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lution inflow

검색결과 186건 처리시간 0.02초

동아시아 지역에서 광역적 대기오염의 이동: 위성과 지상 관측 (Large-Scale Transport of Air Pollutants in the East Asian Region: Satellite and Ground Observations)

  • 김학성;정용승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23-135
    • /
    • 2007
  • 동아시아에서 광역적인 대기오염 이동과 한반도 유입을 인공위성과 지상 관측을 통해 5개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 사례들은 주로 중국 대륙의 도시와 산업지대에서 배출된 오염물질들이 황해를 지나 한반도에 상륙 및 통과하는 광역적인 대기오염 이동이다. NOAA인공위성 관측 자료의 분석은 가시영역과 적외선 영역의 3개 채널을 합성하여 영상을 만들고, 황해 위에서 대기오염의 분포와 이동을 구별해 낼 수 있었다. 또한 청원의 배경관측지점에서 대기오염의 지상 관측 자료는 인공위성 관측 자료와 비교하여 검증하는데 매우 가치가 있었다. 특히, 광역적 대기오염의 이동 사례에서는 $PM_{10}$$PM_{2.5}$ 농도의 차이가 적으면서, $PM_{2.5}$값이 높게 증가한다. 그러나 황사의 경우는 $PM_{10}$ 농도가 훨씬 높게 관측되어 $PM_{2.5}$와의 차이가 매우 큼이 특징적이다. 2006년 1월 27일의 사례에서는 중국 발원의 광역적 대기오염이 한반도의 중부 및 남서지역으로의 유입을 인공위성뿐 아니라 여러 지상관측소들에서 순차적으로 관측할 수 있었다. 북북서 기류가 제주도 한라산을 넘어서 풍하측 멀리까지 구름을 소산시키고 대기오염을 감소시키며, 카르만 소용돌이를 만들고 있었다.

여자만의 수질관리를 위한 허용유입부하량 산정 (Assessment of Permissible Inflow Load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in Yeoja Bay, Korea)

  • 김형철;이원찬;김종구;홍석진;김경미;조윤식;박성은;김진호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45-356
    • /
    • 2011
  • 여자만은 유기물 오염이 점차 진행되어 가고 있으며, 해역의 수질관리를 위하여 유역으로부터 유입하는 육상기인 오염물질을 GIS 기법을 이용하여 발생부하량과 배출부하량을 산정하였다. 목표수질을 달성하기 위해 해역의 환경용량을 초과하여 유입하는 육상오염물질의 양을 박스모델로 계산하여 삭감부하량과 허용유입부하량을 평가하였다. 여자만의 수질을 해역생활환경기준 I등급으로 회복하기 위한 허용부하량을 산정한 결과,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은 배출부하의 39.3%, 총인은 30.8%를 삭감해야 하고, 총질소의 경우 6.9%의 낮은 배출부하 삭감률을 나타내었다. 유역의 오염원 현황과 발생부하량 현황을 볼 때 토지계가 차지하는 오염부하 비중이 높고, 배출부하량에서도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여자만의 해양환경 보호와 개선을 위해서는 육상기원 오염물질 중 점오염원 뿐만 아니라 축산계 및 토지계 부하 등 비점원 오염원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화성호 유입하천의 강우시 비점오염물질 유출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discharged non-point pollutants on Hwa-sung lake inflow streams on precipitation)

