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eurotus ferulae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34초

아위버섯(Pleurotus ferulae) 균주의 유전적 유연관계 (Genetic Relationship of Pleurotus ferulae Strains)

  • 최재선;이동희;장후봉;강보구;구창덕
    • 한국균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28-32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식용 및 약용버섯인 아위(阿魏)버섯(Pleurotus ferulae) 균주와 느타리버섯속(Pleurotus spp.) 종간의 유전적 유연관계를 이해하는 것이었다. RAPD 분석결과 이들 버섯 종들은 유사도 80% 수준에서 7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노랑느타리(P. cornucopiae), 사철 2호(P. florida), 여름 2호(P. sajor-caju)는 각각의 그룹으로 분류 되었고, 큰느타리 균주인 26060과 P. fuscus var. ferulae 균주인 26065은 같은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4개의 느타리 균주는 흑평을 제외한 수한 1호, 원형 1호, 춘추 1호가 한그룹을 형성하였고, 아위버섯 균주 중 일본설이를 제외한 박달, 아위, 천산 1호, 아위예산 균주가 하나의 그룹을 형성하였다. 아위버섯 균주인 일본설이는 느타리 균주인 흑평과 같은 그룹에 속하였다.

아위버섯(Pleurotus ferulae)의 균사배양 특성 (Mycelial Culture Characteristics of Pleurotus ferulae Strains)

  • 이동희;구창덕;장후봉;강보구;최재선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7-36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온도, pH, 탄소원, 질소원 그리고 기질에 따른 아위버섯(Pleurotus ferulae )의 균사 생장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었다. 아위버섯의 균사생장에는 MEA(malt extract agar)배지가 가장 효과적이었고, 균사생장에 최적온도 범위는 $25{\sim}30^{\circ}C$, 최적 pH는 6.0~8.0 이지만 균주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아위버섯 균사 생장에 효과적인 탄소원으로는 arabinose, 질소원으로는 arginine 이었다. 그리고 균사생장에 효과적인 기질은 참나무 톱밥과 면실피를 8: 2의 비율로 섞은 배지였다.

  • PDF

The Anti-Adipogenic Activity of a New Cultivar, Pleurotus eryngii var. ferulae 'Beesan No. 2', through Down-Regulation of PPAR γ and C/EBP α in 3T3-L1 Cells

  • Kang, Min-Jae;Kim, Keun Ki;Son, Byoung Yil;Nam, Soo-Wan;Shin, Pyung-Gyun;Kim, Gun-D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11호
    • /
    • pp.1836-1844
    • /
    • 2016
  • Adipogenesis is one of the cellular processes and a highly controlled program. Nowadays, inhibition of adipogenesis has received attention as an effective way to regulate obesity. In the curr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inhibition effect of a chloroform extract of Pleurotus eryngii var. ferulae 'Beesan No. 2' (CEBT) on adipogenesis in 3T3-L1 murine preadipocytes. Pleurotus eryngii var. ferulae is one of many varieties of King oyster mushroom and has been reported to have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antitumor and anti-inflammation effects. Biological activities of 'Beesan No. 2', a new cultivar of Pleurotus eryngii var. ferulae, have not yet been reported. In this study, we found that CEBT suppressed adipogenesis in 3T3-L1 cells through inhibition of key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such as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and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alpha}$. Additionally, CEBT reduced the expression of the IRS/PI3K/Akt signaling pathway and its downstream factors, including mammalian target of rapamycin and p70S6 kinase, which stimulate adipogenesis. Furthermore, ${\beta}-catenin$, a suppressor of adipogenesis, was increased in CEBT-treated cell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leurotus eryngii var. ferulae 'Beesan No. 2' effectively inhibited adipogenesis, so this mushroom has potential as an anti-obesity food and drug.

아위버섯의 생리적 특성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Pleurotus Ferulae Lanzi.)

