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ishing Tool

검색결과 195건 처리시간 0.021초

The plaque-removing efficacy of a single-tufted brush on the lingual and buccal surfaces of the molars

  • Lee, Dong-Won;Moon, Ik-Sang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1권3호
    • /
    • pp.131-134
    • /
    • 2011
  • Purpose: To test the plaque-removal efficacy of a single-tufted toothbrush on the posterior molars compared with a flat-trimmed toothbrush. Methods: Forty-nine subjects were selected. Professional instruction and written brushing instructions were given. After thorough supra-gingival scaling and polishing, all subjects were asked to abstain from oral hygiene procedures for 24 hours prior to the first experiment. The subjects were randomized to a treatment sequence. The modified Quigley and Hein plaque index was recorded pre- and post-tooth brushing, at 6 surfaces of the posterior molars. After a wash-out period, all the remaining plaque was removed professionally. Twenty-four hours of brushing abstinence was again performed. The plaque index was recorded pre- and post-tooth brushing after the subjects were given the second toothbrush in the cross-over sequence. Results: The percentage reductions in plaque scores achieved with the single-tufted brush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flat-trimmed brush at the maxillary buccal interproximal, marginal and mandibular lingual interproximal site. The other location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mplied that the single-tufted brush could be an effective tool for the removal of plaque at some, but not all, sites of the posterior molars.

연마작업을 위한 로봇형 연마기의 힘제어 적용 (Appling of Force Control of the Robotic Sweeping Machine for Grinding)

  • 진태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276-281
    • /
    • 2014
  • 본 논문은 산업용 로봇을 위한 힘 피드백 제어는 사람의 감각을 기반으로 한 작업을 대체하여 구현하기에 적합한 연마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기존 연마작업의 표면 연마, 비드처리, 기계 가공 디버링 등의 공정은 그 복잡성에서 자동화가 가장 곤란하다고 인식되어 주로 인력에 의존 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연마 공구를 파지시킨 힘 제어 로봇에 의한 자동 연마 시스템의 구축과 힘 센서로부터 신호 피드백 제어 방식의 특성 파악과 연마 공정에 적응성을 검증했다. 또한 실용화를 목적을 위한 선박의 바닥 및 측면 연마에의 응용을 진행했다. 따라서 자체 제작한 연마로봇을 활용 한 표면 연마작업을 통하여 실험결과를 검증하였다.

Effect of Brush Treatment and Brush Contact Sequence on Cross Contaminated Defects during CMP in-situ Cleaning

  • Kim, Hong Jin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31권6호
    • /
    • pp.239-244
    • /
    • 2015
  •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cesses for enabling sub-14 nm semiconductor manufacturing. Moreover, post-CMP defect control is a key process parameter for the purpose of yield enhancement and device reliability. Due to the complexity of device with sub-14 nm node structure, CMP-induced defects need to be fixed in the CMP in-situ cleaning module instead of during post ex-situ wet cleaning. Therefore, post-CMP in-situ cleaning optimization and cleaning efficiency improvement play a pivotal role in post-CMP defect control. CMP in-situ cleaning module normally consists of megasonic and brush scrubber processes. And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effort for the optimization of cleaning chemistry and brush scrubber cleaning in the CMP cleaning module.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conducted on improving particle removal efficiency by brush cleaning, these studies do not consider the effects of brush contamination. Depending on the process condition and brush condition, brush cross contamination effects significantly influence post-CMP cleaning defects. This study investigates brush cross contamination effects in the CMP in-situ cleaning module by conducting experiments using 300mm tetraethyl orthosilicate (TEOS) blanket wafers. This study also explores brush pre-treatment in the CMP tool and proposes recipe effects, and critical process parameters for optimized CMP in-situ cleaning process through experimental results.

다방향 조사가 가능한 광섬유 팁 해석 및 제작 (Fabrication of a Multidirectional Side-firing Optical Fiber Tip and Its Numerical Analysis)

  • 정덕;손익부;노영철;김진혁;김창환;이호
    • 한국광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00-206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직경 $125{\mu}m$의 싱글모드 광섬유에 입사된 빔을 다방향으로 방사하기 위하여 이론적으로 계산된 값을 광학설계 프로그램인 LightTools를 이용하여 광섬유 끝단에 원뿔형 구조물을 모델링 하고 입사된 모든 빔이 전반사 되어 측면으로 방사되는 광섬유 팁과, 전방과 측면으로 동시에 방사가 가능한 광섬유 팁에 대해 시뮬레이션을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가지고 광섬유 끝단에 펨토초 레이저와 $CO_2$ 레이저를 이용하여 원뿔형 구조물을 제작하고 시뮬레이션 결과와 비교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치과용 핸드피스에 의한 일시적 진동감각역치 변화 (Temporary Threshold Shift of Vibration Sensation by Dental Handpiece)

  • 김성아;이종영;김두희;박순우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8권4호
    • /
    • pp.765-771
    • /
    • 1995
  • 치과용 핸드피스에서 발산하는 고주파수의 진동에 의한 일시적 진동감각역치 변화를 관찰하고자 치과위생병 28명을 대상으로 34,000rpm의 low-speed handpiece를 진동기구로 사용하였다. 진동에 폭로시키기 전과 후, 치과의사가 스케일링시 취하는 작업자세에 5분간 폭로시킨 후의 진동감각역치를 청력계기의 골전도진동기를 사용하여 250 Hz에서 그들이 주로 사용하는 손의 제2지두수에서 측정한 결과, 각각 $23.5{\pm}3.5dB,\;30.8{\pm}4.2dB,\;23.7{\pm}4.6dB$로 진동에 5분간 폭로시킨 후의 역치가 폭로 전에 비해 7.3dB의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p<0.001). 진동폭로 전후의 차이에 따른 분포를 보면, 10 dB 내외로 증가한 사람이 71.4%로 대부분이었고 16 dB의 증가가 가장 높았다. 진동 폭로 전의 진동감각역치와 신장, 체중, 체질량 지수와의 상관관계는 각각의 상관계수가 0.0360, -0.1657, -0.2641로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며, 흡연에 따른 차이도 흡연군(N=20)과 비흡연군(N=8)의 진동감 각역치가 각각 23.1 dB, 24.6 dB로 그 차이 가 없었다. 본 연구 결과로 볼 때 핸드피스와 같은 고주파-진동기구를 사용하는 치과의사 및 치과위생사에게서 진동감각역치의 변화가 예상되며, 말초신경병증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작업자세에 의한 장기간의 영향 및 아말감 충전시 사용하는 수은의 영향에 대해서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