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tycodon grandiflorum A. DC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3초

An aqueous extract isolated from Platycodon grandiflorum reduced acetaldehyde-induced collagen and alpha-SMA expression in hepatic stellate cells

  • Lee, Kyung-Jin;Shin, Dong-Weon;Chung, Young-Chul;Kim, Young-Sup;Ryu, Si-Yung;Roh, Sung-Hwan;Jeong, Hye-Gwang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113.3-114
    • /
    • 2003
  • The increased deposition of extracellular matrix by hepatic stellate cells following liver injury in a process known as activation is considered a key mechanism for increased collagen content of liver during the development of liver fibrosi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rotective effects of an aqueous extract from the roo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A. DC (Campanulaceae), Changkil (CK), on hepatic fibrosis in hepatic stellate cells. We report that CK reduces the accumulation of collagen in acetaldehyde-induced hepatic stellate cells. (omitted)

  • PDF

Saponin isolated from Platycodon grandiflorum induces cell cycle arrest in hepatic stellate cells

  • Lee, Kyung-Jin;Shin, Dong-Weon;Chung, Young-Chul;Kim, Young-Sup;Ryu, Si-Yung;Roh, Sung-Hwan;Cho, Young-Soo;Jeong, Hye-Gwang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103.3-104
    • /
    • 2003
  • Activation of hepatic stellate cell has been identified as a critical step in hepatic fibrogenesis and is regulated by several factors including cytokines and oxidative stress. In this study, we assayed effects of saponin (CKS), inulin (CKI) and oligo-sugars (CKO) isolated from Platycodon grandiflorum A. DC, changkil (CK) on experimental cell cycle arrest and apoptosis in hepatic stellate cell line (HSC-T6). CKS induced cell arrest at G$_1$. CKS also reduced inter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and collagen synthesis in hydrogen peroxide-induced oxidative stress and acetaldehyde-stimulated collagen synthesis, respectively, in HSC-T6 cells. (omitted)

  • PDF

Chemopreventive Effect of Saponins Derived from Roo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on 4-(Methylnitrosamino)-1-(3-Pyridyl)-1-Butanone-Induced Lung Tumorigenesis in A/J Mice

  • Lee, Kyung-Jin;Shin, Dong-Weon;Chung, Young-Chul;Jeong, Hye-Gwang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9권8호
    • /
    • pp.651-656
    • /
    • 2006
  • This study examined the chemopreventive effect of saponins that were isolated from the roo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A. DC (Campanulaceae), Changkil saponins (CKS), against the tobacco-specific carcinogen, 4-(methylnitrosamino)-1-(3-pyridyl)-1-butanone (NNK), -on lung tumorigenesis in A/J mice. The mice were treated with a single NNK dose (100 mg/kg b.w., i.p.). CKS (0.5, 1, 4 mg/kg body wt.) was administered orally daily for 3 days/week beginning 1 day after the NNK treatment and was maintained throughout the experiment. The administration of CKS suppressed the NNK-induced increase in the level of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which are a marker of cell proliferation, in the lungs of the mice 4 weeks after the NNK injection. Twenty-five weeks after the NNK treatment, the mice were sacrificed and the number of surface lung tumors was measured. CKS significantly reduced the number of lung tumors induced by NNK in a dose dependent mann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CKS suppresses the development of lung tumors and has a chemopreventive effect against NNK-induced mouse lung tumorigenesis.

Membrane Filter와 Sucrose 농도가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A. DC.) 기내 배양묘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mbrane Filter and Sucrose Concentrations on the Growth of Balloon Flower (Platycodon grandiflorum A. DC.) Plantlets In Vitro)

  • 최소라;김명준;은종선;안민실;임회춘;류정;유동현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1권3호
    • /
    • pp.209-217
    • /
    • 2004
  • 기내 배양환경을 조절하여 건전한 유식물체를 획득하기 위해 도라지를 무균발아시켜 shoot부분을 NAA 0.1 mg/L가 첨가된 MS 기본배지에 치상한 후 membrane filter 부착 유무와 sucrose 농도를 달리 처리하여 생장반응을 조사하였다. Membrane filter 미부착구에서는 배양용기 내의 $CO_2$$C_2$H$_4$ 농도가 membrane filter 부착구에 비해 높았으며 membrane filter가 부착되지 않았을 때 $CO_2$ 농도는 배양기간이 경과될수록 증가하였으나 $C_2$H$_4$ 농도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식물체 생장은 membrane filter 부착구가 미부착구에 비해 양호하였고, 미부착구에서는 sucrose 농도가 증가할수록 생육이 양호하게 나타났다. 생체중과 건물중은 membrane filter를 부착하지 않은 sucrose 4.5% 처리구에 비해 membrane filter를 부착한 sucrose 무첨가구에서 비슷하거나 높았다. 엽록소 함량은 membrane filter 부착구에서 미부착구에 비해 높았으며 당 함량도 비슷한 경향이었는데 두 처리간 차이는 더 컸다. 기공은 membrane filter 부착구에서 미부착구에 비해 닫혀 있었으며 엽육조직은 membrane filter를 부착하거나 sucrose 농도가 높을수록 잘 발달하였다. 또한 상토에 이식한 후 13일째 생존율은 sucrose 처리 농도에 관계없이 membrane filter 미부착구는 0%인데 비해 부착구는 100%로 나타났다.