  • 채정기;김대식;서승현;김현석;장경수;윤대령;오득실;차월석;이병래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02년도 제9차 국제심포지움 및 추계정기학술발표회
    • /
    • pp.58-58
    • /
    • 2002
  • 아위버섯(Pleurotus Ferulae Lanzi)의 온도별 균사생장도를 조사한 결과, 균사생육온도는 4$^{\circ}C$~35$^{\circ}C$로 나타났으며, 최적 균사생장 온도는 $25^{\circ}C$였고, $25^{\circ}C$~32$^{\circ}C$에서도 비교적 균사생장이 양호하였다. pH별 균사생장도를 조사한 결과는 pH가 4.0, 5.0, 6.0, 7.0, 8.0으로 조절된 MYPA(Yeast Malt Peptone Arar)배지를 기본배지로 하여 균사생장을 조사한 결과, 최적 pH는 6.0이었고, 5.0, 7.0순으로 균사생장이 양호하였던 반면, 4.0에서는 균사생장이 극히 불량하였다. 아위버섯의 균사생장을 위한 최적 배지조성은 탄소원별 균사생장도를 조사한 결과, starch, maltose 첨가구에서 균사생장이 가장 양호하였다. 또한, fructose, glucose, mannitol, lactose, xylose 순으로 균사생장이 비교적 양호하였던 반면, 다른 탄소원에서는 불량하였다. 질소원별 균사 생장량을 조사한 결과 yeast 첨가구에서 균사생장이 가장 양호하였고, 반면, 다른 질소원에서는 불량하였다. 위의 내용을 종합해보면 아위버섯의 최적온도는 25~32$^{\circ}C$, 최적 pH는 5.0~6.0으로 나타났다 또한 적정 영양원은 기본배지로 선발된 MYPA에 탄소원은 starch, maltose, 질소원은 yeast extract을 첨가하는 것이 가장 좋게 나타났다.

  • PDF

자외선(UV)-B 조사에 의한 아위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 var. ferulae) 자실체의 비타민 D2 함량 증가 (Ultraviolet (UV)-B Irradiation Increased Vitamin D2 Contents in the Fruit Bodies of Pleurotus eryngii var. ferulae)

  • 노재영;박상돈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91-194
    • /
    • 2013
  • 아위느타리버섯(P. eryngii var. ferulae)의 비타민 $D_2$ (ergocalciferol) 함량 증강을 위하여 아위느타리버섯 자실체에 자외선(UV)-B파장(280-320 nm)을 조사하였다. 비타민 $D_2$ (ergocalciferol)의 증가된 함유량은 HPLC (Waters 1525, USA)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비타민 $D_2$ 함량은 3분($21.6KJ/m^2$) 처리시 $3.5{\mu}g/g$, 5분($36KJ/m^2$) 처리시 $6.02{\mu}g/g$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대조군 $0.01{\mu}g/g$에 비교하여 높은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와 함께 큰느타리버섯(P. eryngii)은 대조군 $0.09{\mu}g/g$, 3분 처리시 $2.75{\mu}g/g$, 5분 처리시 $5.21{\mu}g/g$으로 나타났다. 표고버섯(L. edodes)은 대조군 $0.02{\mu}g/g$, 3분 처리시 $3.02{\mu}g/g$, 5분 처리시 $3.78{\mu}g/g$으로 나타났다. 느타리버섯(P. ostreatus)은 대조군 $0.19{\mu}g/g$, 3분 처리시 $9.63{\mu}g/g$, 5분 처리시 $11.60{\mu}g/g$으로 나타났다. 느타리버섯(P. ostreatus)의 비타민 $D_2$ 함량이 아위느타리버섯, 큰느타리버섯과 표고버섯 보다 높았으나 비타민 $D_2$ 함량 증가율은 아위느타리버섯이 월등히 높았다.

아위느타리버섯 추출물의 에르고티오네인(Ergothioneine) 정량법 및 항산화 활성에 관한 연구 (Optimization of Quantification Method of Ergotioneine in Pleurotus eryngii var. ferulae and Its Anti-Oxidant Activity)

