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arography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27초

간단한 Analog 기억장치의 제작과 그 응용 (A Simple Fast Analog Storage Device and Its Applications)

  • 배인태;최규원;김하석
    • 대한화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03-109
    • /
    • 1981
  • 큰 입력지향을 갖는 20개의 sample and hold가 MOSFET으로 switching되는 간편하면서도 비용이 적게드는 analog 기억장치를 제작하였다. 이것은 digital로 3KHz.까지 임의로 조절되는 shift register로 연결되어 있다. 이 장치의 유용성을 보이기 위해 square와 sine파 및 fast-scan voltammetry와 differential pulse polarography의 전류-시간 변화와 같은 전기화학적 실험을 행하였다.

  • PDF

Determination of Chromium(VI) by Differential-Pulse Polarography with a Sodium Borate Supporting Electrolyte

  • Hong, Tae-kee;Czae, Myung-Zoo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9권2호
    • /
    • pp.77-80
    • /
    • 1988
  • A suituable choice of supporting electrolyte medium for trace level determinations of chromium(VI) by differential pulse polarography is described. A comparative study suggests that sodium borate buffer is superior to ammonium acetate, ammonium tartrate, and especially to NaF which was recently known to be one of the most proper medium for the purpose. With 0.01 M borate, the best combination of high sensitivity, well-defined base line, and freedom from common interferents was attained. With $5.0{\times}10^{-7}$M Cr(VI), tenfold excesses of Cu(II) and Fe(III), and a five hundred-fold excess of $Cl^-$ do not change the peak current by more than about 1%. And the detection limit was $5.0{\times}10^{-8}$M Cr(VI).

Electrochemical Study of Nickel(II) Complexes with Diaza-Macrocyclic Ligands in Acetonitrile

  • Moo-Lyong Seo;Zun-Ung Bae;Tae-Myoung Park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2권4호
    • /
    • pp.368-370
    • /
    • 1991
  • The electrochemical behavior and the complex formation between N$i^{2+}$ and 1,7-diazs-15-crown-5 and 1,10-diaza-18-crown-6 in acetonitrile solution have been studied by DC polarography, differential puke polarography and cyclic voltammetry. Nickel(Ⅱ) complexes gave a single well-defined wave. The formation constants of their complexes were 1$0^{4.89} and 10^{3.86}$, respectively. Nickel(Ⅱ) ion was found to form complexes of 1-to-1 composition with 1,7-diaza-15-crown-5 and 1,10-diaza-18-crown-6. In addition, reduction steps were irreversible and the reduction current were diffusion controlled. The electrochemical reduction mechanism of Ni(Ⅱ)-macrocyclic diaza-crown complexes in acetonitrile solution is estimated.

Differential Pulse Polarography에 의한 무기물 시료 중 Germanium의 미량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ce Analysis of Germanium in Inorganic Matrices by Differential Pulse Polarography)

  • 신호상;오윤숙;신학수
    • 분석과학
    • /
    • 제9권3호
    • /
    • pp.253-261
    • /
    • 1996
  • 무기시료 중에 게르마늄의 DPP에 의한 미량 분석법이 연구되었다. 1, 2, 3-트리하이드 록시벤젠이 함유된 과염소산 용액 중에 게르마늄(IV)의 환원 피크가 -0.45V(기준전극 Ag/AgCl)에서 나타났고, 이 피크의 높이는 농도에 직선성을 보였다. 게르마늄 분석시에 감도 및 정밀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이 조사되었고, 최적 조건하에서 검출한계는 1ng/ml였다. 무기물 시료들은 potassium pyrosulfate를 사용한 용융법으로 분해하였다. 게르마늄 검출시 Se(IV), Pb(II), As(III)의 간섭에 대한 조사가 있었고, 이들 간섭은 10M HCl용액 중에서 $CCl_4$로 추출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었다. 무기물 시료들 (Pb bf. dust, Cu bf. dust, 편마암, Cu anode slime)중의 게르마늄 함량은 위의 방법으로 정량되었다.

