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eural fluid

검색결과 227건 처리시간 0.032초

Empyema caused by Clostridium perfringens

  • Park, Hyun-Sun;Jung, Chul-Min;Choi, Jang-Won;Hong, Yoonki;Kim, Woo Jin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2권1호
    • /
    • pp.35-37
    • /
    • 2015
  • Pleuropulmonary diseases caused by Clostridial species infections are rare, but have a mortality rate of up to 30%. Furthermore, older people are at greater risk of developing invasive clostridium infections, and the majority of reported cases of clostridium empyema have been attributed to iatrogenic trauma or aspiration. The authors report a case of spontaneous empyema caused by Clostridium perfringens. A 72-year-old woman was admitted to Kangwo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or empyema. The patient had no history of trauma, a dental procedure, or aspiration, and was treated using empirical antibiotics and by drainage of pleural fluid. Bacteria species that cause empyema are usually not detected, but on the 4th day of admission, C. perfringens was isolated from the pleural space. The patient was continuously treated with antibiotics for C. perfringens and drainage, and was discharged 25 days after admission with almost a fully recovered status. Increased awareness of Clostrium species infection in the elderly is needed to ensure appropriate treatment.

폐렴 구균 농흉으로 수술적 치료까지 받은 범저감마글로불린혈증 1례 (A Case of Panhypogammaglobulinemia in Patient with Pneumococcal Empyema)

  • 최재원;오승정;조병수;차성호;최용묵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권2호
    • /
    • pp.194-199
    • /
    • 1995
  • Most boys afflicted with panhypogammaglobulinemia, also known as X-linked agammaglobulinemia, remain healthy during the first 6 to 12 months of life because of protection by maternally transmitted IgG antibodies. Thereafter, they repeatedly acquire infections with high-grade pathogens, such as pneumococci, streptococci, and hemophilus unless given antibiotics or immunoglobulin replacement therapy. We experienced a case of panhypogammaglobulinemia in a 4 years old boy. He had been suffered from recurrent upp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otitis media and pneumonia since late infancy. He was admitted due to right pleural effusion with pneumonia, and streptococcus pneumoniae was isolated from pleural fluid and blood cultures. His immune status revealed panhypogammaglobulinemia and deficiency in mature B lymphocyte. He was treated with appropriate antibiotics therapy, but showed poor responses. He was transferred to department of thoracic surgery, and received minithoracotomy (decortication) operation. He was successfully treated with operation, antibiotics, and IV gammaglobulin infusions. Now he is being followed with periodic IV gammaglobulin replacement therapy.

  • PDF

개흉술후 발생한 농흉의 유인 및 외과적 치료 (Causes and surgical management of postthoracotomy empyema)

  • 고영상;김공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6권10호
    • /
    • pp.769-774
    • /
    • 1993
  • Thoracic empyema is defined as purulent pleural effusion or effusion with positive bacteriology. Recently, the empyema has markedly decreased by developement of antibiotics, but empyemas following thoracotomy were occasionaly reported. During the period of January, 1985 to May,1991, 18 patients with postthoracotomy empyema have been treated in the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of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There were 17 males and 1 female ranged from 18 years to 67 years of age. The underlying diseases of empyema were tuberculosis [50%], lung cancer [33.3%], esophageal cancer [11.1%],and aspergillosis with tuberculosis[5.6%]. In surgical procedures causing the empyema, there were lobectomy[38.9%], pneumonectomy[22.2%], decortication[16.7%], decortication & lobectomy[11.1%], and esophagectomy [11.1%]. Etiologic organisms in the pleural fluid were Pseudomonas [27.7%], S.aureus [16.7%], mixed infection [16.7%], K.pneumonia [5.6%], M.tuberculosis [5.6%], and no isolation [27.7%]. In 6 cases with BPF, completion pneumonectomy was performed in 1 case, and open thoracostomy in 5 cases. In 12 cases without BPF, closed thoracostomy was performed in 1 case, decortication in 2 cases, decortication & open thoracostomy in 2 cases, and open thoracostomy in 7 cases. In 6 cases with BPF, the fistulas were closed in 4 cases at follow up, the other 2 cases died from pulmonary insufficiency after completion pneumonectomy and open thoracostomy,respectively. In 12 cases without BPF, the empyema cavities were filled with expanded lungs and granulation tissues, except 1 case died from sepsis.

