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acetate

검색결과 246건 처리시간 0.026초

Aerylic Water Borne Polymer의 합성 연구;Poly(vinyl acetate)와 poly(vinyl acetate-co-2-ethylhexyl acrylate)의 합성 연구 (Studies on Synthesis of Acrylic Water Borne Polymer;Synthesis of Poly(vinyl acetate) and Poly(vinyl acetate-co-2-ethylhexyl acrylate))

  • 김상헌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77-84
    • /
    • 1996
  • Poly(vinyl acetate)와 poly(vinyl acetate-co-2-ethylhexyl acrylate)를 여러 조건에서 semicontinuous emulsion 중합으로 합성하였다. Overall conversion, emulsion 입자크기, pH, 점도 등을 합성한 두 emulsion polymer에 대해 측정하였다. Vinyl acetate monomer에 2-ethylhexyl acrylate를 도입함으로서 emulsion 입도, 점도, 중합 속도, 유리 전이 속도가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Poly(vinyl alcohol)을 이용한 Poly(vinyl acetate-co-ethylene) Emulsion 중합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Emulsion Polymerization of poly(vinyl acetate-co-ethylene) Using Poly(vinyl alcohol) as Emulsifier)

  • 최용해;이원기
    • 접착 및 계면
    • /
    • 제11권3호
    • /
    • pp.89-99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poly(vinyl acetate-co-ethylene)을 산화, 환원 방법으로 중합할 때 poly(vinyl alcohol) (PVOH)이 최종 에멀젼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과 pH의 변화가 최종 에멀젼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PVOH의 분자량이 에멀젼 성질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분자량이 낮은 PVOH 이용 시는 점도가 낮은 제품을 얻었고, 분자량이 큰 PVOH를 이용 시는 높은 점도의 제품을 얻었다. 그러나 pH를 변화 시키면서 중합한 제품의 최종 성질은 PVOH에 대하여 다른 결과를 얻었다. 일반적으로 중합도가 높고 부분 검화물의 PVOH를 이용한 poly(vinyl acetate) 에멀젼 최종점도는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점도를 유지하는 데 비하여, VAE 에멀젼에서는 높은 pH에서 합성 시에는 낮은 에멀젼의 점도를 얻었다. 이것은 에멀젼 합성 중에 PVOH의 분자량의 저하에 의한 영향으로 판단된다. pH가 증가 할수록 그라프트율이 감소하고, 분자량이 감소하면서 점도가 낮아진다는 결과를 얻었다.

비닐 아세테이트/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공중합과 등온건조속도 (Isothermal Drying Rate and Copolymerization of Vinyl Acetate/Alkyl Methacrylates)

  • 김민성;설수덕
    • 폴리머
    • /
    • 제33권3호
    • /
    • pp.230-236
    • /
    • 2009
  • 비닐 아세테이트/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에멀젼 공중합에서 반응온도, 개시제의 종류와 농도, 보호콜로이드인 PVA의 종류와 농도, 공단량체인 MMA, EMA의 조성비를 변화시키며 중합하였다. 제조된 공중합체인 poly(vinyl acetate-co-methyl methacrylate)(PVAc/PMMA), poly(vinyl acetate-co-ethyl methacrylate)(PVAc/PEMA)를 수분 측정기를 사용하여 100, 130, 150, 180, $200^{\circ}C$에서 등온건조 시키고, 그 건조 특성을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등온법으로 얻은 중합체 고형화 과정의 활성화 에너지는 PVAc/PMMA> PVAc/PEMA> PVAc의 순으로 공단량체의 곁사슬의 탄소수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접착박리강도는 동일한 조성의 공중합체에서 보호콜로이드 함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고, 내수 접착박리강도는 최적의 보호콜로이드 함량에서 공단량체의 종류와 함량에 따라 PVAc/PMMA>PVAc/PEMA>PVAc 순이다.