DLPC Liposome에 미치는 도라지 추출성분의 비타민 C 첨가에 의한 항산화력 상승효과 (Enhancement of Antioxidation Effect of Platycodon grandiflorum with Vitamin C on the DLPC Liposomes)

  • 배송자;강보영;김미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506-510
    • /
    • 2002
  • 본 연구는 불포화 인지질인 DLPC liposome에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A. DC, PG)의 용매별 분획물 일정 량을 가하고, 산화제 benzoyl peroxide를 가한 후 시료의 항산화 작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도라지 용매별 추출물 중 ethylether 분획물인 PGMEE와 ethylacetate 분획물인 PGMEA는 $\alpha$-tocopherol의 경우 보다 훨씬 그 산화지수가 낮아두 분획물에 의한 강한 항산화력을 측정할 수 있었으며, 잘알려진 강력한 항산화제인 BHT(butylated hydroxytoluence)의 경우와 비슷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PGMEE 분획층에 비타민 C를 일정량을 첨가함으로서 상호 보강 작용에 의한 항산화 상승효과를 본 결과, Vit C를 첨가하지 않았을 때보다 산화지수가 횔씬 낮아졌다. BHT 함유의 DLPC liposome의 경우도 Vit C에 의한 비슷한 추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여 도라지의 PGMEE 분획층에는 BHT와 비슷한 강한 항산화 효과를 가진 물질의 존재가 분명하다고 사료되며 비타민 C 첨가로 인한 항산화 상승 효과도 본 연구결과에 의해 뚜렷이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에 의해 여러 질병들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세포막 손상을 일으키는 활성 산소 또는 유리기의 생성억제 등 균형된 식생활을 통한 식품 섭취의 중요성이 매우크다고 인식되며 특히 식품으로서 애용되고 있는 도라지의 인지질 세포막에 미치는 항산화 효과가 식품으로서 약이 되는 기전 규명에 기초자료가될 것을 바라는 바이다.

Effects of Platycodi Radix on dimethylnitrosamine-induced hepatic fibrosis in rats

  • Lee, Kyung-Jin;Choi, Chul-Yung;Jeong, Hye-Gwang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
    • /
    • pp.288.2-288.2
    • /
    • 2002
  • Herbal medicines are increasingly being utilized to treat a wide variety of disease processes. We previously reported that aqueous extract from the roo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A. DC (Campanulaceae), Changkil (CK). had hepatoprotective effects against acetaminophen induced liver injury. In the present study, we assayed the preventive and therapeutic effects of CK on experimental hepatic fibrosis induced by dimethylnitrosamine (DMN) in rats. (omitted)

  • PDF

길경(桔梗)을 이용한 호상 요구르트 제조(製造) (Production of Curd Yogurt from Platycodon grandiflorum(Jacq.) A.DC.)

  • 이성태;김만배;김동길;류재산;이홍재;허종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65-270
    • /
    • 1998
  • 진해(鎭咳), 거담(祛痰)의 약리작용으로 기관지 질병 치료에 효과가 있는 길경을 건강보조 식품으로 널리 애용하기 위해 탈지유와 설탕이 들어있는 기본배지에 길경을 즙, 퓨레 및 분말을 각각 첨가하고 4종의 흔합유산균주를 접종하여 호상 요구르트를 제조하여 시 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즙, 퓨레 및 분말 상태를 각각 첨가한 호상요구르트의 최적 발효시간은 12시간 이었으며 이때 pH는 4.1, 산도는 1.15%였다. 2. 길경 첨가 상태별 관능검사에 의한 최적 첨가량은 즙은 2% , 퓨레 및 분말은 각각 1% 첨가시에 좋았으며 즙 2% 첨가가 가장 좋았다. 3. 저장기간에 따른 요구르트의 pH는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약간 감소하였고, 산도는 약간 증가하였으며 점도는 퓨레 첨가시에 가당 높았다. 4. 생균수는 발효완료 후 대조구가 $6.2{\times}10^{8}/ml$, 즙 2% 첨가는 $4.4{\times}10^{8}/ml$, 퓨레 및 분말 1% 첨가에서 각각 $3.7{\times}10^{8}/ml$, $4.2{\times}10^{8}/ml$이었으며, 저장 9일동안 모든 시료에서 기준생균수 1억 마리 이상으로 좋은 저장성을 나타내었다.

