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ethylene glycol) (PEG)

검색결과 213건 처리시간 0.026초

Synthesis and Hydrophilicities of Poly(ethylene 2,6-naphthalate)/ Poly(ethylene glycol) Copolymers

  • Son, Jun-Sik;Ji, Dong-Sun
    • Fibers and Polymers
    • /
    • 제4권4호
    • /
    • pp.156-160
    • /
    • 2003
  • Poly(ethylene 2,6-naphthalate) (PEN)/Poly(ethylene glycol) (PEG) copolymers were synthesized by two step reaction during the melt copolymerization process. The first step was the esterification reaction of dimethyl-2,6-naphthalenedicarbox-ylate (2,6-NDC) and ethylene glycol (EG). The second step was the condensation polymerization of bishydroxyethylnaphthalate (BHEN) and PEG. The copolymers contained 10 mol% of PEG units with different molecular weights. Structures and thermal properties of the copolymers were studied by using $^1{H-NMR}$, DSC, TGA, etc. Especially, while the intrinsic viscosities of PEN/PEG copolymers increased with increasing molecular weights of PEG, but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he cold crystallization temperature, and the weight loss temperature of the copolymers decreased with increasing molecular weights of PEG. Consequently, the hydrophilicities by means of contact angle measurement and moisture content of the copolymer film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improved with increasing molecular weights of PEG.

폴리(에틸렌 글리콜)기를 갖는 폴리스티렌 입자의 제조와 유전 매질내에서의 표면 전하 특성 (Preparation of Polystyrene Particles Containing Poly(ethylene glycol) Groups and Their Surface Charge Characterization in Dielectric Medium)

  • 김성훈;김배중;권대익;박기홍
    • 폴리머
    • /
    • 제28권6호
    • /
    • pp.524-530
    • /
    • 2004
  • 스티렌,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PEG-MMA) 혹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PEG-diMMA)를 중성 매질에서 무유화제 (emulsifier-free) 유화 중합하여 표면에 에틸렌 글리콜기를 갖는 폴리스티렌 입자를 합성하였고, 이로부터 동결 건조되어진 분말을 제조하였다. 고분자 분말은 FT-TR 분광기로 구조를 확인하였고, 광산란 입도 분석기와 주사 전자 현미경 (SEM)을 이용하여 입자 크기와 분산도를 조사하였다. 스티렌에 대하여 공단량체 PEG-MMA는 2∼5 mol%, PEG-diMMA는 1 mol% 농도 부근에서 균일한 입자 크기를 얻을 수 있었다. 합성된 입자의 표면 전하를 유전 매질 내에서 ELS-8000 광산란법을 이용하여 제타 포텐셜을 측정하였다. 스티렌에 대하여 PEG-MMA 5 mol%에서 183 mV의 아주 높은 제타 포텐셜이 측정되었다.

The Effect of Aggregation States on ionic Conductivity of Stolid Polymer Electrolytes Based on Waterborne Polyurethane

  • Bae, Sang-Sik;Jo, Nam-Ju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9권6호
    • /
    • pp.332-338
    • /
    • 2001
  • Waterborne polyurethane as a new polymer electrolyte was synthesized by using relatively hydrophilic polyols. The morphology of polyurethane was changed as it was dispersed in water. In contrast to polyurethane ionomer, waterborne polyurethane did not form an ionic cluster but produced a binary system composed of hydrophilic and hydrophobic groups. In the colloidal system, the former and the latter existed at outward and inward, respectively. Waterborne polyurethane was prepared from poly(ethylene glycol) (PEG) /poly(propylene glycol) (PPG) copolymer, 4,4'-diphenylmethane diisocyanate(MDI), ethylene diamine as a chain extender, and three ionization agents, 1,3-propane sultone, sodium hydride and lithium hydroxide. PEG/PPG copolymer was used for suppressing the crystallinity of PEG and N-H bond was ionized for increasing the electrochemical stability of polyurethane. Low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glycol) and poly(ethylene glycol dimethyl ether) (PEGDME) were used as plasticizers. DSC, FT-IR and $^1$H-NMR of the waterborne polyurethane were measured. Also, the ionic conductivity of solid polymer electrolytes based on waterborne polyurethane and various concentrations of low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glycol) or PEGDME were measured by AC impedance.

