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butadiene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6초

HTPB계 고체추진제의 경화 특성에 관한 연구 (Curing Properties of HTPB-based Solid Propellants)

  • 전수아;안지훈;서항석;김한준;박의용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28-33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Hydroxyl terminated polybutadiene(HTPB)계 고체 추진제의 경화 온도와 당량비 변경에 따른 경화 특성을 고찰하였다. 또한, Triphenyl bismuth(TPB), Maleic anhydride(MA) 그리고 Magnesium oxide(MgO) 촉매 시스템에서 이들의 비율 및 함량에 따른 경화 반응 영향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추진제 혼화 시 각 공정 별 수분을 투입하여 수분이 추진제 경화에 끼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삼관능 모노머의 종류 및 함량에 따른 자외선 경화형 감압 점착 필름의 특성 (Effects of Tri-functional Monomers on the Properties of UV-curable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PSAs))

  • 원종우;김주열;장기덕;박명철;천제환;권오형;황진상
    • 접착 및 계면
    • /
    • 제20권1호
    • /
    • pp.15-22
    • /
    • 2019
  • Polybutadiene diol (PBD)과 isophorone diisocyanate (IPDI)의 반응을 통하여 이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PB-UAO)를 합성하고, 여기에 삼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Tris(2- acryloyloxyethyl) isocyanurate (TAOEIC), 또는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TMPTA) 또는 Pentaerythritol triacrylate(PETA)), 단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Stearyl Acrylate) 그리고 광개시제를 혼합한 후 이형필름 위에 코팅하고 자외선 경화를 통하여 감압 점착 필름을 제조하였다. 삼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구조 및 함량에 따른 감압 점착제의 박리강도, 인장강도, 신율, 열안정성 및 흡습 특성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삼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그리고 분자량이 작을수록 감압 점착 필름의 박리강도, 연신율 및 흡습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인장강도 및 열안정성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용성이 개선된 접착 증진제의 합성 및 이를 함유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특성분석 (Synthesis of Adhesion Promoters with Improved Compatibility and Properties of UV-Curable Adhesives Containing Adhesion Promoters)

  • 박정현;원종우;김주열;윤유정;권오형;황진상
    • 접착 및 계면
    • /
    • 제19권4호
    • /
    • pp.145-15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상용성이 개선된 접착 증진제를 개발하기 위해 malenized polybutadiene과 2-hydroxyethyl acrylate(HEA)의 반응을 통해 다양한 함량의 아크릴레이트 반응기와 carboxylic acid가 도입된 접착 증진제(PBCA)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접착 증진제는 maleic anhydride의 개환 반응을 통해 도입된 아크릴레이트 반응기와 carboxylic acid의 함량, 그리고 접착 증진제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접착 필름을 제조하고 제조된 접착 필름의 표면 특성, 접착력 등의 기계적 특성과 흡습 특성 등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접착 증진제의 분자 내에 도입된 carboxylic acid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접착 필름의 접착력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기존의 상용화된 접착 증진제와 비교하여 기계적 물성 또한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분자 내에 소수성의 폴리부타디엔 주쇄와 친수성의 maleic anhydride 및 carboxylic acid가 동시에 존재함으로 인해 다양한 친수성 및 소수성 재료와의 상용성이 대폭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Epoxidized Polybutadiene/Divinylbenzene을 이용한 가교 SEBS/HIPS 양이온교환막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Crosslinked SEBS/HIPS Cation Exchange Membrane Using Epoxidized Polybutadiene/Divinylbenzene)

  • 최용재;이홍석;황택성
    • 폴리머
    • /
    • 제33권6호
    • /
    • pp.608-614
    • /
    • 2009
  • 본 연구에서 술폰화 SEBS/HIPS 양이온교환막을 epoxidized polybutadiene과 divinylbenzene 가교제로 가교시켜 캐스팅 및 술폰화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막의 술폰화 반응은 황산과 silver sulfate를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또한, 막의 기본물성, 술폰화두 함수율, 이온교환용량, 전기저항 및 모듈러스를 확인하였다. 막의 술폰화도는 반응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10 wt% HIPS가 혼합된 막의 술폰화도가 반응시간 120분에서 83.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막의 함수율과 이온교환용량은 술폰화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최대 43.8%, 1.14 meq/g이었다. 막의 전기저항은 20 wt% HIPS가 혼합된 양이온교환막이 $83\;\Omega{\cdot}cm^2$으로 가장 낮았으며 전기전도도는 10 wt% HIPS 혼합막이 $1.22\times10^{-4}S/cm$로 가장 우수하였다. 또한, 막의 기계적물성, 모듈러스는 술폰화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술폰화 전후 모듈러스값은 $153204\;kgf/cm^2$이었다.

