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eurotus sp.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1초

큰느타리버섯 주요재배시 실태조사 및 병원균 분리동정 (Identification of pathogen and actual culture state of king oyster mushroom (Pleurotus eryngii))

  • 하태문;지정현;주영철;성재모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135-143
    • /
    • 2006
  • 1995년이후부터 재배되어온 큰느타리버섯은 배양중 오염율 증가, 발이상태불량, 기형버섯의 발생, 수량 격감 등 이른바 연작장해로 불리어지는 재배상 문제점들에 대한 원인파악과 해결책이 요구되어, 전국의 큰느타리버섯 주요 재배농가에서의 종균관리, 배지제조, 배양 및 생육관리 등 전반적인 재배실태와 연작장해 발생정도를 조사한 결과와 균배양, 버섯발생, 자실체 생육과정에서 발생된 병원균을 분리하여 동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재배실태조사 결과 재배사 청결관리가 미흡하고 수확 후 재배사 세척 및 소독이 소홀하였다. 나. 발이유기시 습도가 90%이상, 환기는 소량 또는 억제하여 관리한 농가들에서 발이 유기부위에서 세균 및 곰팡이에 의한 오염과 기형버섯 발생 등으로 인해 수량이 낮았다. 다. 자실체 생육시 발이개체수가 과다하였고 환기 및 습도관리 미숙으로 자실체 갈변, 환기장해 등으로 자실체 생육이 불량하였다. 라. 강제흡기-강제배기 방식보다 강제흡기-자연배기 방식이나 자연흡기-강제배기 방식의 농가가 많아 발이 유기시 많은 양의 환기를 필요로 하는 큰느타리버섯 재배에 부적합한 환기시스템을 갖추고 있었다. 마. 큰느타리버섯 재배농가에서 수집한 병원균은 총 28점으로 세균13점, 곰팡이15점이었고 채집부위별로는 배양병에서 8점, 발이유기부위에서 12점, 자실체에서 8점을 분리하였다. 바. 큰느타리버섯 재배시 문제가 되는 세균은 Pseudomonas sp. Erwinia sp 가 많았는데, 발이유기 배지표면 오염과 자실체 갈변 및 괴사와 관련된 병징을 유발하였고, 곰팡이는 대부분 Trichoderma sp. 이었으며 주로 배양병 및 발이유기부위에서 발병하였다.

  • PDF

Characterization of the rcsA Gene from Pantoea sp. Strain PPE7 and Its Influence on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Production and Virulence on Pleurotus eryngii

  • Kim, Min Keun;Lee, Sun Mi;Seuk, Su Won;Ryu, Jae San;Kim, Hee Dae;Kwon, Jin Hyeuk;Choi, Yong Jo;Yun, Han Dae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3권3호
    • /
    • pp.276-287
    • /
    • 2017
  • RcsA is a positive activator of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EPS) synthesis in the Enterobacteriaceae. The rcsA gene of the soft rot pathogen Pantoea sp. strain PPE7 in Pleurotus eryngii was cloned by PCR amplification, and its role in EPS synthesis and virulence was investigated. The RcsA protein contains 3 highly conserved domains, and the C-terminal end of the open reading frame shared significant amino acid homology to the helix-turn-helix DNA binding motif of bacterial activator proteins. The inactivation of rcsA by insertional mutagenesis created mutants that had decreased production of EPS compared to the wild-type strain and abolished the virulence of Pantoea sp. strain PPE7 in P. eryngii. The Pantoea sp. strain PPE7 rcsA gene was shown to strongly affect the formation of the disease symptoms of a mushroom pathogen and to act as the virulence factor to cause soft rot disease in P. eryngii.

느타리버섯 갈반병에 대한 길항균의 선발 및 특성조사 (Scree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ntagonistic Strains Against Brown Blotch Causing Bacteria on Pleutrotus ostreatus)

  • 이은관;유승오;조재선;전억한
    • KSBB Journal
    • /
    • 제14권2호
    • /
    • pp.146-152
    • /
    • 1999
  • 갈반병이 유발된 느티리버섯과 비섯 재배장 주변 토양에서 채집한 균주로부터 갈반병 원인균주 4개와 갈항균주 3개를 선발하였다- 선발된 균주를 API 2DE kit에 의해 동정한 결과 갈반병 원인 균주 P-24, P-28은 Pseudomonas putida로 P-27, P-33은 P.tolaasii로 동정되었으며, 길형균주 중 A-ll, A-20은 Pseudomonas fluorescence로 A-29는 Pseudοmonas sp.로 동정되었으며, 그 중 A-ll 균주가 버섯 균사 및 자실체에 해를 주지 않으면서 길항성이 우수한 균주로 선발되었다. 길항성은 갈반병 원인균 대 길항균의 농도비를 1:1로 처리하였을 때 길항성이 양호하였다.

