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tform government

검색결과 423건 처리시간 0.028초

세종 대 천문학에서의 이천의 업적 (ACHIEVEMENT OF LEE CHEON IN ASTRONOMY DURING KING SEJONG'S ERA)

  • 이기원;민병희;서윤경;김상혁
    • 천문학논총
    • /
    • 제33권2호
    • /
    • pp.9-19
    • /
    • 2018
  • We investigate the life of Lee Cheon (1376-1451) who was closely connected with astronomy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of the Joseon dynasty. Lee Cheon is widely regarded as one of the outstanding scientists of King Sejong's period. However, his contributions to the development of the astronomy during the period have not been enlightened. Based on the historical records on the life and achievements of Lee Cheon, mainly referring to the Joseonwangjosillok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we address three important points. First, Lee Cheon was a distinguished administrator who filled various government posts. Second, he was a supervising engineer in public works and metal smelting during his position in military. Third, he was a scientific technician and manufactured precision equipment such as the metal movable type sets. By virtue of these aspects, Lee Cheon was taken into confidence by King Sejong on the Ganui-dae project (i.e., manufacture various astronomical instruments and construct their platform in order to make a calendar suitable for Joseon). During the period of this project, Lee Cheon not only supervised the construction of the Ganui (simplified armillary sphere) and Ganui-dae (platform for astronomical instruments) but also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of the astronomical instruments such as Gyupyo (Gnomon) and Honcheonui (Armillary Sphere). In conclusion, we regard Lee Cheon as one of the astronomers who led a great advance in astronomy during King Sejong's era.

정보처리관점에서 본 대중의 특성과 공공데이터 플랫폼 설계 시사점에 관한 탐색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Uniqueness of Crowds and its Implications for Public Data Platform Design from the Information Processing View)

  • 김상욱;이재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373-381
    • /
    • 2017
  • 데이터의 관점이 업무자원을 넘어 새로운 가치자원으로 진화하면서, 그 처리방식의 무게중심도 단순 카테이션(Cartesian) 방식에서 맥락(Context)식별 방식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최근 정부도 공공데이터 개방을 통한 민간 활용 여건 조성에 나서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보처리관점에서 조직원과 대중의 차이를 탐색 차원에서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공공데이터 플랫폼 설계의 기본 방향과 주안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그간 추상에 머물러 있던 '대중의 집단지성'에서 벗어나 '집단지성 생태계' 조성을 위한 실천적 대안 모색의 시발점이 될 것이며, 공공데이터 개방에 필수적인 빅데이터 기반 구축의 실천적 아이디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에서 LOD를 활용한 데이터 연계 방안 (Data Linkage Method Using LOD in the Healthcare Big Data Platform)

  • 이경희;김기남;조완섭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95-205
    • /
    • 2019
  • LOD(Linked Open Data)는 데이터 공개방식 중에서 가장 우수한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인터넷 상에서 서로 관련있는 데이터를 표준방식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거대한 데이터베이스처럼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글로벌 환경에서 관련있는 데이터들이 LOD 형태로 구축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나 국내 보건의료 분야에서 LOD 형태의 데이터 공개는 아직 초보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학연구논문 데이터와 보건의료 빅데이터 연계 플랫폼 데이터를 중심으로 국내외 관련있는 DB들을 LOD 방식으로 연계하여 서비스하는 LOD 플랫폼 구축사례를 소개한다. 각 DB의 모든 데이터를 LOD로 연계하는 것은 시간과 노력이 많이 필요하며, 기본적으로 민간보다 국가나 공공기관이 담당해야 하는 인프라성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각 DB의 일부만을 대상으로 하여 LOD국내외 10개 사이트를 연계하였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편리한 방식으로 국내외 여러 기관의 데이터를 연계하여 검색할 수 있게 된다.