  • 이상은;최이송;이인호;홍대벽;오종민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5호
    • /
    • pp.651-66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characteristics and pollutant loadings of non-point pollutants that flowed in the streams on precipitation for pollutant loading reduction of Hwa-sung lake inflow streams. Although it has been made an effort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Hwa-sung basin through the strategies for the preservation of water quality, it is shown that the water quality is not greatly improved. Because it has been industrialized and urbanized near Hwa-sung basin so that it is difficult to reduce the water pollution due to the increase in pollutant loadings of point and non-point sources. In this study, it is investigated the outflow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ants that discharged with storm runoff and estimated the effect of runoff on Hwa-sung basin. The final goal of this study is to utilize the basic information for proper management and strategies of non-point sources on Hwa-sung basin. At the result of inflow streams, Ja-an stream that has the greatest pollutant loadings on precipitation is strongly influenced on the water quantity of Hwa-sung basin. On the other hand, it is shown that Nam-yang stream is strongly influenced on the SS concentration of Hwasung basin among them. Also, all streams; Nam-yang, Ja-ahn, Ah-eun stream; has the degree of slope more than or near 1 in the correlation results so that they have strong pollutant loading impact and the concentration of SS is the highest among other pollutants. So, specific studies on initial rain phenomena are more necessary to manage the pollutants economically. Also, the proper control of SS concentration is required to manage the effluent pollutants effectively on precipitation. So,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strategies for non-point pollutants as well as point pollutants when the new management is imposed to reduce the pollutant load for improvement of Hwa-sung basin.

낙동강 유역에 대한 일별 유달부하량 산정모델개발 II. 모델식의 활용 (Development of the Estimation Model on Daily Pollutant Loads for the Nakdong River Basin II. Application of the Model)

  • 윤영삼;유재정;김문수;이혜진;이준배;양상용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33-345
    • /
    • 2007
  • As analyzed the estimated values of the daily delivery loads from thirteen major side streams such as Naesung-river, Keumho-river, Hwang-river, Nam-river during five years (from 1999 to 2003), the daily BOD inflow into the main stream of Nakdong river in 2003 shows the highest quantity as 31.1 ton and the daily BOD inflows in 1999, 2000, 2001, and 2002 are 26.7 ton, 22.5 ton, 21.0 ton, 25.8 ton, respectively. The daily TN in-flow into the main stream of Nakdong river in 2003 shows also the highest quantity as 64.9 ton and the daily TN inflows in 1999, 2000, 2001, and 2002 are 55.19 ton, 46.27 ton, 39.5 ton, 53.38 ton, respectively. The daily TP inflow into the main stream of Nakdong river in 2003 shows the highest quantity as 2.70 ton likewise and the daily TP inflows in 1999, 2000, 2001, and 2002 are 2.17 ton, 1.87 ton, 1.60 ton, 2.10 ton, respectively The rate of BOD loads from each side main stream into the main stream of Nakdong river shows that the BOD loads of Keumho-river are the highest as the values range from 32.8 % (2002) ${\sim}$ 35.1 % (2003) and the BOD loads of Nam-river, Naesung-river, Hwang-river are high in the order named. The rate of TN loads to the main stream is also similar to the trend of BOD loads. The contribution of the TN loads of Geumho-river to the contamination of the main stream is also the highest having a range from 27.0 % (2002) to 28.8 % (1999) among the main side streams and the TN loads of Naesung-river, Nam-river, and Heachun-river are high in the order named. The rate of TP loads is quite different from the trend of BOD and TN loads. The TP rate of Keumho-river, however, is still the highest as ranging 58.6 % (2002) to 61.7 % (2003) and the river has the biggest portion (over 50%) of the entire pollution to the main stream of Nakdong river.

차집관로의 조사 및 분석을 통한 하수관로정비 사업의 효과 감소 원인 분석 (Cause Analysis for Reduced Effect of Sewer Pipe Improvement Project Based On Investigation of Interceptor Sewers)

  • 채명병;배영혜;김형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19-226
    • /
    • 2018
  • 차집관로는 국유지가 많은 하천변에 매설되어 있어 파손이나 침입수/유입수(불명수, I/I) 의 유입으로 공공하수처리시설의 운영효율이 떨어지며, 하수관로 정비사업의 효율도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하수관로 정비사업 효과의 감소원인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차집관로를 대상으로 감소원인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즉, 대상지역 3개소를 선정하여 차집관로의 현황조사(관로연장, 관경, 관종, 매설년도, 매설위치 등), 차집관로에 대한 차수(Pump 작업) 및 준설작업을 병행한 관로내부(CCTV)조사, 맨홀내부(육안)조사, 유량 및 수질조사 결과를 이용한 오염부하량 산정 등을 수행하였다. 합류지역은 동시 다측점 유량조사와 차집관로 유량 및 수질(BOD)조사, 오염부하량 비교 등을 수행하였으며, 차집관로 부실화에 따른 침입수/유입수 발생 현황 등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하수관로정비 사업의 효과를 감소시키는 주요 원인은 차집관로의 노후화 및 미정비로 인해 공공 하수처리시설로 저농도 하수 및 불명수 유입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경기북부지역 주요 호소수의 수질오염특성 평가 (Evaluation of Water Pollution Characteristics of Major Lakes in Northern Gyeonggi-do Province)

