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kemon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19초

Expression of the Proto-oncogene Pokemon in Colorectal Cancer - Inhibitory Effects of an siRNA

  • Zhao, Gan-Ting;Yang, Li-Juan;Li, Xi-Xia;Cui, Hui-Lin;Guo, Ru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9호
    • /
    • pp.4999-5005
    • /
    • 2013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expression of the proto-oncogene POK erythroid myeloid ontogenic factor (Pokemon) in colorectal cancer (CRC), and assess inhibitory effects of a small interference RNA (siRNA) expression vector in SW480 and SW620 cells. Methods: Semi-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nd immunohistochemistry were performed to determine mRNA and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Pokemon in CRC tissues. Indirect immunofluorescence staining was applied to investigate the location of Pokemon in SW480 and SW620 cells. The siRNA expression vectors that were constructed to express a short hairpin RNA against Pokemon were transfected to the SW480 and SW620 cells with a liposome. Expression levels of Pokemon mRNA and protein were examined by real-time quantitative-fluorescent PCR and western blot analysis. The effects of Pokemon silencing on proliferation of SW480 and SW620 cells were evaluated with reference to growth curves with MTT assays. Results: The mRNA expression level of Pokemon in tumor tissues ($0.845{\pm}0.344$)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adjacent tumor specimens ($0.321{\pm}0.197$). The positive expression ratio of Pokemon protein in CRC (87.0%)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adjacent tissues (19.6%). Strong fluorescence staining of Pokemon protein was observed in the cytoplasm of the SW480 and SW620 cells. The inhibition ratios of Pokemon mRNA and protein in the SW480 cells were 83.1% and 73.5% at 48 and 72 h,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ose of the negative control cells with the siRNA. In the SW620 cells, the inhibition ratios of Pokemon mRNA and protein were 76.3% and 68.7% at 48 and 72 h, respectively. MTT showed that Pokemon gene silencing inhibited the proliferation of SW480 and SW620 cells. Conclusion: Overexpression of Pokemon in CRC may have a function in carcinogenesis and progression. siRNA expression vectors could effectively inhibit mRNA and protein expression of Pokemon in SW480 and SW620 cells, thereby reducing malignant cell proliferation.

모바일 증강현실 게임 포켓몬Go의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mobile Augmented reality of game Pokemon Go)

  • 주은령;정진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2호
    • /
    • pp.473-480
    • /
    • 2019
  • 현재 국내 게임회사들은 기존 상용화된 게임 중 사용자에게 인기가 높았던 PC 기반 게임들을 리메이크하여 모바일 게임으로 제작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포켓몬스터> 게임 콘텐츠가 모바일 증강현실 게임 <포켓몬 Go>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연구하였으며, 도출된 모바일 증강현실의 특징 5가지를 의미적으로 해석하고 분류하였다. 연구 범위는 <포켓몬 Go>가 출시되었던 2016년을 기준으로 그전까지 발매된 <포켓몬스터> 콘솔/모바일 게임들로 한정하였다. 분석 결과 <포켓몬 Go>는 50가지 특성을 보여주었으며 78%를 기존 <포켓몬스터> 게임에서 가져왔고 22%를 새롭게 제작하였으며 24%의 Reality를 포함하고 있었다. 포켓몬스터 게임시리즈 <오메가루비>, <알파사파이어>가 오락성, 상호작용성, 현실감 부분에 그외 시리즈 <포켓몬 AR 서처>가 몰입감 부분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본 연구 자료를 기초로 하여 기존 게임콘텐츠를 활용한 모바일 증강현실 게임이 더욱 활발히 제작되어지기를 희망하며, 이는 곧 국내·외 게임 산업의 성장으로 이어지리라 기대한다.