  • PDF

pH지시약을 이용한 느타리버섯 액체종균 오염 간이진단법 개발 (Development of Simple Colorimetric Method for Detecting Contamination of Liquid Spawn of Oyster Mushroom by pH Indicator)

  • 장명준;이윤혜;주영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9-15
    • /
    • 2008
  • pH지시약을 YPL배지에 첨가하여 진단배지로 사용하였으며, 진단배지의 발색반응을 기준으로 오염균을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코자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느타리버섯의 액체종균에 병원균 P. tolaasii, P. agarici, T. koningii, T. harzianum, T. atroviride, T. virens에 대한 오염진단을 위해 BG, MR, BP, BTB, PR 5종의 지시약이 각각 포함된 배지에서 발색반응 결과 BTB첨가배지는 녹색에서 청록색, PR첨가배지는 주황색에서 적색으로 변하여 오염균 진단배지로 선발하였다. 그리고 이후의 실험에서 BTB보다 PR첨가배지의 흡광도 변화율이 크게 나타나 YPL배지에 PR을 첨가한 액체 및 고체진단배지를 최종적으로 선발하였다. 5일간 배양된 액체종균의 진단배지 발색반응으로 세균(Pseudomonas sp.)접종구는 액체 및 고체진단배지 모두 적색의 발색반응이 나타났고, 푸른곰팡이(Trichoderma sp.)접종구는 액체진단배지에서 연두색으로 나타났으며, 고체진단배지의 경우 선홍색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액체종균 오염진단은 YPLP고체진단배지에서 가장 발색반응이 뚜렷하여 적합한 배지로 판명되었다.

공기정화장치가 큰느타리버섯 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ir Cleaner on the Occurrence of Mushroom Disease During Cultivation of Pleurotus eryngii)

  • 김민경;이용국;서건식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1권1호
    • /
    • pp.135-148
    • /
    • 2019
  • 큰느타리버섯은 한국에서 상업적으로 가장 중요한 버섯 중 하나로, 자실체 생육과 병 발생 여부는 온도, 습도 및 이산화탄소(CO2) 농도와 환경 조건에 민감하다. 본 연구에서는 버섯 재배 환경 개선을 목적으로 공기정화장치인 에어로사이드를 설치하여 큰느타리버섯의 생육환경 변화를 조사하였고, 병 발생 및 분리된 병원균을 동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에어로사이드의 가동으로 생육실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평균 400 ppm 이상 높아졌으나, 이 수준의 이산화탄소 농도의 증가는 버섯 자실체 형태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었다. 2. 에어로사이드의 가동은 생육실의 공중습도를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어 더 많은 가습을 요구하였다. 3. 가습 조건에서 에어로사이드의 가동은 세균의 종류와 밀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고, 버섯 자실체에 세균성 병징이나 기형 버섯 발생 등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4. 버섯 병원균인 Pseudomonas sp.는 대부분 에어로사이드를 설치하지 않은 생육실에서 분리되었고, 약 83%의 배지에서만 정상적인 자실체의 수확이 가능할 정도로, 심각한 병해와 수량 감소를 초래하였다. 5. 에어로사이드를 설치한 생육실에서는 세균과 곰팡이로 인한 병해가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6. Trichoderma sp., Penicillium sp.와 Cladosporium sp.는 모든 실험구에서 분리되었으나, 자실체 생육 저해나 병해를 일으키지 않았다.

왕호장근(Reynoutria sachalinensis)을 이용한 배지에서의 느타리 균사 생장 효과 (The Effect of Reynoutria sachalinensis on Mycelial Growth of Pleurotus ostreatus)