  • 박승희;이정민;이승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49-55
    • /
    • 2020
  • 본 연구는 아위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 var. ferulae)에 함유되어 있는 항산화 물질인 에르고티오네인의 정확한 함량을 분석할 수 있는 최적 분석법을 확립하고 아위느타리버섯 3종(맥송, 비산 2호, 백황)의 에르고티오네인 함량 및 항산화 능력을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서로 다른 네 가지의 HPLC 분석 조건을 비교하여 아위느타리버섯 열수 추출물의 에르고티오네인 함량을 정량할 수 있는 최적 조건(shodex HILIC column, 35 ℃, 1.0 mL/min)을 확립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3종류의 아위느타리버섯 열수 추출물에 포함된 에르고티오네인 함량을 결정하였다(맥송: 3.04 ± 0.02 mg/g, 비산 2호: 3.15 ± 0.05 mg/g, 백황: 1.13 ± 0.07 mg/g). 또한, 3종류의 아위느타리버섯 열수추출물의 DPPH 및 ABTS 라디컬 소거활성을 측정하였으며, 총 페놀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아위느타리버섯 열수 추출물로부터 에르고티오네인 함량을 가장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분석법을 확립하였으며, 맥송 및 비산 2호 아위느타리버섯 열수추출물 소재는 높은 에르고티오네인 함량과,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향후 항산화 효능을 보유한 기능성 화장품 개발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아위느타리 신품종 '비산2호'의 육성 및 자실체 특성 (Characteristics and breeding of a new cultivar Pleurotus eryngii var. ferulae, 'Beesan No.2')

  • 신평균;유영복;공원식;오연이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8-62
    • /
    • 2014
  • 아위느타리(Pleurotus ferulae)의 품종 육성은 수량성이 높은 ASI 2803과 형태적으로 보기 좋은 외국 도입품종 ASI 2798의 단포자를 분리한 후 교배하여 13개의 교잡주를 우량계통으로 선발하였고, 수량성이 높은 ASI 2803보다 수량은 적으나 백색을 띄며 형태가 좋은 우량계통 GW10-68를 선발하여 농작물직무육성 신품종선정심의회에 상정하여 통과되어 '비산2호'로 명명되었다. 고유특성으로는 균사체 배양의 대선형성유무에서 모균주 ASI 2803, ASI 2798 및 비산1호와 대치배양하였을 때 뚜렸한 대선을 형성하였다. 유전적으로는 RAPD primer를 이용하여 신품종 '비산2호'의 DNA pattern는 ASI 2798 및 비산1호와는 DNA밴드 패턴이 구별되는 밴드양상을 보였으나 모균주 ASI 2803과는 유사한 밴드 패턴을 보여주었다. 가변특성은 균사생장 적온은 $25^{\circ}C$이며, pH의 범위가 pH5~8까지 넓게 형성되었다. 자실체 수량은 병당 $123.3{\pm}25.7g$으로 비산1호보다 수량이 적지만, 개체중에서는 오히려 높게 나타났다. 또한 대 길이는 비산1호보다 길고, 대의 색깔이 큰느타리보다 순백색을 나타내어 큰느타리와 차별화하여 재배하면 큰느타리 대체품종 뿐만 아니라 수출 품종으로도 기대된다.

아위느타리 신품종 '비산1호'의 육성 및 자실체 특성 (Characteristics and breeding of a new cultivar Pleurotus eryngii var. ferulae, 'Beesan No.1')

  • 신평균;유영복;공원식;오연이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2-57
    • /
    • 2014
  • 아위느타리(Pleurotus ferulae)의 품종 육성은 수량성이 높은 ASI 2803과 형태적으로 보기 좋은 국내 교배품종 ASI 2850의 단포자를 분리하여 교배하여 13개의 교잡주를 우량계통으로 선발하였고, 수량성이 높고 형태가 좋으면서 자실체 형성이 쉬운 균주 GW10-95를 선발하여 '비산1호'으로 명명되었다. 고유특성으로는 균사체 배양의 대선형성유무에서 모균주 ASI 2803 및 ASI 2850과 대치배양하였을 때 뚜렸한 대선을 형성하였다. 유전적으로는 RAPD primer를 이용하여 신품종 '비산1호'의 DNA 패턴은 모균주와는 다른 패턴을 형성하였다. 가변특성은 균사생장 적온은 $25^{\circ}C$이며 pH의 범위가 pH5~8까지 넓게 형성되었다. 자실체 수량은 농가실증시험에서 245 g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대길이는 ASI 2803보다 길고 굵어 수량이 높게 나타났다. 기존의 아위느타리보다 수량성이 높아 큰느타리 대체품종 뿐만 아니라 수출 품종으로도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