  • PDF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추출된 도라지 종자유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Platycodon grandiflorum Seeds Oil Extracted by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김양지;임지영;김석중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99-11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을 이용해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A. DC) 종자로부터 유지를 제조하여 새로운 식용유지로서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Soxhlet 용매 추출에 비해 6,000 psi 압력 및 $40^{\circ}C$ 온도조건에서의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로 더 많은 유지를 얻을 수 있었고 특히 볶은 종자로부터는 32.7%까지 얻을 수 있었다. 볶은 종자로부터 얻은 초임계 도라지 종자유는 시판 대두유나 들깨유와 마찬가지로 대부분 중성지질로 구성되어 있음을 TLC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이 유지는 고도로 불포화된 지질로 대두유나 들깨유보다 linoleic acid(73.27%) 함량이 훨씬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oleic acid(13.16%) 함량이 높았다. 유지의 물리화학적 특성으로, 비중 0.92, 점도 45.37 cP, 굴절률 1.48, 색도 L=47.30, a=-3.69, b=25.72, 요오드가 141.57 g $I_2/100g$ oil, 비누화가 191.21 mg KOH/g oil, 산가는 2.60 mg KOH/g oil 였다. 이런 특성들 중에서 지질의 불포화도와 관련이 있는 굴절률, 점도 및 요오드가는 두 시판 유지들의 중간값을 나타내었다. Rancimat 법으로 측정한 산화유도기간을 비교한 결과에서도 초임계 추출 도라지 종자유(2.03 hr)는 대두유(2.94 hr)보다는 낮으나 들깨유(1.79 hr)보다는 높은 중간값을 나타내었다. 종자 볶음 공정은 유지의 추출 수율을 증가시킬뿐만 아니라 콜레스테롤에스터 함량과 산가 감소에 긍정적 효과도 있었다. 이상으로부터,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을 통해 볶은 도라지종자로부터 높은 수율로 유지를 제조할 수 있었고 이 유지는 식용유지로서 적합한 특성을 가진다고 판단되었다.

Comparison of Vasodilator Effects of Platycodin D and $D_3$ in Rats

  • Lim, Dong-Yoon;Kim, Byeong-Cheol;Lee, Eun-Ba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7권3호
    • /
    • pp.149-155
    • /
    • 2003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latycodin D and $D_3$, which are active components derived from the roo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A. DC., on the contractile force of the i3olated rat aorta and blood pressure of the anesthetized rat, and also to elucidate its mechanism of action. Both phenylephrine (an adrenergic ${\alpha}1$-receptor agonist) and high potassium (a membranedepolarizing agent) caused great contractile responses in the isolated aortic strips. Platycodin D at high concentration $(24{\mu}g/ml)$ inhibited contractile responses induced by phenylephrine $(10^{-5}\;M)$ and high potassium $(5.6{\times}10^{-2}\;M)$, while low concentrations of platycodin D $(4{\sim}8{\mu}g/ml$) did not affect those responses. However, platycodin $D_3\;(8{\sim}32{\mu}g/ml)$ did not alter the contractile responses evoked by phenylephrine and high $K^+$. Interestingly, the infusion of platycodin $D_3$ (1.0 mg/kg/30 min) significantly reduced the pressor responses induced by intravenous norepinephrine. However, platycodin $D_3$ (1.0 mg/kg/30 min) did not affect them.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how that intravenously administered platycodin D depresses norepinephrine-induced pressor responses in the anesthetized rat, at least partly through the blockade of adrenergic ${\alpha}1$-receptors. Platycodin D also caused vascular relaxation in the isolated aortic strips of the rat via the blockade of adrenergic ${\alpha}1$-receptors, in addition to an unknown direct mechanism. However, platycodin $D_3$ did not affect both norepinephrine-induced pressor responses and the isolated rat aortic contractile responses evoked by phenylephrine and high potassium. Based on these results, there seems to be much difference in the mode of action between platycodin D and platycodin $D_3$.

도라지에서의 RAPD 마커 분석과 Actin 유전자 염기서열에서 유래한 CAPS 분자표지 개발 (Development of a CAPS Marker Derived from the Pg-Actin Gene Sequences and RAPD Markers in Platycodon grandiflorum)

  • 김문휘;정은아;정정수;권순태;전익조;정정학;이제민;염인화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648-65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도라지의 품종 구분 및 유전적 다양성 분석에 활용될 수 있는 분자표지 개발을 위하여 RAPD 마커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동시에 actin유전자 염기서열에서 유래한 분자표지를 제작하였다. 총 30개의 RAPD 분자표지를 활용한 분석을 진행하였으나, 재현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DNA 상의 다형성은 확보할 수 없었다. 이에, 도라지 actin (Pg-actin) 유전자에 존재하는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을 이용하여 품종 간 구분에 활용 가능한 분자마커로의 전환을 탐색하였다. 도라지 genomic DNA에 actin 유래 유전자를 사용하여 2개의 actin homologs를 확보하였으며, 이를 염기서열 분석하여 3.4 kb의 Pg-actin fragment와 Pg-actin과 28.6%의 유사도를 가진 1.4 kb의 actin homologue를 획득하였다. 획득된 Pg-actin은 4개의 exon과 3개의 intron으로 구성된 유전자로, DNA 다형성 탐색을 통해 intron 3의 286 bp 위치에서 SNP (G ↔ A)를 발견하였으며, 이를 활용도 높은 CAPS marker로 전환하여 PgActin-Int3 마커를 개발하였다. Pg-Actin-Int3 마커를 32개의 도라지 유전자원에 적용시켜 본 결과 품종 간의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확보된 도라지 DNA 염기서열정보는 도라지의 유전적 다양성 분석 및 도라지 분자육종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