  • PDF

이미다졸과 계면활성제가 기상중합법으로 제조된 PEDOT 박막의 광-전기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midazole and Surfactant on the Opto-Electrical Properties of PEDOT Thin Films via Vapor Phase Polymerization)

  • 카드카 로산;임진형
    • 폴리머
    • /
    • 제39권3호
    • /
    • pp.461-467
    • /
    • 2015
  • 본 논문은 ferric p-toluenesulfonate를 산화제에 약 염기인 이미다졸과 poly(ethylene glycol)-poly(propylene glycol)-poly(ethylene glycol) (PEG-PPG-PEG) 계면활성제를 동시 첨가하여 기상중합법으로 제조된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EDOT) 박막의 광-전기적 특성 향상에 대한 것이다. 여러 가지 조건에서 제조된 PEDOT 박막 특성과 산화제의 첨가제로 사용된 약 염기와 계면활성제의 조합 효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미다졸과 PEG-PPG-PEG로 구성된 첨가제를 사용하여 제조된 PEDOT 박막은 $1300S{\cdot}cm^{-1}$ 이상의 전도성을 가졌다. PEG-PPG-PEG계 계면활성제의 분자량이 기상 중합을 이용한 PEDOT 박막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도 조사하였다.

Poly(ethylene glycol)diacrylate/poly(propylene glycol)diacrylate 막의 이산화탄소 기체 투과특성에 관한 연구 (Gas Permeation Properties of $CO_2$ Through 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Poly(Propylene Glycol) Diacrylate Membrane)

  • 임지원;남상용;이선용;윤태일
    • 멤브레인
    • /
    • 제14권3호
    • /
    • pp.250-257
    • /
    • 2004
  • 이산화탄소 분리에 이용하기 위하여 PEG (Poly(ethylene glycol)diacrylate)와 PPG (Poly(propylene glycol) diacrylate)를 광학 중합반응(Photopoly merization)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PEG와 PPG는 분자량이 각각 258과 540이었다. PEG와 PPG의 질량 혼합비(wt%)를 9:1, 8:2, 7:3, 6:4, 5:5로 변화시키면서 막을 제조하였다. $25^{\circ}C$에서 PEG/PPG (9:1)의 이산화탄소 투과도는 28.9 barrel 으로 나타났으며, 선택도($PCO_2$/$PN_2$)는 57.9로 나타났다. 같은 온도에서 PEG/PPG(5:5)로 조성을 변화시켰을 때 이산화탄소 투과도는 40.4 Barrer, 기체선택도($PCO_2$/$PN_2$)는 51.8를 나타냈다 이산화탄소의 투과도는 5:5 > 6:4 > 7:3 > 8:2 > 9:1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35^{\circ}C$로 승온을 하는 경우에 PEG/PPG (9:1)는 45.4 Baller, 선택도($PCO_2$/$PN_2$)는 48.2을 나타냈으며, PEG/PPG (5:5)의 이산화탄소 투과도는 78.9 Barrer을 나타내고 선택도($PCO_2$/$PN_2$)는 33.2로 나타났다. 각각의 온도에서 이산화탄소의 기체선택도($PCO_2$/$PN_2$)는 PPG의 함량이 증가하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Photo-DSC를 사용한 에틸렌글리콜 단위 길이에 따른 다이메타크릴레이트의 광중합 전환률에 미치는 온도와 광개시제 농도의 영향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Photoinitiator Concentration on Conversion of Photopolymerized Mult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by Photo-DSC)

  • 도현성;김대준;김현중;이영규
    • 접착 및 계면
    • /
    • 제4권3호
    • /
    • pp.14-20
    • /
    • 2003
  • UV 경화에 사용되는 poly(ethylene glycol 400) dimethacrylate(PEGA400DMA)와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EGDMA)를 사용하여 모노머(monomer)의 종류에 따른 경화거동과 광개시제의 양과 온도에 따른 경화 거동을 photo-DSC를 사용하여 살펴보았다. Ethylene glycol의 단위길이가 늘어날수록, 광개시제의 양이 증가할수록, 반응 온도가 높을수록 경화속도가 빠르게 일어났다. 또한 PEG400DMA의 반응속도가 EGDMA보다 느리게 나타났지만 전환률은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 PDF