Characterization of Associating Polymers in Solution

  • Sato, Takahiro
    • 한국고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고분자학회 2006년도 IUPAC International Symposium on Advanced Polymers for Emerging Technologies
    • /
    • pp.118-119
    • /
    • 2006
  • The characterization method for associating polymer solutions was briefly reviewed. The method has not yet established in comparison with the characterization method for molecularly dispersed polymers in solution. However, two examples of associating polymer systems, living polybutadiene anions and amphiphilic statistical copolymers, were successfully characterized on the basis of suitable model and theory.

  • PDF

PMMA와 Poly(butadiene-g-MMA) 블렌드의 상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atibility of PMMA-Poly(butadiene-g-MMA) Blends)

  • 박성익;한승;서경도;문탁진
    • 공업화학
    • /
    • 제5권1호
    • /
    • pp.182-188
    • /
    • 1994
  • PMMA와 본질적으로 비상용성인 PB에 MMA를 그라프트 중합시켜서 이를 PMMA와 블렌드하여 그라프트율 변화에 따른 내충격성, 인장강도, haze 변화 및 상용성변화를 SEM, DSC, Instrone 등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Poly(butadlene-g-MMA)의 그라프트율이 증가함에 따라서, MMA 그라프트로 인한 PMMA와의 상용성의 증가에 의하여 PMMA-poly(butadlene-g-MMA) 블렌드의 인장강도, 내충격성 및 투명성 등이 그라프트하지 않은 PB-PMMA 블렌드에 비하여 향상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반면에, 투명성은 PMMA 단독수지에 비해서는 다소 떨어지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막유화법을 이용한 대구경 폴리쿠타디엔 라텍스의 제조에 관한 연구 (Preparation of the Large Size Polybutadiene Latexes by Membrane Emulsification Process)

  • 이해준;김중현
    • 멤브레인
    • /
    • 제6권3호
    • /
    • pp.166-172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원하는 입자크기가 폴리부타디엔 라텍스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공정조절이 쉽고 균일한 입자를 얻을 수 있는 막유화법을 이용하였으며, 유화제의 종류와 양, 첨가제의 양, 압력 등을 변수로 하여 실험을 행하였다. 제조된 라텍스의 입자크기와 분포를 분석하였으며, homogenizer를 이용한 직접유화법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막투과 모델을 고찰하기 위하여 Harkins-Brown 식에 의해 이론적인 drop의 크기를 계산하였다. 실험결과 물대비 0.2 wt% 이상의 유화제 함량에서 안정한 라텍스를 얻을 수 있었고, 입자크기를 결정하는 가장 핵심적인 인자는 막표면의 기공 크기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Effect of Rubber on Microcellular Structures from High Internal Phase Emulsion Polymerization

  • Park, Ji-Sun;Chun, Byoung-Chul;Lee, Seong-Jae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1권2호
    • /
    • pp.104-109
    • /
    • 2003
  • A microcellular, which combines a rubber with the conventional formulation of styrene/divinylbenzene/sorbitan monooleate/water system, was prepared using high internal phase emulsion (HIPE) polymerization. Although the open microcellular foam with low density from the conventional HIPE polymerization shows highly porous characteristics with fine, regular and isotropic structure, the one having much smaller cell size is desirable for various applications. In this study, a polybutadiene was introduced to reduce the cell size with comparable properties. Major interests were focused on the effects of rubber concentration and agitation speed on the cell sizes and compression properties.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was used to observe the microcellular morphology and compression tes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stress-strain behaviors. It was found that the cell size decreased as rubber concentration increased, reflecting a competition between the higher viscosity of continuous phase and the lower viscosity ratio of dispersed to continuous phases due to the addition of high molecular weight rubber into the oil phase of emulsion. A correlation for the average cell size depending on agitation speed was attempted and the result was quite satisfactory.

신발겉창 재료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TPU)/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와 TPU/부타디엔 고무 블렌드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Ethylene-Propylene-Diene Monomer Rubber (EPDM) and TPU/Polybutadiene Rubber (BR) Blends for the Application of Footwear Outsole Materials)

  • 김지후;김규현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8권3호
    • /
    • pp.195-200
    • /
    • 2013
  •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신발 겉창 재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TPU)의 내마모성과 습윤시의 내슬립성을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 (EPDM) 또는 폴리부타디엔 고무 (BR)를 블렌드하여 향상시키는 것이다. 10 wt%의 EPDM 또는 BR이 TPU에 투입되었을 때 TPU/EPDM과 TPU/BR 블렌드는 TPU보다 우수한 NBS 내마모도, 인장 물성 그리고 습윤 내슬립성을 보였다. 10 wt% 이상 투입될 때는 내마모도와 인장 물성 모두 감소하였다. 10 wt% 투입시의 내마모도와 인장물성 상승은 TPU의 상분리도 증가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