Expression of the Pokemon Proto-oncogene in Nasopharyngeal Carcinoma Cell Lines and Tissues

  • Jiao, Wei;Liu, Fei;Tang, Feng-Zhu;Lan, Jiao;Xiao, Rui-Ping;Chen, Xing-Zhou;Ye, Hui-Lan;Cai, Yong-Li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1호
    • /
    • pp.6315-6319
    • /
    • 2013
  • To study the differentiated expression of the proto-oncogene Pokemon in nasopharyngeal carcinoma (NPC) cell lines and tissues, mRNA and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CNE1, CNE2, CNE3 and C666-1 were detected separately by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real-time PCR and Western-blotting. The immortalized nasopharyngeal epithelial cell line NP69 was used as a control. The Pokemon protein expression level in biopsy specimens from chronic rhinitis patients and undifferentiated non keratinizing NPC patients was determined by Western-blotting and arranged from high to low: C666-1>CNE1>CNE2> CNE3>NP69. The Pokemon mRNA expression level was also arranged from high to low: CNE1>CNE2>NP69>C666-1>CNE3. Pokemon expression of NP69 and C666-1 obviously varied from mRNA to protein. The Pokemon protein level of NPC biopsy specimens was obviously higher than in chronic rhinitis. The data suggest that high Pokemon protein expression is closely associated with undifferentiated non-keratinizing NPC and may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NPC molecular target therapy.

'포켓몬GO 신드롬'으로 본 국내 VR/AR 지원정책 고찰 (The study for Korean VR/AR content policy through PokemonGo syndrome)

  • 최중빈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169-178
    • /
    • 2016
  • 포켓몬GO의 열풍으로 국내 VR/AR 산업에 대한 인지도가 확산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관심의 증가에 따라 국내 VR/AR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C-P-N-D 관점에서의 VR/AR 생태계 조성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C-P-N-D 관점에서 VR/AR 산업 생태계 현황을 분석하고, 정부와 지자체의 VR/AR 지원정책을 콘텐츠 생태계적 관점에서 고찰하여 보았다. 특히 VR/AR 산업에서 플랫폼과 IP의 중요성을 집중적으로 부각하여 그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실외형 증강현실 게임의 등급분류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ge Rating Criteria for Outdoor Augmented Reality Game)

  • 강주영;이환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0호
    • /
    • pp.439-447
    • /
    • 2016
  • 최근 증강현실 게임인 Pokemon GO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게임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직 간접적인 문제들이 부각되면서 우려 또한 증가하고 있다. 국내는 아직 정식으로 출시되지는 않았으나 국내의 게임 등급 분류기준은 이러한 실외형 증강현실 게임에 적용하기에는 한계점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Pokemon GO와 관련하여 실제 발생한 문제 상황을 살펴보고 국내외의 게임물등급분류체계를 분석하여 국내 게임 이용자들의 안전한 게임이용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실외형 증강현실 게임의 문제점에 대한 사례들을 분석한 결과 이용자의 안전한 이용을 위해서는 기존의 게임등급분류체계에 '물리적 위험성'이라는 새로운 기준이 추가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게임 규제가 완화되어가고 있는 시점에서 가까운 미래에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게임이 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사전 안전장치로써 게임물등급분류체계에 대한 개선방향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안전한 게임 이용을 통해 게임 이용 및 산업 성장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한다.

AR게임 분석과 비즈니스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R Game Analysis and Business Model)

  • 강예슬;강지영;윤희영;황진주;장영현;고창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2권4호
    • /
    • pp.49-54
    • /
    • 2016
  • AR/VR의 발전으로 게임은 내부에서 즐기는 정적인 콘텐츠에서 외부에서 즐기는 동적인 콘텐츠로 확장되었다. 대표적인 AR게임인 'Pokemon Go'는 출시 즉시 신드롬을 만들어내며 닌텐도사의 주가를 120% 상승시켰다. 게임을 통하여 경제적 이익을 얻게 된 사람도 있지만 실제 현장을 방문하는 게임의 형태로 인하여 무단 침입, 교통사고와 같은 새로운 피해사례가 발생하고 있으며 교통사고 건수만 해도 약 11만 4000여건이나 된다. 본 논문에서는 2016년 AR게임 동향을 파악하고 피해 및 긍정사례들을 분석하며, AR게임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는 방법과 비즈니스 모델을 제안한다.