  • 최정인;임흥빈;정은희;김태열;손영금;고순미;이호정;오조교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15-322
    • /
    • 2018
  • Objectives: A lake is a place used by many people, and compared to rivers it is easy for them to become polluted. The water quality in lakes and reservoirs has been worsening recen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water pollution characteristics of major lakes in northern Gyeonggi-do Province. Methods: Six lakes were selected as major lakes and were evaluated in terms of water pollution characteristics and eutrophication (as defined by results for $COD_{Mn}$, TOC, SS, Chl-a, T-N and T-P) over one year (from December 2016 through November 2017) in northern Gyeonggi-do Province. Results: The annual average $COD_{Mn}$ was found to be 3.1 mg/L in Onam, 3.6 mg/L in Sanjeong, 4.7 mg/L in Gisan, 4.8 mg/L in Ilsan, and 6.1 mg/L in Jangja. The results of the Korean trophic state index ($TSI_{KO}$ ) value indicated a eutrophic state ($TSI_{KO}$ 59.0) in Jangja lake. The other lakes were classified as being in a mesotrophic state ($TSI_{KO}$ of 38.1 in Sanjeong, 40.2 in Ilsan, 41.9 in Onam, 46.1 in Gisan, and 47.8 in Gomo). Conclusions: Ilsan Lake's water quality is being well maintained. Sanjeong, Onam, and Gisan are appropriate for use as agricultural water. Jangja lake requires efforts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and to prevent the inflow of non-point pollutant sources.

서낙동강 유역 해반천의 수질 개선을 위한 비점오염관리대책 효과 분석 (Assessment of the Non-point Source Pollution Control Strategies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the Haeban Stream of West Nakdong River Watershed)

  • 김예진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9
    • /
    • 2024
  • 이 연구에서는 서낙동강을 구성하는 소유역 중 대지면적 비율이 크고 인구밀도가 높은 해반천 유역의 유출 및 수질을 모의하기 위한 HSPF(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FORTRAN)모형을 개발하였다. 유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 부하량을 관리하기 위한 세 가지 시나리오가 개발되어 모형에 적용되었고, 오염부하량의 감소와 부하지속곡선에 대비한 수질 기준 초과율이 분석되었다. 시나리오는 비점오염의 발생을 줄이기 위한 도로 청소, 다양한 저영향 개발 기법을 고려한 유출 저감 조치, 그리고 강으로 들어가는 비점오염원을 완화하기 위한 유입 저감 조치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 시나리오에서는 김해시의 도로 청소 차량 수와 같은 실제 조건이 고려되었으며, 두 번째와 세 번째 시나리오에서는 적용 가능한 토지 이용별 면적의 50%에 저영향 개발 기법을 적용하는 것으로 적용되었다. 모든 세 가지 조치를 적용한 결과, BOD 오염 물질 부하가 58.28%, T-N은 58.49%, T-P는 51.56% 감소할 수 있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5년간 누적된 수질 측정의 60번째 백분위수를 목표 수질로 설정하고 구축된 유량지속곡선에 의한 초과율분석 결과, 결과적으로, BOD의 경우 조치 적용 전 41.57%의 초과율이 조치 후 16.32%로 감소하여, 초과율이 25.25% 감소하였다. T-N의 경우 조치 전 40.31%에서 조치 후 22.84%로, T-P의 경우 62.43%에서 27.22%로 감소하였다.

