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ting densities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25초

식물공장 시스템을 이용한 약초의 채소화에 관한 기초연구 2. 채소화가능 약초의 대량생산 시험 (A Study on Utilization of Medicinal Herb as Vegetable by Hydroponics 2. Experiment on Year-Round Production of Medicinal Herb)

  • 최성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71-80
    • /
    • 1995
  • 주요(主要) 한약재(韓藥材)로 이용(利用)되고 있는 약용식물(藥用植物)인 황금(黃芩), 독활(獨活), 곽향(藿香)을 채소화(菜蔬化)하기 위하여 파종기(播種期) 및 재식밀도시험(栽植密度試驗)과 양액재배(養液栽培)를 실시(實施)하여 대량생산(大量生産) 가능성(可能性)을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채소화(菜蔬化) 가능(可能) 약용식물중(藥用植物中) 황금(黃芩)과 곽향(藿香)은 도장(圖場)의 출현율(出現率)이 높아 초밀식재배(超密植栽培)가 가능(可能)하여 대량(大量) 생산(生産)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2. 채소용(菜蔬用) (가공용(加工用)) 유식물체(幼植物體)의 생산(生産)을 위한 밀식재배시(密植栽培時) 황금(黃芩)과 곽향(藿香)은 4월(月) 초순(初旬) 파종(播種)이 가장 유리(有利)하였으며, 재식밀도(栽植密度)는 초밀식재배(超密植栽培) $10\times5cm$(200주(株)/$m^2$)가 유식물체(幼植物體) 생산(生産)이 증수(增收)되는 경향(傾向)이었다. 3. 식물공장(植物工場)시스템을 이용(利用)하기 위한 양액재배시(養液栽培時) 곽향(藿香)은 여액수경(濾液水耕) 방식(方式)에서 일본야채(日本野菜) 표준액(標準液)에서 재배(栽培)가 가능(可能)하였다.

  • PDF

식재밀도에 따른 물푸레나무 조림목 식재 후 7년간의 생장 특성 (The Growth Performances of Fraxinus rhynchophylla According to Planting Density over Seven Years after Planting)

  • 한승현;양아람;노남진;조민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4호
    • /
    • pp.482-489
    • /
    • 2022
  • 본 연구는 식재밀도가 식재 후 7년간 물푸레나무 조림목의 생장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적정 식재밀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2015년 3월, 강원도 평창군에 위치한 조림지(3 ha)에 물푸레나무 2년생 노지묘를 4가지의 식재밀도(3천본, 5천본, 7천본, 10천본 ha-1)로 식재하였다. 조림목의 생존율, 근원경, 수고를 2015년-2021년까지 매년 9월에 측정하였고, H/D율(Height/Diameter ratio)과 수간 재적을 산출하였다. 식재밀도에 따른 물푸레나무 조림목의 생존율은 84-97% 범위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H/D율(54.5-59.2%) 또한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근원경, 수고, 수간 재적은 7천본 ha-1에서 다른 식재밀도 처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식재 7년차 수간 재적(cm3 tree-1)은 7천본 ha-1에서 1,356.1로 가장 높았으며, 10천본 ha-1 (958.6), 5천본 ha-1 (773.0), 3천본 ha-1 (579.5) 순이었다. 물푸레나무는 식재밀도가 높아질수록 수광 경쟁에 의해 빠른 초기 생장을 보였으나, 임계 식재밀도(10천본 ha-1)에서는 생장이 상대적으로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조림비용이 고려된 적정 식재밀도 적용시 물푸레나무 조림지에서의 우수한 조림 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재식밀도와 시비량이 양하의 주요형질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anting Density and Fertilizer Level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Zingiber mioga ROSC)

  • 최성규;이종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55-360
    • /
    • 1992
  •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양하의 재배시 재식밀도와 시비량이 주요생육 형질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초장은 밀식할수록 크고 소식할수록 짧았으며, 엽수와 경수는 소식할수록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2. m$^2$당 화경의 수와 중량은 재식주수가 많은 밀식구에서 증가되는 경향으로 10$\times$20cm (50주 / m$^2$)와 20$\times$20cm(25주/ m$^2$)가 m$^2$당 재식밀도수가 많아 수량이 증가되어 알맞는 재식거리로 판단된다. 3. 3요소 시용 (N:P$_2$O, : $K_2$O=15:15:15)은 무시용에 비해 초장이 크고 경수가 많아 생육이 양호하고 수량이 증가되었다.

