the accumulationfo fine sediments through weakenend durrent flow by the obstruction of a new bank constructed on the delta.

1987∼1988년의 4계절에 한국 남해안에 위치하는 광양만의 다모류군집을 조사하 고, 이를 1982년의 연구결과(최, 1984)와 비교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다모류군집의 변화를 기술하고 이러한 변화를 유발한 원인에 대하여 토의하였다. 조사결과 총 79종, 평균 520ind.m/SUP -2/ 의 다모류가 채집되었으며 주로 주수로지역과 모도 북수로지역 에서 종조성이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주요 우점종은 longifolia (28.2%), Nephtys polybranchia (16.3%) Stermaspis scutata (8.3%)등이었다. 1987년 여름과 1982년 여 름의 다모류군집을 비교하면 1982년에 최우점종이었던 Lagis bocki, Chone teres가 1987년에는 거의 소멸하고, 반면에 Lumbrineris longifolia, Nephtys polybranchia, Terebellides horikoshii, Sternaspis scutata 등의 서식밀도가 2배 이상 증가한 것이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다. 1982년 묘도 북수로지역은 Lagis bocki가 집중적으로 출현함 으로써 여타 지역과 뚜렷이 구별되었으나, 1987년에는 이 지역에서 완전히 소멸하여 주수로지역과 종조성에 있어서 상당히 유사해졌다. 서부내만지역은 1982년에는 주수로 지역과 군집조성이 비슷하였으나 1987년에는 L.longifolia가 사라지고 대신에 S. scutata, Tharyx sp.가 집중적으로 출현하여 주수로지역과 확연히 구별되었다. 광양만 다모류군집의 종조성에 있어서 지역간 및 1982년, 1987년의 차이는 섬진강 하구의 삼 각주에서 행해진 대규모 간척공사와 북수로지역의 준설공사로 인한 영향으로 생각된 다. 즉, 공사 후 지형이 변하고 이 때문에 조류의 유속과 같은 수리적 환경이 변화되 었고 이는 퇴적환경의 변화를 초래하여 광양만에 서식하는 다모류군집의 변화에 영향 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예를 들면, 묘도 북수로 지역에 대량 번성했던 Lagis bocki는 간척, 준설공사에 의한 서식지 교란으로 이 지역에서 완전히 소멸되었으며 서부내만지 역에는 간척공사 등에 의해 만내 조류의 유통이 극히 불량하여져서 세립질 퇴적물이 계속 침전되었게, 이 결과 S. scutata, Tharyx sp.가 우점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