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hang ozone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1초

수반모형을 이용한 한반도 남동지역의 오존 전구물질의 오존 생성 민감도에 관한 수치연구 (Numerical Study on the Ozone Formation Sensitivity of Precursors Using Adjoint Model around the South-eastern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 박순영;이순환;이화운;김동혁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669-680
    • /
    • 2013
  • 한반도 동남 지역에서 고농도 오존이 발생한 사례에 대해 $NO_x$에 대한 오존의 수반민감도를 살펴보았다. 사례일에 지배적이었던 국지 순환과 고농도 오존을 모의하기 위해 WRF-CMAQ 모델을 사용하였다. 수반민감도 분석을 위해 CMAQ의 수반 모델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농도 오존에 주변지역이 미친 영향을 살펴본 수용지 중심의 민감도 분석이다. 또한, 행정 구역별 기여도를 정량적으로 산정하였는데, 대구를 수용지로 하는 민감도 분석 결과 영향지역은 대구에 인접하여 포항으로 이어지는 영역과 남동쪽으로 떨어진 넓은 지역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 영역은 고농도 사례일 당일에 배출된 $NO_x$의 민감도가 주로 나타났고 두 번째 영역은 전 날 배출에 의한 영향이었다. 반면, 부산을 수용지로 한 경우 사례일 당일 주간의 해풍의 영향으로 같은 날의 $NO_x$ 배출 효과 보다는 전 날 배출되었던 농도에 대한 민감도가 더 중요하였다. 민감도 영향지역에 대한 단면도 분석 결과 지표부근의 $NO_x$ 수송과 함께 상층에서 이류되는 영향도 중요하였다.

원료가스의 온도변화를 고려한 중첩방전형 오존발생장치의 특성 (The Charecteristics of Superposed Discharge Type Ozonizing System Considering the Change of Temperature of. the Supplied Gas)

  • 이상근;송현직;전병준;김영훈;김상구;박원주;이광식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8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E
    • /
    • pp.1705-1707
    • /
    • 1998
  • In this paper, a superposed discharge type ozonizer was designed and manufactured. The ozonizer is equipped with three electrodes : central electrode, internal electrode and external electrode, and it consists of two gaps. The ozone is generated by superposing silent discharge, which are respectively generated betweens two gaps. This paper describes the following two characteristics : (1) 'the characteristics of discharge with variation with output voltage of AC High Voltage source, quantity of the supplied gas and discharge voltage (2) the characteristics of ozone discharge power, temperature of the supplied gas.

  • PDF

대조코호트 연구를 위한 충주의 대기오염현황 조사와 산단지역과의 비교 (The Investigation and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of Air Pollution for Cohort Study in Chungju with Industrial Cities)

  • 김재훈;위성승;남상훈;안정선;김대선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11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ir quality in Chungju, Korea, using data obtained with a local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We have utilised cohort studie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he health of residents near large industrial complexes since 2004. This study analyzes the $O_3,\;NO_2,\;SO_2,\;CO\;and\;PM_{10}$ concentration in Chungju from 2002 to 2006. Air pollutants are closely related to the number of manufacturing facilities and cars, energy utilization and weather conditions. Generally, the diurnal concentration of air pollutants in Chungju reached the highest level in the morning (about$08:00{\sim}$) and early evening (about$19:00{\sim}$). On the other hand, the diurnal concentration of ozone as recorded gives the highest amount in late afternoon (about$16:00{\sim}$) and lowest in early morning (about$08:00{\sim}$). The concentration of air pollutants in Chungju was highest from winter to spring and lowest during the summer season. On the other hand, the monthly variation of ozone concentration was greatest in June and smallest in December. Also the, $PM_{10}$ concentration posted the highest record in April and the lowest during September. In general, this study analyzed air pollution changes in Chungju as well as in large scale industrial complex regions within Korea such as Ulsan, Pohang, Kwangyang, Sihwa Panwol and Gangneung in Korea. We compared the air quality of Chungju with those of these cites and found that air pollutants except for CO in Chungju was generally lower than large industrial complex regions.

복사전달방정식을 이용한 조사율 추정 (Estimation of dose rate using radiative transfer equations)

  • 문윤섭;김유근;이영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1권12호
    • /
    • pp.1195-1204
    • /
    • 2002
  • We calculated dose rate using radiative transfer equations to consider radiative processes distinctly. The dose rate at Pohang(36°02'N, 129°23'E) was calculated using measured ozone and meteorological data and two-stream approximations(quadrature, Eddington, delta Eddington, PIFM(practical improved flux method), discrete ordinate, delta discrete ordinate) are used in solving eq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most compatible radiative transfer approximation for simulating the radiative and photochemical processes of atmosphere through comparision between calculated and measured values. Dose rate of the biologically effective irradiance in the region 0.28-0.32 U m showed the highest value when quadrature and Eddington was used and lower value on condition that delta scaling was applied.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dose rate at surface using radiation transfer equation and measured UV-B at Pohang was 0.78, 0.79 and 0.81 when delta Eddington, PIFM and delta discrete ordinate were used. Also, in case of above approximations were used, MBE(Mean Bias Error) was within -0.3MED/30min and RMBE(Relative Mean Bias Error) was below 10% between 1200 LST and 1400 LST Approximations which are compatible in estimating radiative process are delta Eddington, PIFM and delta discrete ordinate. Especially, in case that radiative process is considered more detail, delta discrete ordinate increased the number of stream is proper.