Poly(N,N-dimethylamino ethyl methacrylate)와 PEG로 이루어진 블록공중합체 합성 및 나노복합체 형성 (Synthesis of Block Copolymers Composed of Poly(N,N-dimethylamino ethyl methacrylate) and PEG and Formation of Nanoaggregation)

  • 김은정;최호석;이지나;박기동;육순홍
    • 폴리머
    • /
    • 제24권6호
    • /
    • pp.854-859
    • /
    • 2000
  • N,N-dimethylamino ethyl methacrylate(DMAEMA)와 poly(ethylene glycol) (PEG)로 이루어진 블록 공중합체를 합성하였고, 그 구조를 FT-IR, DSC, 및 $^1$H-NMR로 확인하였다. 준비된 poly(DMAEMA))-PEG 블록 공중합체 수용액에 poly(ethyl acrylamide)(PEAAm)를 첨가하면 블록 공중합체의 DMAEMA와 poly(EAAm) 사이에서 일어나는 수소결합에 의해 나노복합체가 형성되었다. 나노복합체는 임계미셀농도 이상의 농도에서 이루어졌다.

  • PDF

Poly(caprolactone) diol/Poly(ethylene glycol)을 기초로 한 폴리우레탄 마이크로겔의 합성 및 특성 (Prepara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Polyurethane Microgels Based on Poly(caprolactone) diol/Poly(ethylene glycol))

  • 임정수;김공수;이무재;이영근
    • 폴리머
    • /
    • 제25권1호
    • /
    • pp.41-48
    • /
    • 2001
  • 폴리카프로락톤디올(PCD) 및 폴리에틸렌글리콜(PEG),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1,2,6-헥산트리올을 용액중합 방법으로 반응시켜 폴리우레탄(PU) 마이크로겔을 합성하였다. PCD/PEG의 몰비가 다른 마이크로겔의 임계 겔화농도의 성질과 생성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인자임을 알았다. 디이소시아네이트, PCD/PEG의 몰비 및 PEG의 분자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PU 마이크로겔의 물리적 및 열적 성질을 실험하였다. PU 마이크로겔은 300nm 이하의 다분산성 구형의 작은 입자로 분포되어 있으며, 저점도 특성을 나타내었다.

  • PDF

Synthesis and Microphase Separation of Biodegradable Poly($\varepsilon$-caprolactone)-Poly(ethylene glycol)-Poly($\varepsilon$-caprolactone) Multiblock Copolymer Films

  • You, Jae-Ho;Choi, Sung-Wook;Kim, Jung-Hyun;Kwak, Young-Tae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6권7호
    • /
    • pp.609-613
    • /
    • 2008
  • Poly($\varepsilon$-caprolactone)-poly(ethylene glycol)-poly($\varepsilon$-caprolactone) (PCL-PEG-PCL) multiblock copolymers at various hydrophobic-hydrophilic ratios were successfully synthesized by the chain extension of triblock copolymers through isocyanate (hexamethylene diisocyanate). Biodegradable films were prepared from the resulting multiblock copolymers using the casting metho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films were improved by chain extension of the triblock copolymers, whereas the films prepared by the triblock copolymers were weak and brittle. Atomic force microscopy (AFM) of the multiblock copolymer film showed that the hydrophilic PEG had segregated on the film surface. This is consistent with the observed contact angle of the films.

Norfloxacin이 담지된 Poly(ε-caprolactone)/Poly(ethylene glycol) 이중블록공중합체 미셀의 제조 (Norfloxacin-Incorporated Polymeric Micelle Composed of Poly(ε-caprolactone)/Poly(ethylene glycol) Diblock Copolymer)

  • 정영일;장미경;나재운
    • 폴리머
    • /
    • 제33권2호
    • /
    • pp.137-143
    • /
    • 2009
  • 이 연구에서 norfloxacin(NFX)이 담지된 poly($\varepsilon$-caprolactone)/poly(ethylene glycol)(PCL/PEG, abbreviated as CE) 이중블록공중합체로 구성된 고분자 미셀을 제조하였다. 입자크기는 PCL블록길이에 따라 60$\sim$200 nm사이였다. 임계회합농도는 소수성 PCL 블록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1H$-NMR 연구에서 PCL 블록은 내핵, PEG는 외피를 형성한 미셀구조로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약물의 방출은 약 2일간 지속되었으며 PCL블록길이와 약물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항미생물 성능 실험에서 고분자 미셀은 기존의 NFX와 비슷한 독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