  • 박원목;김영호;고한규
    • 한국균학회지
    • /
    • 제24권4호통권79호
    • /
    • pp.322-328
    • /
    • 1996
  • 왕호장근(Reynoutria sachalinensis)은 국내에서 자라는 마디풀과에 속하는 다년생 잡초로써 단위 면적당 Biomass가 매우 높으므로 버섯재배의 첨가 기질로써 이용가능성을 시험하였다. 대조구인 malt extract agar보다 왕호장근 1/4 희석 배지에서 느타리 균사 생장이 우수하였으며 1/8 희석 배지에서는 대조구보다 3배나 균사생장이 빨랐으며 균총의 밀도도 매우 높았다. 또한 느타리 균사가 왕호장근 한천배양기의 최적 산도 및 희석비율을 알아본 결과 pH 6.5, 희석비율 1/8이 느타리 균사생장에 가장 적합하였다. 왕호장근, 톱밥 및 미강를 각각 혼합하여 균사생장을 비교하여 본 결과 왕호장근을 넣은 배지에서 느타리 생강이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1.5 내지 2배의 균사생장을 보였다. 왕호장근 한천배양기의 희석비율 l/4, 1/8와 pH 4.5, 6.5, 8.5에서 느타리 균사와 Trichoderma sp.의 대칭배양에서 산도 및 희석농도와 관계없이 느타리 균사생장이 월등하게 나타났으며 Trichoderma sp.의 균사생장을 억제하였다. 왕호장근, 톱밥, 미강을 혼합하여 종균 제조시 톱밥+왕호장근 10%+미강 10%의 배지에서 균사활착이 대조구보다는 4내지 5일 빨랐으며 2배 이상의 균사생장을 보였고 균사의 밀도도 가장 우수하였다.

  • PDF

Penicillium corylophilum에 의한 큰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 푸른곰팡이병의 발생 (Occurrence of Bluish Green Mold of Pleurotus eryngii by Penicillium corylophilum)

  • 조우식;류영현;김승한;윤재탁;최부술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412-414
    • /
    • 1999
  • 최근 국내 큰느타리버섯 재배농가가 증가하면서 병해의 발생이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큰느타리 버섯의 자실체에 발생하는 푸른곰팡이 병반으로부터 Penicillium sp.균을 분리하여 동정하였고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분리된 Penicillium sp.균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분생포자는 타원형이고 크기는 $2.3{\sim}3.4{\times}2.6{\sim}3.2\;{\mu}m$였다. 분생자병은 균사로부터 one-stage branch 모양을 형성하고, metulae는 $2{\sim}4$개로 크기가 $10{\sim}l8{\times}2.5{\sim}3.0\;{\mu}m$이며, phialides는 플라스크상이고 크기가 $9{\sim}13{\times}2.2{\sim}2.8\;{\mu}m$였다. Czapek 배지에서 배양할 경우 $25^{\circ}C$에서 7일에 균총이 21 mm 성장했으며, 균총의 색은 회녹색이었다. 이상과 같은 형태 및 배양적 특징으로 공시균을 Penicillium corylophilum로 동정하였고 이균을 상처접종하였던바 $6{\sim}7$일만에 재배농가에서와 동일한 증상을 나타내었다.

  • PDF

$CCl_4$로 독성을 유발시킨 초대배양 간세포를 이용한 고등균류로부터 간세포 보호물질의 검색 (Screening of Hepatoprotective Substances from Higher Fungi by Primary Cultured Rat Hepatocytes intoxicated with Carbon Tetrachloride)

  • 이준우;한만덕;이권행
    • 한국균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47-353
    • /
    • 1992
  • 국내에서 자생하고 있는 75균주의 고등균류를 액체배양하여 얻은 다당류를 $CCl_4$에 의해 독성이 유발된 초대배양 간세포에 가하여 간세포 독성에대한 다당류의 보호효과를 glutamic pyruvate transaminase(GPT)활성을 측정하여 검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75균주의 고등균류 중 간세포 보호효과를 나타낸 것은 60균주로 Ganoderma lucidum 15균주 중 13균주, Lentinus edodes 7균주 중 5균주, Pleurotus ostereatus 1균주, Coriolus versicolor 5군주 중 4균주, Lyophyllum spp. 2균주, Grifori frondosa 7균주, Agaicus spp. 3균주, Schizophyllum commune 16균주 중 14균주, Cordyceps spp. 18균주 중 11균주등이었다. 상기 고등균류 중 GPT활성이 80%이하로 나타나, 비교적 간세포 보호효과가 우수한 것은 Ganoderma lucidum IY003 및 IY009, Lentinus edodes IY103, Lyophyllum sp. IY402, Agaicus sp. IY701 및 IY703, Schizophyllum commune IY804, IY810 및 IY818, Cordyceps sp. IY902등 10균주였으며, 이들의 GPT활성은 각각 80.0%, 75.5%, 78.2%, 75.2% 73.6%, 75.0%, 75.1%, 77.7%, 77.5% 및 78.4%로 나타났다.