  • PDF

소방이 형성된 결핵성 흉막 질환에서 배액 방법에 따른 치료효과 (A comparative study of three therapeutic modalities in loculated tuberculous pleural effusions)

  • 이상화;이소라;이상엽;박상면;서정경;조재연;심재정;인광호;유세화;강경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5호
    • /
    • pp.683-692
    • /
    • 1996
  • 연구배경: 결핵성 흉막염 환자의 일부에서 소방이 형성된 경우는 흉막액의 섬유화나 흉막의 비후가 일어나 폐기능의 장애가 초래되나 치료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은 실정이다. 최근에는 농흉환자에서 흉막강내 섬유소를 용해하는 방법으로 혈전 용해제를 흉막강내에 주입하여 섬유소 융해효과를 관찰해 좋은 결과를 확인한 바 있다. 본 연구는 결핵성 흉막 질환에서 소방이 형성된 정도에 따라 반복적 흉막천자, 경피적 도관솔 및 경피적 도관술을 통한 흉막강내 urokinase를 주입하여 배액하는 방법에 따른 치료 효과를 전향적으로 비교하였다. 방법: 흉부 초음파상에 다발성 소방이 형성된 결핵성 흉막염 환자 총 48명을 대상으로 control군, catheter군, urokinase군으로 구별하였다. 소방의 정도는 흉부 초음파로 선상, 중정도, 벌집 모양형으로 나누었다. 초기 치료 효과와 장기적 효과를 단순 흉부 x-선의 호전 정도를 각 군간에 비교하였다. 결과: 치료 초기 효과를 각 군간에 비교하였을 때 흉막 천자의 횟수, 배액 기간 중의 도관의 폐쇄 횟수와 도관을 삽입하고 있는 기간은 urokinase군에서 의미 있게 적었다. 총 배액양은 control군과 urokinase군에 비하여 catheter군에서 양이 많았다. 단순 흉부 X 선상의 치료 효과 초기의 단순 흉부 방사선의 변화는 urokinase군이 가장 호전되었으며, 장기적인 단순 흉부 방사선상의 변화는 각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comrol군 13명중 4명이 흉막 유착으로 수술을 받았으며, catheter군 12명중 1명이 합병증으로 인한 농흉으로 수술을 받았으나, urokinase군은 수술 받은 자가 없었다. 격막의 정도에 따른 각 군의 방사선학적 효과는 격막이 선상으로 형성된 결핵성 흉막염에서 단순 흉부 방사선상의 변화는 각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벌집 모양의 격막이 형성된 경우의 단순 흉부 방사선상의 변화는 각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지만 control 군의 경우 치료 실패로 인해 초기에 1명, 추적 관찰하면서 3명이 수술로 호전되어 사실상 catheter군과 urokinase군에 비하여 현저한 차이를 보였고(P<0.01), catheter군과 urokinase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urokinase를 사용한 군이 경피적 도관을 시행한 군보다 흉막 천자 횟수, 도관의 기간, 도관의 폐쇄 등의 초기 치료 효과는 효과적이나, 단순 흉부 X-선으로 비교한 장기적 치료 효과적 측면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소방이 형성된 결핵성 흉막염에 대한 urokinase의 흉강내 투여는 urokinse의 가격 등을 고려하여 사용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결핵성 흉막염 치료 후 잔여 흉막비후의 자연흡수 (Spontaneous Resolution of Residual Pleural Thickening in Tuberculous Pleurisy)

  • 경선영;김유진;임영희;안창혁;이상표;박정웅;정성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1호
    • /
    • pp.69-76
    • /
    • 2005
  • 연구배경 : 결핵성 흉막염은 치료 이후 약 43 - 50%에서 잔여 흉막비후가 남으며 최근 치료 종결 이후에도 잔여 흉막비후의 자연흡수가 있을 수 있다. 저자들은 결핵성 흉막염에서 치료 종결 시점과 이후 마지막 추적 관찰시점까지 흉막 비후 정도를 추적 관찰하여 자연 흡수정도를 알아보고 이에 따라 흉막비후의 예측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1년 3월부터 2003년 6월까지결핵성흉막염으로 진단받고 외래 추적 관찰이 이루어진 환자 64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투약 종료 시에 2mm이상의 잔여 흉막비후를 보이는 경우는 56%, 마지막 관찰시점(관찰기간중앙값 8개월)에서 42%로 9례가 관찰기간 중 자연 흡수되어 흉막비후가 소실됐으며, 15 례에서 10mm 미만으로 감소하는 소견을 보였다. 투약 종료 시에 흉막비후가 남아있던 36례 중 92%가 마지막 추적시까지 흉막비후가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자연흡수되는 소견을 보였으며, 흉막비후의 감소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 투약 종료 시에 잔여 흉막비후의 예측인자는 높은 CRP였고 최종 관찰시점에서는 흉수 내 낮은 총 백혈구치이었다. 결 론 : 결핵성 흉막염은 치료종결 후에도 자연흡수가 이루어지며 이는 흉막비후의 유무를 진단하는데 있어 치료종결시점이 아닌 추적 관찰이 이루어진 후에 판단하고, 그에 따른 예측인자를 분석하는 시도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Mycobacterium tuberculosis ESAT6 and CPF10 Induce Adenosine Deaminase 2 mRNA Expression in Monocyte-Derived Macrophages