  • PDF

펄스차이 폴라로그래피를 이용한 갑상선기능조절 약제 중의 2-mercapto-1-methyl-imidazole 분석 (Analysis of 2-Mercapro-1-Methylimidazole in Controlling Drug of Thyroid by Differential Pulse Polarography)

  • 김일광;천현자;한성수
    • 대한화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37-143
    • /
    • 2004
  • 5.0${\times}10^{-2}$ M LiClO4 지지전해질에서 2-mercapto-1-methyl-imidazole(MMI)의 분석을 펄스차이폴라로그래피로 조사하였다. MMI의 분석에서 적절한 조건은 다음과 같다; 초기전위: -0.9 volts, 펄스세기: 0.08 mV, 주사속도: 2 mV/sec. 표준검량곡선은 1.0${\times}10^{-7}{\sim}8.0{\times}10^{-5}$ M 범위에서 좋은 직선성을 보였으며, 검출한계는 (2.2${\pm}0.1){\times}0.1^{-9}$ M이었다. 이 방법으로 첨가제의 방해없이 항갑상선 약제중의 MMI를 정량하는데 응용하였다.

${\alpha},{\beta}$-Dibenzyl N-Benzylidene L-Aspartate 의 Imino 기에 대한 선택적 전해환원반응 (Selective Electrochemical Reduction on the Imino Group of ${\alpha},{\beta}$-Dibenzyl N-Benzylidene L-Aspartate)

  • 김일광;김윤근;이영행;채규윤
    • 대한화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614-622
    • /
    • 1989
  • 0.1M LiCl의 ethanol 용액에서 ${\alpha},{\beta}$-dibenzyl N-benzylidene L-aspartate의 전기화학적 환원을 direct current, differential pulse polarography, cyclic voltammetry 그리고 controlled potential coulometry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alpha},{\beta}$-dibenzyl N-benzylidene L-aspartate의 환원과정은 1단계(-0.92 volts vs. Ag-AgCl)에서 양성자 첨가와 2전자이동에 의한 완전 비가역의 CEC 혹은 CE 반응기구로 진행되었으며 ${\alpha},{\beta}$-dibenzyl N-benzyl L-aspartate가 생성되었다. 계면활성제가 포함된 용액에서 polarography 환원파는 전체적으로 약간 억제되었으며 Triton X-100의 농도가 진해질수록 비가역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성물 분석과 pH 변화에 따른 전극환원과정에 대한 고찰로 전기화학적 반응기구를 제안하였다.

  • PDF

항갑상선 의약물 중 2-mercapto-1-methyl-imidazole의 펄스차이 폴라로그래피에 의한 분석 (Determination of 2-Mercapto-1-methyl-imidazole in Antithyroid Drug by Differential Pulse Polarography)

  • 김일광;천현자;임순화
    • 분석과학
    • /
    • 제8권1호
    • /
    • pp.17-23
    • /
    • 1995
  • $5.0{\times}10^{-2}M$ $LiClO_4$ 용액 중에서 펄스차이 폴라그래피로 2-mercapto-1-methyl-imidazole(MMI)의 정량방법을 조사하였다. 분석의 최적 조건은 초기전위 -0.9 volt vs. Ag/AgCl, 펄스높이 80mV, 주사속도 2mV/sec, 중간 크기 수은방울이었다. 검정곡선은 $1.0{\times}10^{-7}M$에서 $8.0{\times}10^{-5}M$ 범위까지 좋은 직선성을 보여 주었으며, 검출한계는 $2.2{\times}10^{-9}M$이었다. 이 방법은 다른 첨가제의 방해 없이 항갑상선 치료제 중의 MMI 정량에 응용할 수 있었다.