  • PDF

Effect of Planting Date and Planting Density on Growth and Yield of Soybean in Cheju Island

  • Kang, Young-Kil;Ko, Mi-Ra;Cho, Nam-Ki;Park, Yang-Mu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44-48
    • /
    • 1998
  • Two determinate soybean cultivars, 'Baegunkong' and 'Namhaekong', were planted on 8 Jone, 23 June, and 8 July 1996 at Cheju at planting densities of 33, 43, 53, 63 plants per $m^2$ to determine the optimum planting density of double crop soybean for recently recommended cultivars in Cheju area at various planting dates. The plant height, and the diameter and node number of main stems decreased as planting was delayed. The plant height increased but the stem diameter and node number decreased with increasing planting density. Pod number per plant was greater for Namhaekong than for Baegunkong and was not affected by planting date. Pod number per plant decreased but pod numbers per $\textrm{m}^2$ increased with increasing planting density. The number of seeds per pod was greater at the two later plantings and fewer at the highest planting density. 100-seed weight decreased with delaying planting. The seed weight was lighter at the highest planting density for Baegunkong but there was no difference for Namhaekong among the planting densities. The seed yield of Baegunkong was greater for 23 June and 8 July plantings (2,280 and 2,420 kg/ha) than for 8 June planting (1,450 kg/ha) while that of Namhaekong was greatest at 23 June planting (2,690 kg/ha) compared with 8 June and 8 July plantings (1,890 and 2,080 kg/ha). Across the planting dates and cultivars, seed yield increased from 1,860 to 2,290kg/ha as the planting density increased from 33 to 53 plants/$\textrm{m}^2$ and then leveled off with a further increase in planting density.

  • PDF

Effect of Plant Density on Growth and Sugar Yield of Sweet Sorghum in Jeju Island

  • Oh, Hyeon-Do;Kim, Han-Lim;Kang, Young-Kil;Kim, Chan-Wo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29-34
    • /
    • 2001
  • A sweet sorghum [Sorghum bicolor (L.) Moench] cultivar was planted on 9 and 30 June 2000 at plant densities of 4, 6, 8, 10, and 12 plants $m^{-2}$ to determine the optimum plant density in Jeju reg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planting date x plant density interactions for most traits measured. Delaying planting from 9 to 30 June delayed 21 days in heading date, and significantly decreased plant height, the number of productive stems $m^{-2}$/, and lodging. Fresh stem yield tended to be higher at the 9 June planting date than at the 30 June planting date, but total sugar and ethanol yields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planting date. Percentage of soluble solid was higher at the 30 June planting date compared with the 9 June planting date. Fresh stem, total sugar, and ethanol yields quadractically increased from 22.9 to 36.7 $t^{-1}$, from 1.66 to 2.54 $t^{-1}$, and from 945 to 1440 $L^{-1}$, respectively, with increasing plant density. The optimal plant densities for the maximum fresh stem, total sugar, and ethanol were estimated to be 10.7, 9.6, and 9.9 plants $m^{-2}$ respectively.

  • PDF

식재밀도가 느티나무 조림목의 초기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anting Density on Early Growth Performances of Zelkova serrata Trees)

  • 노남진;권보람;양아람;조민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9권3호
    • /
    • pp.281-290
    • /
    • 2020
  • 본 연구는 식재밀도가 느티나무 조림목의 초기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지는 경북 경산과 전북 순창이며, 2015년 3월 말 느티나무 노지묘(1-0)를 4처리 밀도(3천, 5천, 7천, 10천본 ha-1)로 식재하였다. 2019년까지 매년 9월에 조림목의 근원경과 수고를 측정하였고, H/D율과 수간 재적을 계산하였다. 모든 조사지에서 식재밀도가 증가할수록 근원경 및 수고 생장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수간 재적은 10천본 ha-1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생존율과 H/D율은 식재밀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식재후 5년차에, 경산 지역에서의 근원경, 수고, 수간 재적은 순창 지역에서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입지 환경이 다른 두 조사지 모두에서 식재밀도 증가에 따라 조림목의 초기 생장이 향상되는 동일한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10천본 ha-1의 식재밀도가 느티나무 조림목의 초기 생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적정 식재밀도임 확인하였으며, 느티나무의 조림학적 특성으로서 밀식처리에 의해 초기 생장이 향상될 수 있다는 점을 제안한다.