  • Bae, Mi Jung;Ryu, Suyeon;Kim, Ha-Jeong;Cha, Seung Ick;Kim, Chang Ho;Lee, Jaehee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0권1호
    • /
    • pp.77-82
    • /
    • 2017
  • Background: Delayed hypersensitivity plays a large role in the pathogenesis of tuberculous pleural effusion (TPE). Macrophages infected with live Mycobacterium tuberculosis (MTB) increase the levels of adenosine deaminase2 (ADA2) in the pleural fluid of TPE patients. However, it is as yet unclear whether ADA2 can be produced by macrophages when challenged with MTB antigens alone. This study therefore evaluated the levels of ADA2 mRNA expression, using monocyte-derived macrophages (MDMs) stimulated with MTB antigens. Methods: Purified monocytes from the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of healthy volunteers were differentiated into macrophages using 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GM-CSF) or 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M-CSF). The MDMs were stimulated with early secretory antigenic target protein 6 (ESAT6) and culture filtrate protein 10 (CFP10). The mRNA expression levels for the cat eye syndrome chromosome region, candidate 1 (CECR1) gene encoding ADA2 were then measured. Results: CECR1 mRNA expression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DMs stimulated with ESAT6 and CFP10, than in the unstimulated MDMs. When stimulated with ESAT6, M-CSF-treated MDMs showed more pronounced CECR1 mRNA expression than GM-CSF-treated MDMs. Interferon-${\gamma}$ decreased the ESAT6- and CFP10-induced CECR1 mRNA expression in MDMs. CECR1 mRNA expression level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mRNA expression of tumor necrosis factor ${\alpha}$ and interleukin 10, respectively. Conclusion: ADA2 mRNA expression increased when MDMs were stimulated with MTB antigens alone. This partly indicates that pleural fluid ADA levels could increase in patients with culture-negative TPE. Our results may be helpful in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TPE pathogenesis.

체액 세포 도말 검사에서 메틸화 이상이 악성 중피종 진단의 부가적인 분자 표지자로서의 기능 (Methylation Abnormality in Body Fluid Cytology: A Supplemental Molecular Marker for the Diagnosis of Malignant Mesothelioma)

  • 송준선;정진경;강지혜;황일선;장세진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6-135
    • /
    • 2008
  • Malignant mesothelioma (MM) is a highly lethal neoplasm arising in pleura and the peritoneum and a rapid and accurate diagnosis is crucial for treatment of the disease. However, the sensitivity of cytological analysis using pleural or ascitic fluid is relatively low, yielding an accurate diagnosis in only $32{\sim}79%$ of cases. We tested the diagnostic value of epigenetic alterations in body fluid cytology as a supplement to conventional methods. Paraffin-embedded tissue blocks from 21 MM patients and associated body fluid cytology slides considered no evidence of malignancy were used to test for epigenetic alteration. Using methylation-specific PCR, we detected methylation of RASSF1A and p16 in 47.6% (10/21) of both surgically resected tumor samples, respectively. Body fluid samples of MM also showed abnormal methylation of RASSF1A and p16INK4a genes in 38.1% (8/21) and 33.3% (7/21) of cases. The concordance in the rates of RASSF1A and p16INK4a gene-methylation abnormalities determined from cytology samples and tissue samples were 61.9% (13/21) and 66.7% (14/21), respectively. Combining both genes increases the sensitivity of the test to 57.1 % (12 of 21) of cases. Our results suggest that testing for methylation abnormalities in selected individual genes or gene combinations has diagnostic value as an alternative or adjunct method to conventional cytological diagnosis.

내과적 흉강경 검사의 진단적 유용성과 안전성 (Diagnostic Accuracy and Safety of Medical Thoracoscopy)