Poly(vinyl acetate)와 Poly(vinyl acetate-co-ethylene) 에멀젼을 이용한 상온 블렌드 에멀젼의 Film 특성 (Film Properties of Cold Blending Emulsion Between Poly(vinyl Acetate) and Poly(vinyl acetate-co-ethylene) Emulsion)

  • 김호영;유성희;최용해
    • 접착 및 계면
    • /
    • 제12권4호
    • /
    • pp.117-124
    • /
    • 2011
  • 본 연구는 보호콜로이드로 PVA를 사용한 PVAc 에멀젼 폴리머와 VAE 에멀젼 폴리머 블렌드에 관한 것으로 보호콜로이드로 사용된 PVA는 블렌드 전의 각각의 에멀젼 폴리머 필름과 블렌드 후의 필름에서도 연속상으로 존재하였다. 이는 블렌드를 구성하는 입자사이에서 뛰어난 접착력을 예상하게 한다. Tg가 서로 다른 에멀젼 폴리머 블렌드는 중요한 관심 대상이며 PVAc/VAE 에멀젼 폴리머 블렌드는 이 중 간단하면서도 또 다른 뛰어난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혼합 결과, PVAc 증가에 따라 신율이 저하되었고, PVAc 제조에 사용된 가소제가 혼합물의 Tg에 영향을 미쳐 PVAc 가소제의 VAE 에멀젼 폴리머으로의 이행으로 인하여 VAE 에멀젼 폴리머의 Tg를 저하시켰고, 인장강도 및 내열성, 접착력에서 두 혼합물의 상승효과가 나타났다.

전극용 Ag Paste의 Cellulose Acetate Propionate(CAP) 개질에 따른 태양전지 효율 향상 (Improvement of Solar Cell Efficiency by Modification of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for Ag paste)

  • 김동민;임종찬;김진현;차상호;이종찬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27-234
    • /
    • 2018
  •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modification of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as an organic vehicle for silver paste on solar cell efficiency. For the modification of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poly(ethylene glycol) is introduced to the hydroxyl groups of a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backbone via esterification reaction. The chemical structure and composition of poly(ethylene glycol) functionalized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is characterized by Attenuated total reflectance Fourier transform infrared, $^1H$ nuclear magnetic resonanc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and thermogravimetric analysis. Due to the effect of structural change for poly(ethylene glycol) functionalized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on the viscosity of silver paste, the solar cell efficiency increases from 18.524 % to 18.652 %. In addition, when ethylene carbonate, which has a structure similar to poly(ethylene glycol), is introduced to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via ring opening polymerization, we find that the efficiency of the solar cell increases from 18.524 % to 18.622 %.

기능성 마이크로스피어의 개발 (I) - 열유도 상분리에 의한 Poly(ethylene-co-vinyl acetate) 마이크로스피어의 제조와 특성 - (Development of functional microsphere (I) -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poly(ethylene-co-vinyl acetate) microspheres via thermally induced phase separation -)

  • 이신희;김효정;박수민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7-64
    • /
    • 2003
  • Poly(ethylene-co-vinyl acetate)(EVA) microspheres were prepared by a thermally induced phase separation. The microsphere formation occurred by the nucleation and growth mechanism in the metastable region. The diluent used was toluene. The microsphere formation and growth was followed by the cloud point of the optical microscope measurement. The microsphere size distribution, which was obtained by SEM observation and particle size analyzer, became broader when the polymer concentration was higher, the content of vinyl acetate in EVA copolymer was higher, and the cooling rate of EVA copolymer solution was lower.

초임계이산화탄소를 이용한 폴리비닐아세테이트의 합성과 그로부터 폴리비닐알코올의 제조 (Synthesis of Poly(vinyl acetate)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and Subsequent Preparation of Poly(vinyl alcohol))