  • PDF

란탄족원소-ALC 착물의 전기화학적 연구 (Electrochemical study on the Lanthanide-Alizarin Complexone Complexes)

  • 손병찬;김재균;박종민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7권
    • /
    • pp.37-46
    • /
    • 1995
  • 란탄족이온($Gd^{3+},$ $Tb^{3+},$ $Dy^{3+},$ $Ho^{3+},$ $Er^{3+},$ $Yb^{3+}$$Lu^{3+}$)과 alizarin complexone(ALC) 사이에 생성한 착물의 전기화학적 거동을 직류폴라로그래피, 펄스차이폴라로그래피 및 순환전압전류법으로 연구하였다. 0.1M $HOA_C-NaOA_C$ 지지전해질 용액에서, 착화제인 ALC는 2전자 1단계의 1:1의 착물을 형성하였으며 이 착물의 환원파는 펄스차이폴라로그래피 및 순환전압전류법으로 흡착성 착물파임을 확인하였다. 착물파의 환원전위는 ALC의 환원파보다 음전위에서 나타났으며 란탄족이온의 농도의 증가에 따른 ALC의 봉우리전류(PI)의 감소와 착물의 봉우리전류($P_2$)의 증가는 란탄족이온의 농도 $2.5X10^5$~$1.0X10^4M$ 범위에서 직선적으로 변화하였다.

  • PDF

Acetonitrile 용액중에서 살충제 O, O-Dimethyl-O-(3-Methyl-4-Nitrophenyl)-Phosphorothioate (Fenitrothion)의 전기화학적 환원 (On the Electrochemical Reduction of O, O-Dimethyl-O-(3-Methyl-4-Nitrophenyl)-Phosphorthioate (Fenitrothion) Pesticide in Acetonitrile Solution)

  • 김일광;김윤근;천현자
    • 대한화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86-194
    • /
    • 1988
  • 계면활성 micelle을 형성하는 acetonitrile 용액을 O,O-dimethyl-O-(3-methyl-4-nitrophenyl)-phosphorothioate (Fenitrothion)의 전기화학적 환원을 direct current 및 differential pulase polarography, cyclic voltammetry 그리고 controlled potential coulometry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Fenitrothion의 환원과정은 1단계로 4 전자 이동에 의한 부분 가역적 전자이동 화학반응(EC, EC)기구로 O,O-dimethyl-O-(3-methyl-4-hydroxyaminophenyl)-phosphorothioate를 형성하고, 더 높은 음전위에서 2 전자 이동에 따른 양성자 반응으로 phosphorus 원자와 phenoxy group의 단일 결합이 끊어지면서 주 생성물인 p-amino-m-cresol과 dimethyl thiophosphinic acid를 생성하였다. Sodium lauryl sulfate micelle 용액에서 polarography 환원파는 전체적으로 억제 되었으며 특히 1차 환원파는 음이온 micelle의 선택적 작용으로 2단계로 분리되었다.

  • PDF

염기성 수용액에서 우라닐이온의 전기화학적 환원 (Electrochemical Reduction of Uranyl Ion in Aqueous Basic Solutions)

  • 박종민
    • 대한화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21-128
    • /
    • 1985
  • 우라닐 이온의 염기성수용액에서의 전기화학적인 환원 반응을 폴라로그래피 및 순환전압 전류법을 써서 고찰하였다. 그 결과 0.1M 탄산수소나트륨 및 여기에 0.1M sodium tripolyphosphate를 섞은 혼합용액에서 첫째 환원파는 $UO_2^{2+}$로부터 $UO_2^+$로 환원반응이 일어난 결과로 볼 수 있다. 또한 우라닐이온은 이매질에서 상당한 정도의 가수분해가 일어난 것으로 안다. 이 가수분해 생성물인 $UO_2OH^+$는 첫째 환원파에서 환원이 일어나지 않고 둘째 환원파에서 $UO_2^+$와 함께 일어난다. 우라닐이온 농도 $7.5 {\times} 10^{-4}$에서 $3.75 {\times}10^{-3}$M까지의 범위에서 확산전류는 비례관계가 성립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