  • 양정경;이정호;권미혜;정지현;이고은;조현민;김영진;정성미;최유진;손지웅;나문준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3권3호
    • /
    • pp.261-267
    • /
    • 2007
  • 배경: 삼출성 흉수 환자의 적지 않은 빈도에서 원인이 불명확하다. 삼출성 흉수를 진단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 중에서 내과적 흉강경은 국소마취 하에서 시행할 수 있으며 악성 종양이나 결핵에서 진단율이 높으며, 진정제와 국소마취상태에서 시행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내과적 흉강경의 진단적 정확성과 안전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0월부터 2006년 9월까지 25명의 원인을 알 수 없는 삼출성 흉수 환자를 대상으로 내과적 흉강경을 시행하였다. 성별, 연령 시술 전 폐기능, 흉부 측와위 사진에서 흉수의 두께(LDR) 등의 정보를 얻었다. 내과적 흉강경 시행도중 활력징후를 기록하였고 동맥혈 가스 분석을 5차례 시행하여 혈역학적 상태와 산-염기 균형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결과: 환자의 평균 연령은 56.8(22-79)세였고, 흉부 측와위 사진에서 흉수의 두께는 27.49 mm이었다. 내과적 흉강경을 이용한 흉막 조직 생검으로 24명(96%)이 진단되었으며, 결핵성 흉막염이 9명(36%), 악성 흉수가 8명(32%), 부폐렴성 흉수가 7명(28%)이었다. 내과적 흉강경으로 흉수의 원인을 알아낼 수 없었던 1명(4%)은 추후에 심장막 조직 생검으로 결핵으로 진단되었다. 내과적 흉강경 중 혈압, 심박동수, 산-염기 상태의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p>0.05). 결론: 내과적 흉강경은 진단율이 높으면서도 안전한 시술이다.

소아의 흉수 치료에 있어서 유로키나제 효과 (The effectiveness of urokinase in treatment of pleural effusion in children)

  • 남가연;박희주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7호
    • /
    • pp.660-664
    • /
    • 2007
  • 서 론 : 유로키나제는 폐렴을 동반한 흉수 환아에서 흉관삽입술로도 배액이 어려운 경우 흉막강내로 주입함으로서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약제로 알려져있으나 소아를 대상으로 하여 유로키나제 사용에 대한 연구는 적고 아직 그 안정성과 효용성에 대한 보고도 미미한 실정이며, 국내에서 소아를 대상으로 한 보고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방 법 : 2002년부터 2006년 7월까지 흉수 치료로 폐쇄식 흉관 삽입술을 시행하고 흉부 초음파 및 CT상 격막형성이 관찰된 29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폐쇄식 흉관 삽입술 시행하고 유로키나제 사용한 군(A군, 14명)과 유로키나제를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B군, 15명)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Mann-Whitney test, Fisher's exact test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결 과 : 총 29명 중 A군과 B 군의 성별, 연령에 있어서의 차이는 없었다. 폐쇄식 흉관 삽입 기간동안의 총 흉수 배액량은 두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P=0.776), 흉관 삽관 후 첫째날의 배액량은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둘째날과 셋째날은 통계적으로 의의있게 A군에서 배액량이 많았다(Day 1; P=0.371, Day 2: P=0.049, Day 3: P=0.048, respectively). 발열 일수, 항생제 사용 일수, 총 흉관 삽관 기간, 총 입원일수는 양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치료 종결 후 늑막 비후를 보인 경우, 내과적 치료 실패하여 수술이 필요했던 경우, 흉관의 위치 조정이나 흉관의 재삽입이 필요했던 경우는 A 군에서 1명, B군에서는 8명으로 A 군에서 통계적으로 의의있게 합병증의 빈도가 낮았다(P=0.014). 결 론 : 유로키나제의 사용으로 초기 효율적인 흉수의 배액이 가능하였고 흉막의 비후,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 흉관의 재삽입 또는 위치조정이 필요한 경우 등의 빈도가 더 낮아 유로키나제가 격막 형성된 폐렴성 흉수 환아의 치료에 안전하고 유용한 방법이었다.

흉막 삼출을 동반한 복부 피하 지방 조직의 폐흡충증 이소기생 1례 (A Case of Paragonimiasis in the Abdominal Subcutaneous Tissue with Pleural Effusion)

  • 임소희;신승환;송명준;김진우;김승준;이숙영;김영균;박성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6권5호
    • /
    • pp.550-554
    • /
    • 2004
  • 과거에 비해 최근에는 우리나라에서 기생충 감염의 빈도가 낮아지긴 하였지만, 우리나라에서 비교적 흔한 감염원인 민물 게장등을 섭취한 병력이 있고, 호산구성 흉막 삼출과 말초혈액에서 호산구증다증이 있을 경우, 반드시 기생충 감염의 가능성을 생각해 보아야 한다. 피하조직에서의 폐흡충의 이소기생 례가 빈번한 것은 아니지만, 본 증례와 같이 이동성의 복부 종괴가 있을 경우 조직검사와 면역학적 검사를 통해 기생충 감염 여부에 대한 확인 절차는 반드시 필요하다. 그럼으로써, 결핵이나 폐암등 다른 질환으로의 오진에 의해 발생하는 경제사회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