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neumonectomy

검색결과 301건 처리시간 0.024초

소세포폐암의 수술 성적 (Surgical Resection of Small Cell Lung Cancer(SCLC))

  • 정경영;홍기표;김길동;김대준;김주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2호
    • /
    • pp.1195-1199
    • /
    • 1998
  • 배경: 소세포폐암에 있어 수술의 적응은 제한적이었으며 수술의 결과에 대하여서도 논란이 많다. 대상 환자는 1992년 1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신촌세브란스 흉부외과에서 수술한 9명의 환자로서 남자가 8명, 여자가 1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57.2세(range; 35∼76세)이었다. 대상 및 방법: 수술전 소세포폐암으로 진단되었던 예는 5예이었으며 4예에서의 수술전 진단은 분화가 안된 편평상피세포암이었다. 수술은 전예에서 폐절제술 및 종격동림프절박리술을 시행하였고 폐단엽절제술이 5예, 폐단엽절제술과 분엽절제술 및 늑골을 포함한 En-block 절제 1예, 폐이엽절제술 2예, 전폐절제술 1예 등이었다. 결과: 수술사망 예는 없었으며 수술 후 합병증으로는 출혈 1예, 심부정맥 1예 등이 있었다. 수술 후 전예에서 소세포암이 확인되었고 수술 후 병기는 T1N0M0 1예, T2N0M0 4예, T3N0M0 1예, T3N1M0 1예, T2N2M0 1예, T4N0M0 1예이었다. 수술 후 5예에서는 항암화학요법을, 4예에서는 항암화학요법 및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다. 전예에서 추적이 가능하여 평균 추적기간은 평균 33.0개월(1-63개월이었고 추적기간중 림프절로의 전이가 없는 경우 6예 중에서는 1예에서만 장골에 전이가 발견되었으나 생존해있고, 림프절로의 전이가 있거나 T4 병변인 3예에서는 2예는 국소 부위, 1예는 뇌에 재발이 있었으며 이중 2예는 사망하였다. 결론: 소세포폐암에서도 TNM 병기가 유용하며 종격동 또는 구역 림프절로의 전이가 없는 경우에는 수술 후 성적이 양호하여 초기 병기의 소세포폐암 환자에서는 항암화학요법과 함께 적극적인 수술 절제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Surgical Outcomes in Small Cell Lung Cancer

  • Ju, Min-Ho;Kim, Hyeong-Ryul;Kim, Joon-Bum;Kim, Yong-Hee;Kim, Dong-Kwan;Park, Seung-Il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5권1호
    • /
    • pp.40-44
    • /
    • 2012
  • Background: The experience of a single-institution regarding surgery for small cell lung cancer (SCLC) was reviewed to evaluate the surgical outcomes and prognose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ly 1990 to December 2009, thirty-four patients (28 male) underwent major pulmonary resection and lymph node dissection for SCLC. Lobectomy was performed in 24 patients, pneumonectomy in eight, bilobectomy in one, and segmentectomy in one. Surgical complications, mortality, the disease-free survival (DFS) rate, and the overall survival rate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Results: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26 months (range, 4 to 241 months), and there was one surgical mortality (2.9%). Six patients (17.6%) experienced recurrence, all of which were systemic. Eight patients died during follow-up; four died of disease progression and the other four died of pneumonia or of another non-cancerous cause. The three-year DFS rate was $79.2{\pm}2.6%$ and the overall survival rate was $66.4{\pm}10.5%$. Recurrence or death was significantly prevalent in the patients with lymph node metastasis (p=0.001) as well as in those who did not undergo adjuvant chemotherapy (p=0.008). The three-year survival rate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patients with pathologic stage I/II cancer than in those with stage III cancer (84% vs. 13%, p=0.001). Conclusion: Major pulmonary resection for small cell lung cancer is feasible in selected patients. Patients with pathologic stage I or II disease showed an excellent survival rate after surgery and adjuvant treatment. Prospective randomized studies will be needed to define the role of surgery in early-stage small cell lung cancer.