  • PDF

OSGi 서비스 플랫폼에서 원격 영상광고 송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Digital Signage System for Remote Video Advertisement in OSGi Service Platform)

  • 정경용;정인재;이영실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232-237
    • /
    • 2019
  • 최근 AR, VR 등의 첨단 기술과 결합되어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 사이니지로 응용 범위가 확장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디지털 사이니지 서비스는 높은 비용과 유지비로 인해 대기업, 관공서, 광고회사에 의해 제공되고 있으며, 뉴스와 광고의 점유율이 높은 상황이다. 이러한 서비스를 중소기업 및 소규모 리테일 매장에서 사용하기에는 값비싼 도입비용과 관리의 어려움이 있으며, 서비스, 솔루션 자체가 Top-Down 형태로 시장에 전개되고 있어 시장 보편화가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OSGi 서비스 플랫폼에서 소규모 리테일 매장 등을 대상으로 점포 전면의 대형 쇼윈도(또는 유리창)를 빔 프로젝트 스크린으로 활용하여 영상 광고를 송출하고 이를 원격으로 설정, 관리 업데이트가 가능한 원격 영상광고 송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스마트워크를 위한 개방형 협업 솔루션 서버 설계 (Design of Open Collaboration Solution's Server for Smart Work)

  • 강상욱;최용수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7호
    • /
    • pp.133-141
    • /
    • 2014
  • 스마트워크에 대한 사회적 요구는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선진국의 경우 오래전부터 스마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프레임워크를 진행해 오고 있다. 국내에서도 정부주도의 스마트워크 도입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경쟁력 제고를 꾀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다양한 스마트 환경을 통합하고 단말 간 상호연동을 제공하는 보급형 협업 솔루션을 개발하고자 한다. 기존의 PC 및 모바일 단말, 가정용 단말 등에 적용 가능한 범용 솔루션을 개발하여 직장, 외부공간, 가정을 잇는 스마트워크 공간 구축을 목표로 한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이동통신 플랫폼사가 보유한 협업 플랫폼 및 통화 플랫폼과 연계하여 중소기업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보급형 협업솔루션을 제안하는 장점이 있다.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 악성사이트 차단 방법 (The blocking method for accessing toward malicious sites based on Android platform)

  • 김대청;류재철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499-505
    • /
    • 2014
  • 스마트폰, 태블릿과 같은 스마트 기기의 사용이 늘어남에 따라 스마트 기기를 대상으로 하는 모바일 오피스, 금융 서비스, 모바일 전자정부 등 생산성이나 사용자 편의를 위한 서비스들이 대거 등장하였다. 이에 따라 중요한 정보들이 스마트 기기를 통해 다루어져 스마트 기기를 대상으로 하는 악성행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 기기를 대상으로 하는 유해사이트, 악성코드 배포 사이트, 피싱(phishing) 사이트 등으로 인한 피해사례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어 사회적인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스마트 기기의 경우 2013년 국내에서 사용하는 플랫폼의 90%가 안드로이드를 사용하고 있어 단말 수준의 차단방법이 필요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 웹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악성사이트를 방문할 때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을 기술하고 실제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하여 악성사이트 차단성능을 분석하였다.

미래 한반도의 비전통적 안보위협 예측 :육군의 집단지성 플랫폼 운영 결과를 중심으로 (Forecasting non-traditional security threats in Korea :by Republic of Korea Army collective intelligence platform operating result)

  • 조상근;정민섭;문상준;박상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216-222
    • /
    • 2021
  • COVID-19 펜데믹 상황으로 인해 비군사·초국경적으로 발생하는 비전통적 안보위협에 대한 국가적 관심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COVID-19로부터 발생한 국가적 피해 규모와 강도가 상상을 초월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육군은 다양한 집단지성 플랫폼을 통해 미래 한반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비전통적 안보위협을 예측하는 노력을 강구하고 있다. 향후 기후변화, 4차 산업혁명 도래에 따른 사회변화 및 기술발전으로 인해 비전통적 안보위협은 다양화될 것이다. 특히, 도시화율, 인터넷 보급률 및 대륙과 해양의 대기가 충돌하는 지리적 위치 등을 고려했을 때 우리나라에 가해질 비전통적 안보위협은 다른 나라의 경우보다 더욱 치명적일 것이다. 따라서 범정부 차원에서 민·관·군·산·학·연의 집단지성 플랫폼을 활용하여 비전통적 안보위협을 예측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할 것이다.