  • PDF

버섯의 안정적 생산을 위한 최적배지의 개발 (Development of Optimal Culture Media for the Stable Production of Mushroom)

  • 갈상완;이상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5권2호
    • /
    • pp.71-76
    • /
    • 2002
  • 세균성 갈색무늬병과 푸른곰팡이 병에 길항력을 갖는 느타리버섯배지를 개발하기 위해서 자연계로부터 항균 미생물을 순수분리하였다. 분리균주가 생산하는 섬유성분해 효소 및 전분분해 효소의 활성을 검토한 결과 SD-1, 10, 11 및 16균주는 carboxy methyl cellulase(CMCase) 활성이 높았고, SD-4, 10, 14 및 15균주는 glucoamylase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들 분리 균주는 carboxy methyl cellulose(CMC) 및 전분 함유 평판배지에서 뚜렷한 clear zone을 형성하였다. 병원성균에 대한 항균력을 검토한 결과 SD-10과 SD-11은 Pseudomonas tolaasii ATCC-14340 및 P. tolaasii ATCC-51312의 병원균에 강한 길항작용을 나타내었고, SD-1, SD-10및 SD-ll은 푸른곰팡이 병을 유발하는 Trichoderma virence와 T. harzianum에 강한 길항작용을 나타내었다. 분리균과 버섯 균사체와의 생육관계를 검토한 결과 SD-1은 Pleurotus ostreatus ASI-2042에, SD-15는 Pleurotus ostreatus ASI-2180에 약간의 생육저해를 일으킬 뿐 다른 분리균주들은 전혀 버섯균사체의 생육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분리균주의 최적생육온도는 $30{\sim}35^{\circ}C$이었고, 생육가능온도 범위는 $15^{\circ}C{\sim}55^{\circ}C$로 매우 넓었다. 분리균 중에서 SD-1, 10 및 11균주를 느타리버섯 재배현장에 적용시켰을 때 대조구에 비하여 분리균을 접종한 시험구에서는 느타리버섯의 균사 및 자실체의 성장이 매우 균일하고 버섯의 품질이 우수하였다. 그리고 분리균 중에서 SD-10과 11을 균체지방산 조성을 검토한 결과 Bacillus sp.과 아주 유사하였다. 수자원의 절약과 하천수량의 증대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2.21%), 그리고 열매에서는 ${\alpha}-pinene$ (20.24%) > 1,8-cineole (11.47%) > ${\beta}-pinene$ (9.79%) > u-terpineol (7.08%) > sabinene (3.68%) limonene (2.77%)의 순서로 조성비율이 높았다. 전반적으로 순비기나무의 잎과 열매에서 분리한 정유에서는 monoterpene류의 조성비율이 높았으나 꽃과 줄기에서는 잎이나 열매에 비해 sesquitepene류, diterpene류 이외에도 구조를 동정하지 못하였으나 diterpene류 일 것으로 예상되는 분자량이 비교적 큰 성분들의 조성비율이 높았다./TEX>에서는 TA98 균주에서 $(100{\mu}g/plate)$의 시료농도에서는 부탄올 분획물이 89.92%로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TA100 균주에서는 메탄올 추출물이 77.47%로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암세포주(A549, Hep3B, MCF-7)에 대한 씀바귀 뿌리추출물의 세포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한 결과, 페암세포주인 A549세포에서는 에칠아세테이트 분획물$(250{\mu}g/ml)$이 91.67%로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고, 간암세포주인 Hep3B에서는 에칠아세테이트 분획물 $(500{\mu}g/ml)$이 75.01%로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냈으며, 유방암 세포주인 MCF-7에서도 에칠아세테이트 분획물$(500{\mu}g/ml)$이 84%로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보였다. 정상 간세포주인 293에 대하여 시료농도에 따른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500{\mu}g/ml)$ 시료 첨가시 암세포에 대하여 대부분 50% 전후(물 분획물 제외)의

List of beetles (Coleoptera) associated with the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Fr., in the Onon-Balj National Park of Mongolia

  • Jung, Boo Hee;Park, Sun-Jae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3권2호
    • /
    • pp.123-126
    • /
    • 2014
  • We present a list of the beetle species associated with the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Fr. in the birch forest of Onon-Balj National Park in Mongolia. A total of 21 species in seven families were found in this fungus, including fungivorous species: Litargus japonicus Reitter and Mycetophagus antennatus (Reitter) (Mycetophagidae), Pseudamblyopus similis (Lewis) (Erotylidae), and Lordithon sp. (Staphylinidae) etc. Both adult and larval forms are presented in the checklist along with the type of fungal association, of which approximately 52 percent are obligate mycetobionts. The main trends of the ecological and trophic specialization of the mycetophilic beetles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