<포켓몬GO>의 인기요인과 스토리텔링 분석 (Analysis on the Popularity and Storytelling of Pokomon GO)

  • 이재홍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159-168
    • /
    • 2016
  • <포켓몬GO>는 나이언틱랩스와 닌텐도가 협력하여 만든 증강현실게임이다. 이 게임은 위치 정보, 스마트폰의 영상인식 기술, GPS의 위치 추적 기술 등이 응용되는 증강현실기술과 <포켓몬스터>라는 걸출한 IP가 융합되어 만들어진 새로운 형태의 AR형 RPG다. <포켓몬GO>가 세계적으로 주목 받고 있는 성공요인은 AR기술과의 융합에 있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20년 동안 스토리를 성장시켜 온 <포켓몬스터>의 활용에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포켓몬GO>의 인기요인은 전통문화원형을 활용한 인문학적 상상력과 AR게임기술의 공학적 상상력이 어우러지는 융합콘텐츠의 성공적인 스토리텔링의 결과라는 사실을 인식할 수 있었다.

전력산업에서 VR/AR 기술동향 및 공통 플랫폼 구성방안 연구 (A Planning study on the VR/AR Common Platform in Electric Power Industry)

  • 채창훈;최민희;유은근;임찬욱;박진우;정남준
    •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 /
    • 제2권3호
    • /
    • pp.397-402
    • /
    • 2016
  • 최근 세계적인 ICT 기업들이 가상현실 (VR)과 증강현실 (AR) 기술의 생태계 확장을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기존의 엔터테인먼트 분야뿐만 아니라 교육, e-커머스 등 다양한 산업으로 발전시키고 있으며, 전력, 에너지 분야 또한 예외가 아니다. 전력산업에서도 VR/AR 기술 적용을 통한 어플리케이션의 증가가 예상되고 있어, 관련 기술 요소들을 데이터와 프로세스 관점에서 표준화하여 재사용성을 높이고, 기존 Legacy 시스템 연동과 보안 등을 고려한 플랫폼 구성을 선행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효율과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VR, AR의 기술개발 동향 및 전력산업에서의 적용가능성과 플랫폼의 필요성, 구성요소들을 도출하여 기능적으로 완성도 높고 사용이 편리한 다양한 전력 VR/AR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포켓몬고 (Pokemon GO)와 같은 전력분야의 혁명적인 킬러 어플리케이션의 도출과 플랫폼 표준을 이끌어갈 것으로 기대한다.

가상 증강현실 기반의 의료서비스 (Medical Service Based on AR and VR)

  • 연윤모;우성희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03-806
    • /
    • 2016
  • '포켓몬 고'가 단순히 게임 목적이지만 이것은 사용자들의 행동변화를 이끌어 낸다는 의미에서 헬스케어분야의 문제를 해결하는 실마리를 제공하고 있다. '포켓몬 고'는 포켓몬 게임 시리즈의 스핀오프로, 증강 현실기술을 활용한 것이다. 증강현실은 현실세계를 보완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많은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광범위한 기술로써 의료분야, 방송분야, 제조분야, 모바일 분야등에 활용되고 있다. 특히, 의료 분야는 증강 현실 초기부터 가장 활발히 적용되는 분야로써, 자기공명장치(MRI), 초음파 등의 3차원 데이터 센서를 이용하여 환자의 상태나 환부에 대한 정보를 실제 환자의 영상과 합성하여 정확한 의료 진단과 불필요한 절개를 막는 등 의료 분야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상 증강현실 기술동향과 의료서비스에 적용사례, 미래의 가상 및 증강현실 기반의 의료서비스를 분석 및 기술한다.

  • PDF

증강현실 게임에서 연령에 따른 위험 인식 차이 연구 (A Study on the Risk Perception differences by Age on Augmented Reality Game)

  • 최지은;강주영;이환수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401-410
    • /
    • 2017
  • 증강현실 게임은 현실 공간에서 발생 가능한 물리적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게임과는 차이가 있다. 실제로 포켓몬 고 게임과 관련한 사고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에도 이러한 유형의 위험에 대한 학술적 논의는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증강현실 게임에서 나타나는 인지된 위험 유형에 대한 탐색과 함께 위험 인식 수준이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게임 중독성향 및 감각추구 성향이 강하게 나타나는 청소년 그룹과 청장년층의 인식 수준 비교를 통해 연구 시사점을 도출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10대의 경우 경제적 위험 인식이 증가할수록 이용 의도가 감소하고 20대 이상의 경우 시간적 위험 인식이 높을수록 이용 의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적/신체적 위험의 경우 10대의 경우 이용 의도 감소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20대 이상의 경우 오히려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증강현실 게임의 안전한 이용을 위해서 적절한 규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