기술코디네이터를 활용한 산업체 애로기술 지원 플랫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dustrial Difficulties Technology Support Platform using the Technology Coordinator)

  • 김종기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521-528
    • /
    • 2022
  • 새로운 철도 역사의 시작은 매년 진행되고 있다. 서울의 신림선은 통신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신교통철도시스템이다. 신림선은 국가 표준규격인 KTCS-M을 기반으로 하는 국가 최초 무선통신기반 무인열차제어시스템으로 운용된다. 철도교통시스템에서 무선통신기술의 활용은 세계철도 시장으로의 수출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는 정부가 국내 철도산업을 육성하고 수출을 위해 다양한 지원 정책을 개발하고 시행한 결과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가가 시행하고 있는 철도산업기술의 국산화 지원 현황을 살펴보고, 철도부품의 해외 의존도를 벗어나 국산화 부품으로 대체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산업체의 애로기술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지원 플랫폼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향후 플랫폼의 구현과 활용을 위한 실행 개발이 필요하다. 향후 플랫폼이 구축되어 우리나라 산업체가 세계철도시장 수출 확장에 기여하는 기술력 향상에 필요한 도구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수산식품 구매요인 우선순위 분석: AHP 기법을 활용하여 (Priority Analysis for Consumers' Purchasing Factors of Seafood Online Using AHP Method)

  • 정현기;기해경;박세현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3권3호
    • /
    • pp.449-461
    • /
    • 2022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explore factors consumers prioritize when purchasing seafood online. The originality of the study lies on adopting AHP-based approach in analyzing prioritized purchasing factors of seafood online. Design/methodology/approach -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Korean consumers who have purchased seafood online. AHP method was applied to rank factors consumers prioritize before making decision. Findings - First, product's factor ranked first among other high level factors including delivery service, seller, online platform. Second, sanitation, taste, country of origin ranked first, second, third respectively, within product's factors. Third, safe delivery, timeliness, information accuracy ranked first, second, third respectively, within delivery factors. Fourth, consumer reviews, consumer response ability, promotion ranked first, second, third within seller factors. Fifth,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redibility, user-friendliness ranked first, second, third, within online platform factors.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To activate seafood online market, it is crucial to assure consumers that the seafood is well managed in a sanitary way from the production site to table. Existing government programs such as seafood traceability system, HACCP, and cold-chain infrastructure needs improvement. Due to highly perishable characteristic of seafood, delivery factors matter when purchasing online. Online platforms needs to continue to improve delivery service. Seafood products are mostly not branded and without objective information about their properties. Creating quality classification and seafood brands are likely to help consumers chose seafood online.

한복 패션쇼의 메타버스 구현을 위한 탐색적 연구 (Examining conducting Hanbok fashion shows in the metaverse)

  • 박은주;이영주
    • 복식문화연구
    • /
    • 제31권2호
    • /
    • pp.173-192
    • /
    • 2023
  •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to implement Hanbok shows on metaverse, which can contribute to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Hanbok design and to establish a platform that fits the reality of the Hanbok industry and consumer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collect opinions from experts, and the derived contents were divided and analyzed using an affinity diagram. Experts were positive about the use of the metaverse platform of the Hanbok show in terms of impact, accessibility, exposure, virtual fitting, issuance of NFTs, and promotion of Hanbok brands.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four components of metaverse, experts highly evaluated the possibility of using Hanbok shows in the order of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mirror world, and lifelogging. Visuality, influence, marketing efficiency in virtual reality, immersion in augmented reality, fantasy and artistic elements, expression, diversity, and abundant experiences were expected. The platform's requirements emphasized realistic implementation equipment and technology, collaboration between Hanbok designers and producers, in addition to government support.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ppropriate target was analyzed to be in the 10-30s, and the appropriate price range was found to be able to sell at a discount of 40-80% compared to offline. This study provides useful implications for the service development of metaverse content, which will also be actively used in the Hanbok field,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reviving the Korean Hanbok industry and strengthening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