투수블록시설의 유출저감효과 분석 및 강우강도-지속시간 관계 분석 (Analysis of Runoff Reduction Effect and Rainfall Intensity-Duration Time of Permeable Block Facility)

  • 한상윤;길경익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7
    • /
    • 2020
  • 비점오염은 수계에 악영향을 끼치며 그 영향은 점차 커지고 있다. 이러한 비점오염을 관리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LID(Low Impact Development) 시설의 연구와 다양한 효율평가를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LID 시설 중 실제 설치된 투수 블록 시설의 강우 유출 억제를 위한 유출 저감율, 저류 강우량 분석 및 유출 지연시간 그리고 최대 유입 및 유출의 저감율을 분석했으며, 그 결과를 각 시설 간 비교했다. 불투수블록, 필터형 투수블록, 틈새형 투수블록 순서대로 분석 결과 저감 효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강우강도-유출지연시간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를 제시하였다. 이 그래프를 통해 앞으로 설계 시, 본 시설과 유사한 투수블록 시설의 재현 기간에 따른 시설 용량 선정 등의 설계에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청계천 복원구간 내 분변오염도 평가와 미생물 군집 연구 (Assessment of Fecal Pollution and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in Restored Section of Cheonggyecheon Stream)

  • 박영빈;이희태;김세윤;고광표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6-83
    • /
    • 2009
  • In 2005, the 5.84-Km length of Cheonggyecheon stream, previously covered with concrete road, was uncovered in the middle of Seoul, Korea. We investigated microbial water quality in various sites in Cheonggyecheon stream. We took water samples on three different days. The sampling sites included inflow water from upper stream (Mojeongyo), midstream (Ogansugyo), and downstream (Muhakgyo). Fecal pollution indicator microorganisms were measured by both IDEXX $Colilert^{(R)}$ and $Enterolert^{(R)}$. Microbial community from these sampling sites was also characterized based on 16S rRNA gene sequences.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total coliform are 5 CFU/100 mL, 1474 CFU/100 mL, and 1776 CFU/100 mL at Mojeongyo, Ogansugyo, and Muhakgyo, respectively.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fecal coliform were 28 CFU/100 mL, 47 CFU/100 mL in Ogansugyo, and Muhakgyo,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s of other fecal indicator microorganisms including E. coli and Enterococcus sp. increased in downstream. When we characterized the microbial community, unique microbial community were discovered at different sampling sites. This study suggests that Cheonggyechoen stream is likely affected by non-point fecal sources and has unique microbial environment as the river flows downstream.

도시내 녹지공간 조성을 위한 소규모 HSSF 인공습지 개발 (Development of Small HSSF Constructed Wetland for Urban Green space)

  • 이정용;강창국;;김순석;김이형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99-208
    • /
    • 2011
  • 세계적으로 물의 부족, 온실가스 배출증가, 에너지 소비 증가 등으로 인하여 지구가 위협받고 있다. 기존의 도시 계획 및 개발 과정에서 산림, 하천 등 자연 생태계가 파괴되어 왔으며 이는 불투수면의 증가를 초래하였다. 불투수면의 증가로 인하여 자연적인 물순환 체계가 파괴됨에 따라 도시내 물의 저류, 침투, 증발 등이 감소되고 있으며, 강우시 불투수면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원이 하천 및 호소로 직접 유입되어 수계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시 불투수면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을 저감하고 불투수면의 증가로 인한 도시지역의 온도증가, 열섬현상 등을 해결하는 소규모 HSSF 인공습지 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HSSF 인공습지는 표면에 물이 존재하지 않고 유체의 흐름이 표면 아래 수평으로 흐르는 습지이며 침전, 여과, 흡착, 식생에 의한 흡수 등의 기작을 포함한다. 이러한 HSSF 인공습지를 도시지역의 협소한 공간에도 적용이 가능한 소규모 형태로 개발하고자 pilot-scale test를 실시하였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국내 도시 열섬현상 저감 및 자연적 물순환 복원을 위한 시설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