  • 최우혁;팜쿠앙롱;심재진
    • 청정기술
    • /
    • 제16권2호
    • /
    • pp.73-7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친환경적인 장점을 가지고 있는 초임계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비닐아세테이트 (vinyl acetate, VAc)를 분산중합하였다. 일반적인 유화중합에서보다 더 큰 분자량의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PVAc)를 더 높은 수율로 생성시키고자 온도를 333.15 ~ 343.15 K, 압력을 20 ~ 40MPa, 개시제를 0.5 ~ 5%, 실리콘계 안정제를 1 ~ 10%, 반응시간을 2 ~ 50 시간으로 변화시켜 가면서 초임계이산화탄소 내에서 VAc를 반응시킨 후 생성되는 PVAc의 수율과 분자량 변화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최종 목표물인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를 PVAc로부터 합성하기 위해 비누화를 시키고 비누화 조건이 PVA의 분자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Poly(4-vinylphenol)(PVPh)/Ethyl Acetate 및 PVPh/Butyl Acetate 용액계의 액-액 상평형 (Liquid-Liquid Equilibria of Poly(4-vinylphenol)(PVPh)/Ethyl Acetate and PVPh/Butyl Acetate Solutions)

  • 김미경;김기창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3권6호
    • /
    • pp.704-71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Poly(4-vinylphenol)(PVPh)/Ethyl Acetate 및 PVPh/Butyl Acetate 용액계의 액-액 상분리 거동을 TOA(thermal optical analysis)법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상분리 데이터를 PC-SAFT 상태방정식을 이용한 액-액 상평형 관계로 고찰하였다. 실험을 수행한 PVPh/Ethyl Acetate 및 PVPh/Butyl Acetate 용액계의 상분리 거동은 두 용액계 모두 LCST 형태의 거동을 보였고 상분리 온도는 고분자의 분자량이 증가함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또한 용매의 분자량에 의한 영향으로는 용매의 분자량이 적은 PVPh/Ethyl Acetate 용액의 상분리 온도가 PVPh/Butyl Acetate 용액의 경우보다 낮은 온도 영역에 분포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PVPh/Ethyl Acetate 용액에서 PVPh와 용매 분자간의 수소결합에 의한 교차회합도를 FT-IR 스펙트럼 분석법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교차회합도로부터 PC-SAFT 모델의 교차회합 파라미터를 추산하였다. 추산된 교차회합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PVPh/Ethyl Acetate 및 PVPh/Butyl Acetate 용액의 binodal curve와 spinodal curve를 계산하였으며, 계산된 binodal curve는 상분리 실험에서 측정된 상분리 온도(흐림온도) curve와 어느 정도 잘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Formaldehyde Free Cross-linking Agents Based on Maleic Anhydride Copolymers

  • Yoon, Kee-Jong;Woo, Jong-Hyung;Seo, Young-Sam
    • Fibers and Polymers
    • /
    • 제4권4호
    • /
    • pp.182-187
    • /
    • 2003
  • Low molecular weight copolymers of maleic anhydride and vinyl acetate were prepared to develop formaldehyde free cross-linking agents. Since lower molecular weight is favorable for efficient penetration of the finishing agent into the cotton fibers in the padding process, the concentration of the initiator, chain transfer agent and the monomer ratios were varied to obtain copolymers of low molecular weights. The prepared polymers were characterized by GPC, $^1{H-NMR}$, FTIR, DSC and TGA. Copolymers of molecular weights of 2 000 to 10 000 were obtained and it was found that the most efficient method of controlling the molecular weight was by varying the monomer ratios. Poly(maleic anhydride-co-vinyl acetate) did not dissolve in water, but the maleic anhydride residue hydrolyzed within a few minutes to form poly(maleic acid-co-vinyl acetate) and dissolved in water. However, the maleic acid units undergo dehydration to form anhydride groups on heating above ${160}^{\circ}C$ to some extent even in the absence of catalysts.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copolymers as durable press finishing agent for cotton fabric was investigated. Lower molecular weight poly(maleic anhydride-co-vinyl acetate) copolymers were more efficient in introducing crease resistance, which appears to be due to the more efficient penetration of the cross-linking agent into cotton fabrics. The wrinkle recovery angles of cotton fabrics treated with poly(maleic anhydride-co-vinyl acetate) copolymers were slightly lower than those treated with DMDHEU and were higher when higher curing temperatures or higher concentrations of copolymer were used, and when catalyst, $NaH_2$$PO_2$, was added. The strength retention of the poly(maleic anhydride-co-vinyl acetate) treated cotton fabrics was excell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