Preliminary results of entire pleural intensity-modulated radiotherapy in a neoadjuvant setting for resectable malignant mesothelioma

  • Hong, Ji Hyun;Lee, Hyo Chun;Choi, Kyu Hye;Moon, Seok Whan;Kim, Kyung Soo;Hong, Suk Hee;Hong, Ju-Young;Kim, Yeon-Sil;Multidisciplinary Team of Lung Cancer in Seoul St. Mary's Hospital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7권2호
    • /
    • pp.101-109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afety and efficacy of the multimodality treatment with neoadjuvant intensity-modulated radiotherapy (IMRT) for resectable clinical T1-3N0-1M0 malignant pleural mesothelioma (MPM).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eleven patients who received neoadjuvant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between March 2016 and June 2018 were reviewed. Patients received 25 Gy in 5 fractions to entire ipsilateral hemithorax with helical tomotherapy. Results: All of patients were men with a median age of 56 years. Epithelioid subtype was found in 10 patients. All patients received neoadjuvant chemotherapy with pemetrexed-cisplatin regimen. Ten patients (90.9%) completed 25 Gy/5 fractions and one (9.0%) completed 20 Gy/4 fractions of radiotherapy. IMRT was well tolerated with only one acute grade 3 radiation pneumonitis. Surgery was performed 1 week (median, 8 days; range, 1 to 15 days) after completing IMRT. Extrapleural pneumonectomy was performed in 4 patients (36.3%), extended pleurectomy/decortication in 2 (18.2%) and pleurectomy/decortications in 5 (63.6%). There was no grade 3+ surgical complication except two deaths after EPP in 1 month. Based on operative findings and pathologic staging, adjuvant chemotherapy was delivered in 7 patients (63.6%), and 2 (18.2%) were decided to add adjuvant radiotherapy. After a median follow-up of 14.6 months (range, 2.8 to 30 months), there were 3 local recurrence (33.3%) and 1 distant metastasis (11.1%). Conclusion: Neoadjuvant entire pleural IMRT can be delivered with a favorable radiation complication. An optimal strategy has to be made in resectable MPM patients who would benefit from neoadjuvant radiation and surgery.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look at long-term outcomes.

흉부 세침 흡인 생검 후 발생한 폐암의 이식성 체벽 전이 2례 (Implantation Metastasis of Lung Cancer to Chest Wall after Percutaneous Fine-Needle Aspiration Biopsy)

  • 정승묵;원태경;김태형;황흥곤;김미영;정원제;임병성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0권6호
    • /
    • pp.718-725
    • /
    • 2001
  • 세침흡인생검을 통한 폐암의 파종성 체벽 전이는 매우 드물기는 하나 환자의 예후를 현저히 악화시킬 수 있는 매우 심각한 합병증이다. 그러나 그 보고가 매우 드문데, 본 저자등은 2예를 경험하여 이를 성공적으로 치료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43세 여자환자는 선암 IB로 수술 후 2년후에 이식성 체벽 전이암이 발생하여 이를 종양 적출술 및 방사선 치료를 하였다. 다른 65세 남자환자는 편평상피세포암 IB로 수술을 시행한 8개월 후 무통성 체벽 전이암이 발생하여 종양 적출술과 방사선 치료를 병행하였다. 그 후 이들은 체벽의 이식성 전이암을 제거한지 각각 15개월과 37개월이 지난 현재까지 생존해 있다. 아직까지 세침흡인 생검 후 발생한 암의 이식성 체벽전이에 대한 확립된 치료 지침은 없으나, 그간의 문헌의 고찰 및 본 저자등의 경험을 비추어 암 적출술과 방사선 치료를 병행하였을 경우 성공적으로 치료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수술적 절제가 가능한 원발성 폐암 환자에서 병발된 방사선학적으로 발견되지 않은 동시성 원발성 폐암을 아르곤 플라스마 응고소작술로 치료한 1예 (Synchronous Roentgenographically Occult Lung Carcinoma Treated with Argon Plasma Coagulation in a Patient with Resectable Primary Lung Cancer)

  • 권미혜;강미일;정지현;원희관;박현웅;박정호;김성태;권선중;최유진;나문준;조현민;김영진;김윤미;조영준;손지웅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5권2호
    • /
    • pp.137-141
    • /
    • 2008
  • 1990년대 초부터 형광 기관지 내시경이 임상 진료에 사용되면서 방사선검사에서 나타나지 않는 상피내 폐암이나 미세하게 진행된 조기 폐암의 진단 빈도가 늘어났으며, 이러한 상피내 폐암의 과반수 이상에서 진행성 폐암으로 진행하므로, 근치적 목적의 치료가 더욱 조기에 도입될 수 있어 폐암 치료에서의 중요한 진단 도구가 되었다. 치료적 내시경술의 발달로 기존의 진행된 폐암에서 기도 폐쇄 감소 혹은 출혈 부위의 지혈 등의 완화적 목적뿐 아니라, 조기 폐암이지만 심폐 기능 등 전신 상태의 문제로 수술이 불가능한 환자에서 근치적 치료로도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수술의 절제 범위를 축소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아르곤 플라스마 응고소작술(argon plasma coagulation, APC)은 레이저와 광역학 치료법(photodynamic therapy, PDT) 등에 비하여 조기 폐암 병변의 치료에 서 근치적 치료 및 진행성 폐암에서의 완화요법으로서 효과면에서 동등하고, 특히 침투 범위가 얕으므로 표재성 의 병변에서 탁월하며, 경제적 접근성이 용이하다. 저자들은 우측 상엽의 절제 가능한 폐암에 우측 하엽에 상피내 암이 동반된 동시성 원발성 폐암 환자를 우측상엽절제와 APC로써 치료한 증례 1예를 경험하여 보고한다.