Effects of Planting Densities and Maturing Types on Growth and Yield of Soybean in Paddy Field

  • Cho, Jin-Woong;Lee, Jung-Joon;Oh, Young-Jin;Lee, Jae-Dong;Lee, Sang-Bok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05-109
    • /
    • 2004
  • Field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southeastern Korea ($36^{\circ}$N) on a commerce silt loam soil at paddy field. Seed were manually planted on 16 July 2003. Plants were planted with plant densities of 70${\times}$10 cm (row width x plant spacing), 50 x 10 cm, and 30 ${\times}$10 cm. Two seedlings per hill were taken prior to V3 stage. Fertilizer was applied prior to plant at a rate of 30-30-34 kg (N-$\textrm{P}_2\textrm{O}_5$-$\textrm{K}_2\textrm{O}$) per ha. Experimental design was a randomized complete block in a split plot arrangement with three replications. Yield from different planting densities responded similarly in three soybean cultivars and increased when planting density increased. Somyeongkong showed the highest increasing rate of yield about 26% by 338 g $\textrm{m}^{-2}$ at 30 x l0 cm compared to yield of conventional planting density (70 x 10 cm). Also, the planting density significantly affected pod and seed number and seed weight, but not seed per pod. The tallest plant appeared at 30${\times}$10 cm. The change of leaf area according to days after emergence showed differently in soybean cultivars. The highest and lowest total dry matter production per square meter appeared at 30 x 10 cm and at 70 x 10 cm, respectively. Crop growth rate (CGR) showed greater at R3∼R4 stages compared with V7∼R2 or R2∼R3 growth stages and showed the greatest at 30 x 10 cm in three soybean cultivars. As late planted soybean,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seed yield and CGR, and leaf area index (LAI) according to planting densities at before and after the flowering stage. Relationship between seed yield and CGR in three planting densities showed a high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 ($\textrm{R}^2$=0.757) at R3 to R4 stages, and significant relations ($\textrm{R}^2$=0.505, 0.617) at V7 to R2 and V2 to V3. Also, there was a highly significant positive difference between seed yield and LAI during R3 to R4 and R2 to R3 stages.

재배년수에 따른 삼백초(三白草)의 생육형질간 상관관계 (Correlation among Growth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ultivated Years of Saururus chinensis BAILL.)

  • 남상영;김민자;윤태;김홍식;정승근;김인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48-251
    • /
    • 2006
  • 삼백초의 지상부 생육은 1년에서 2년차의 생육은 증가 폭이 컸으나, 2년에서 3년차의 생육은 감소하거나 부진하였다. 1년차에서는 소식일수록 생육이 양호하였으나, 3년생은 밀식할수록 차이가 없거나 감소하였다. 단위면적당 엽수와 경수는 재배년수가 경과하고 밀식할수록 많았다. 경엽(莖葉) 수량이 1년생은 밀식에서, 2년생은 $40{\times}10cm$에서, 3년생은 $40{\times}20cm$에서 가장 많았다. 근경중(根莖重)은 1년생에서 2년생은 중량의 증가폭이 켰으나, 2년생에서 3년생은 증가 폭이 둔화되었다. 재식거리간 근경중은 년차 간 고도의 유의성이 있었으며, 경엽중에 비해 매우 높았다.

野生藥草인 배초향의 發芽生理, 生育 및 成分分析에 關한 硏究 (Studies on the Germination Physiology, Growth and Component Analysis of Agastache rugosa KUNTZE)

  • 최성규;이종일;서영남;최경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47-154
    • /
    • 1993
  •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influence of seeding dates, planting densities and fertilizer application levels on some agronmic characters and yield of fresh weight in Agastache rugosa.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 Fresh weight was increased on Apr. 1 seeding date. Therefore, optimum time for sowing was on Apr. 1. Stem length was long in dense planting and short in spacious planting. Stem diameter was thick in spacious planting, and was thin in dense planting. Yield was higher in dense planting densities($10{\times}20cm:50\;plants/m^2,\;20{\times}20cm:25\;plants/m^2,\;(30{\times}20cm:17\;plants/m^2$) Fertilizing ($N:P_2O_5;K_2O=6:6:6kg/10a$) was increased than without fertilizing because stem length and number of leaf were good.

  • PDF

질소시비량, 재식밀도 및 파종기가 오크라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ogen Fertilizer, Planting Density and Seeding Date on the Yield of OKra(Abelmoschus esculentus (L) MOENCH))

  • 이경희;조재연;윤성탁;박석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79-183
    • /
    • 1990
  • 질소시비량, 재식밀도 그리고 파종기가 오크라 생협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시험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주당착과수는 질소시비량 8kg/10a, 재식밀도는 90$\times$30cm 처리에서 가장 많았다. 2. 질소비료수준 및 재식밀도간 생협수량은 각각 8kg/10a, 45$\times$30cm 처리에서 가장 많은 경향을 보였다. 가장 수량이 많은 구는 8kg/10a의 45$\times$30cm로서 1,348.7kg/10a이었다. 3. 파종기에 있어서 생협수량은 5월 1일 파종이 1,270.8kg/10a로 가장 수량이 많았다.

  • PDF