한반도 상공의 ADEOS/IMG 관측 자료와 존데 자료의 비교 분석 (Intercomparisons of ADEOS/IMG Measurements with the Sonde Observations over Korea)

  • 조하만;김주공;오성남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53-266
    • /
    • 1999
  • ADEOS/IMG로 관측한 온도, 수증기, 오존의 분포를 1997년 (a)1월 10일, (b)1월 28일, (c)4월 2일, (d)6월 19일에 대하여 오산과 포항의 존데 관측 자료와 비교하였다. 전반적으로 오산의 자료와 비교한 (b)와 (d)의 경우는 대체로 존데 자료에 근접하였지만 포항의 자료와 비교한 (a)과 (c)의 경우는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예를 들면 (b)와 (d)의 경우에 온도에 대한 RMSE 와 편의 분석 결과는 700~300 hPa 에서는 약 1~4 K, 그 이상의 고도에서는 4~5 K 이상의 편의를 나타내는데, 이것은 존데에 의한 관측 자료의 신뢰성 수준에 대한 논의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오존 분포에 대하여 동일한 분석을 시행한 레벨 2 5_6_4_4 버전의 결과는 50~60 hPa 이상의 상층을 제외하고는 그 차이가 0.3 ppmv 이하로 나타났다. 1997년 6월 19일에 한반도 상공의 5개 지점에서 관측한 IMG 자료중 레벨 2 5_6_4_4 버전의 결과는 온도, $H_2O$, $O_3$, CO의 연직 분포와는 달리 $CO_2$, $N_2$O, CH$_4$, HNO$_3$의 연직 분포는 관측지점이 달라짐에 따라 최대 농도가 나타나는 고도를 중심으로 그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대구-경북지역 광역대도시와 산업도시 환경기준 대기오염물질의 시간적 및 공간적 오염도 특성 (Temporal and Spatial Pollution Characteristics of Ambient Criteria Pollutants in Metropolitan and Industrial Cities of Daegu-Gyeongbuk Area)

  • 이현철;조완근;김종태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2권4호
    • /
    • pp.329-337
    • /
    • 2007
  • This study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nitrogen dioxide ($NO_2$), ozone ($NO_3$) and sulfur dioxide ($SO_2$) in three cities of Daegu-Gyeongbuk Area (Daegu, Pohang, and Gumi), which have different city or industrial characteristics, over a time period of 2 years. The diurnal, weekly, monthly and seasonal concentration variations of criteria air pollutants were attributed to compounds or city types. However, the seasonal variations of $O_3$ concentrations were dependent on compounds, but not on city types. Lower $O_3$ concentrations were observed in July when comparing with other summer months. For $SO_2$ and $NO_2$, the concentrations were higher in Daegu when compared to Pohang and Gumi, while the concentrations of $O_3$ were higher in Pohang and Gumi. $SO_2$ exhibited higher levels in the morning hours, while $O_3\;and\;NO_2$ exhibited higher levels in the afternoon hours for all cities. For $O_3$, the concentrations observed during Sunday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week or weekend days. Furthermore, the monthly and seasonal concentration variations of air pollutants depended on compounds or city types. It if noteworthy that the current monthly and seasonal variations were consistent with several prey ious studies.

Showering Discharge형 오존발생장치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Showering Discharge Type Ozonizer)

  • 김금영;문경수;송현직;이광식;이동인;전영주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9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E
    • /
    • pp.2248-2250
    • /
    • 1999
  • In this paper, showering discharge type ozonizer has been designed and manufactured. The ozonizer is equipped with three electrodes(central electrode of screw shape, internal electrode and external electrode) of cylinder shape. This paper describes the following two characteristics: (1) The characteristics of discharge with variation of output voltage of AC H.V source, flux of oxygen supplied gas and discharge voltage. (2) The characteristics of ozone generation by varying flux and discharge power.

  • PDF

세척방법에 따른 생선회의 저장 중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liced Raw-fish Washed by Different Methods during Storage)

  • 오승희;정유경;김수현;김순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571-577
    • /
    • 2007
  • 여러 가지 세척제(A; 수돗물, B; 옥수, C; 0.2% chitosan-ascorbate(CA), D; 0.03 ppm 오존수, E; 1.5% 식초를 함유하는 옥수, F; 1.5%식초와 CA를 함유하는 옥수)로 세척한 넙치회와 우럭회를 $10^{\circ}C$에서 저장(DS) 및 $-20^{\circ}C$서 7일간 동결한 후 $10^{\circ}C$에서 저장(TS)하면서 저장성을 조사하였다. DS는 TS에 비하여 pH와 산도의 변화가 적었다. 저장 3일째 DS 넙치회의 경우, 대조구(A)의 총균수(log cfu/g)는 6.7로 당일 5.8에 비하여 약 1 log cycle이 증가하였으나 B는 5.50, C는 3.23, D는 4.90, E는 2.40, F는 1.77로 처리직후에 비하여 감소하거나 유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감균효과는 DS와 TS 모두 F > E > D > C > B > A 순이었고 우럭회에서는 F > E > C > D > B > A 순이었다. 텍스쳐는 넙치회와 우럭회 다 같이 전반적으로 TS가 DS보다 경도와 씹힘성이 좋았다. TS에서 C가 텍스쳐에 미치는 효과는 넙치에서는 크지 않았으나 우럭에서는 비교적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DS의 경우, 외관은 B, C 및 D가 A보다 양호하였으며 신선한 정도도 외관과 대체적으로 유사하였다. 비린내는 A > B > F > E > D > C의 순으로 낮았다. 종합적 기호도는 넙치회와 우럭회 모두 C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TS의 경우, 외관은 넙치회에서는 B가, 우럭회에서는 C가 양호하였다. 신선한 정도는 넙치회에서는 D > C > B > A > E > F순, 우럭회에서는 D > C > B > A > E > F순이었다. 비린내는 넙치회 우럭회 모두 D에서 가장 낮았으며, 종합적 기호도도 모두 D에서 가장 양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