Prognostic Factors for Lymph Node Negative Stage I and IIA Non-small Cell Lung Cancer: Multicenter Experiences

  • Ustaalioglu, Bala Basak Oven;Unal, Olcun Umit;Turan, Nedim;Bilici, Ahmet;Kaya, Serap;Eren, Tulay;Ulas, Arife;Inal, Ali;Berk, Veli;Demirci, Umut;Alici, Suleyman;Bal, Oznur;Benekli, Mustafa;Gumus, Mahmut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1호
    • /
    • pp.6287-6292
    • /
    • 2013
  • Background: Surgery is the only curative treatment for operable non-small lung cancer (NSCLC) and the importance of adjuvant chemotherapy for stage IB patients is unclear. Herein, we evaluated prognostic factors for survival and factors related with adjuvant treatment decisions for stage I and IIA NSCLC patients without lymph node metastasis.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302 patients who had undergone curative surgery for prognostic factors regarding survival and clinicopathological factors related to adjuvant chemotherapy. Results: Nearly 90% of the patients underwent lobectomy or pneumonectomy with mediastinal lymph node resection. For the others, wedge resection were performed. The patients were diagnosed as stage IA in 35%, IB in 49% and IIA in 17%. Histopathological type (p=0.02), tumor diameter (p=0.01) and stage (p<0.001) were found to be related to adjuvant chemotherapy decisions, while operation type, lypmhovascular invasion (LVI), grade and the presence of recurrence were important factors in predicting overall survival (OS), and operation type, tumor size greater than 4 cm, T stage, LVI, and visceral pleural invasion were related with disease free survival (DFS).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operation type (p<0.001, hazard ratio (HR):1.91) and the presence of recurrence (p<0.001, HR:0.007) wer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for OS, as well visceral pleural invasion (p=0.01, HR:0.57) and LVI (p=0.004, HR:0.57) for DFS. Conclusions: Although adjuvant chemotherapy is standard for early stage lymph node positive NSCLC, it has less clear importance in stage I and IIA patients without lymph node metastasis.

악성간엽종의 외과적 치료 -1례보고- (Surgical Management of Malignant Mesenchymoma of the Lung in an Adult -A Case Report-)

  • 양수호;전양빈;전순호;김혁;정원상;최요원;전석철;전석훈;박문향;지행옥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2호
    • /
    • pp.186-189
    • /
    • 1998
  • 악성 간엽종은 유아와 태생기에서 매우 드문 종양이다. 악성간엽종은 성인에서 극히 드물고 섬유조직이외의 둘 또는 그 이상의 간엽성분으로 구성된 종양으로 결체조직의 어떤 형태로도 분화할 가능성이 있는 태생기 간엽에서 기원한다고 생각된다. 환자는 61세 남자로 2개월 전 가래를 동반한 기침을 주소로 검사를 받던 중 우폐상부에 매우 큰 종괴를 보이는 암종으로 입원하였다. 환자는 우폐상부 미세침윤조직검사상 편평상피세포암 의심하에 우전폐절제술을 받았다. 수술장 소견상 종괴는 흉벽과 심하게 유착되었으며 우폐하부까지 침습된 소견을 보이는 악성간엽종으로 진단되었다. 환자는 수술후 5,000rad의 방사선 조사를 받고 수술후 6개월째인 현재까지 재발징후없이 경과 관찰중이다.

  • PDF

결핵성 파괴폐의 수술적 치료에 대한 술후 이환율과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인자에 대한 임상고찰 (Clinical Evaluation of Risk Factors Affection Postoperative Morbidity and Mortality in the Surgical Treatment of Tuberculous Destroyed Lung)

  • 신성호;정원상;지행옥;강정호;김영학;김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3호
    • /
    • pp.231-239
    • /
    • 2000
  • Background: This retrospective study tries to identify specific risk factors that may increase complication rates after the surgical treatment of tuberculous destroyed lung. Material and method: A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on forty-seven patients, who received surgical treatment for tuberculous destroyed lung in the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at Hanyang University Hospital from 1988 to 1998, to identify specific preoperative risk factors related to postoperative complications. Fisher's exact test was us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complications and right pneumonectomy, preoperative FEV1, predicted postoperative FEV1, massive hemoptysis, postoperative persistent empyema. Result: Hospital mortality and morbidity rates of the patients who received surgical treatment for tuberculous destroyed lung were 6.4% and 29.7%, respectively. In view of the hospital mortality and morbidity rates as a whole, predicted postoperative FEV1 less than 0.8L(p<0.005), preoperative FEV1 less than 1.8L(p=0.01), massive hemoptysis(p<0.005), postoperative persistent positive sputum cultures(p<0.0005), and the presence of multi drug resistant tuberculosis(p<0.05) presen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bronchopleural fistula,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was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leations with the preoperative empyema(p<0.05) and postoperative persistent positive sputum cultures(p<0.05). Conclusion: Although mortality and morbidity rates after surgical treatment of tuberculous destroyed lung were relatively low, when predicted postoperative FEV1 was less than 0.8L, when preoperative FEV1 was less than 1.8L, when massive hemoptysis was present, when postoperative sputum cultures were persistently positive, and when multi drug resistant tuberculosis was present, the rates were significantly higher.

  • PDF

기능적 단일폐 환자에서 심폐체외순환 없이 시행한 관상동맥우회술 - 치험 1예 - (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in a Patient with a Functional Single Lung - A case report-)

  • 윤영철;위진홍;한일용;전희재;황윤호;조광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4호
    • /
    • pp.492-495
    • /
    • 2008
  • 이전의 폐질환이나 전폐절제슬로 인해 기능적 단일폐를 가진 환자는 해부학적 혹은 생리학적으로 큰 변화가 생기기 때문에, 이 환자를 대상으로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며 국내에서는 아직 보고된 바 없는 극히 드문 경우이다. 환자는 71세 여자로 과거력상 13년 전 폐결핵으로 좌측폐가 완전히 소실되었으며 2주전부터 흉통이 점차 심해져 입원하였다. 관상동맥 조영술상 좌주관상동맥 개구부 80%, 좌전하행지 $90{\sim}95%$, 좌측 회선지 90%, 우측 관상동맥 90% 협착을 보여 관상동맥우회술을 계획하였다. 정중 흉골절개를 통해 정맥 이식편을 이용하여 심폐체외순환 없이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 후 별다른 합병증 없이 호전된 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다제내성 폐결핵 환자에서의 수술적 치료 (Surgical Management of Multidrug Resistant Pulmonary Tuberculosis)

  • 성숙환;강창현;김영태;김주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3호
    • /
    • pp.287-293
    • /
    • 1999
  • Isoniazid와 rifampin을 포함한 여러 항결핵약제에 내성을 보이는 다제내성 폐결핵의 경우 기존의 화학요법으로는 치료성공률이 낮고 장기생존율도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최근 들어 다제내성 페결핵환자에 대한 약물치료의 보조적인 요법으로 적극적인 수술적 치료에 대한 보고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좋은 치료성적을 보고하고 있다. 서울대학교병원 과에서는 1994년 1월부터 1998년 3월까지 다제내성 폐결핵으로 폐절제술을 시행 받은 27례의 임상기록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환자들의 평균나이는 40세였고 술전 병력기간은 평균 3.1년이었다. 모든 환자들은 술전 2차 약제를 투여 받고 있었으며 약물 감수성 검사상 평균 4.4개의 약물에 내성을 보였다. 방사선 검사상 대부분의 환자(96%)에서 주된 병변으로 공동을 발견할 수 있었고 양측성 병변은 19례 (70%)에서 발견되었다. 술전 객담검사상 11례 (41%)에서 객담균 음전화가 이루어졌다. 수술은 전폐적출술이 9례, 폐엽절제술을 16례, 구역절제술을 2례에서 시행하였다. 술후 사망은 없었으며 술후 합병증으로는 1주이상의 지속적인 공기누출이 3례, 출혈로 인한 재수술이 2례, 술후 4개월 후에 발생한 기관지늑막루로 인한 재수술이 1례, 일시적인 신경학적 이상소견이 1례에서 관찰되었다. 수술 직후 22례 (82%)의 환자에서 객담균음전이 이루어졌고, 술후 지속적인 약물치료로 나머지 4례 (14%)에서 균음전이 이루어졌다. 양측성 공동병변을 갖고 있던 1례(4%)에서 객담균음전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다제내성 폐결핵 환자에서 그 병변이 국한되어 있고 수술적 치료를 견딜 수 있는 경우 적극적인 수술적 치료와 내과적 치료를 병합한 경우 높은 치료성공률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